$\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창 열수 맥상광상의 함 금-은 광화작용
Au-Ag-bearing Ore Mineralization at the Geochang Hydrothermal Vein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5 no.2, 2022년, pp.171 - 181  

홍석진 ((주) 인텔리지오) ,  이선진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창광상은 영남육괴 화강암질 편마암 또는 편마암질 화강암 내에 발달한 열극을 충전하여 생성된 함 금-은 열수 맥상광상으로, 괴상 및 호상 조직과 함께 부분적인 각력상 조직 및 정동의 발달 등 복합적인 조직적 특성을 보여준다. 거창광상의 맥상 광화작용은 구조운동(tectonic break)에 의하여 광화 1시기와 광화 2시기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는 석영맥의 생성과 함께 주된 함 금·은 광물인 에렉트럼과 함께 황화광물 및 산화광물 등이 미량의 황염광물을 수반 산출한 시기로서, 공생관계와 광물조합 특성 등에 의하여 세 단계의 광화시기(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광화 1시기의 초기에는 주로 황철석, 자류철석, 유비철석 등이 산출되었다. 중기에는 주된 금-은 광화작용이 진행되어 에렉트럼과 함께 황동석, 섬아연석 등의 황화광물과 미량의 함 은 황염광물 등이 산출되었다. 후기에는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과 함께 적철석 등이 산출되었다. 광화 2시기는 주 광화작용 이후의 금속 광화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방해석맥의 생성 시기이다. 거창광상의 주된 광화작용은 고온(≥380℃)의 H2O-CO2-NaCl계 열수유체 유입으로 시작되어 초기의 냉각과 비등작용, 중기의 불혼화용융 및 후기의 상대적으로 천부를 순환한 열수유체 또는 천수의 혼입 등에 의하여 ≥380℃~≤210℃의 온도조건에서 7.0 to 0.7 wt. percent NaCl 상당 염농도를 갖는 유체에서 진행되었다. 거창광상의 광물 공생관계 변화는 이러한 열수계의 진화에 의한 온도와 황 분압 조건의 감소 등의 환경변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거창광상은 중열수형 금·은 광상에 대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ochang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Yeongnam Massif. Within the area a number of hydrothermal quartz and calcite veins were formed by narrow open-space filling of parallel and subparallel fractures in the granitic gneiss and/or gneissic granite. Mineral paragenesis can be divided into t...

주제어

참고문헌 (22)

  1. Barton, P.B.Jr. and Toulmin, P.III. (1964) The electrum-tarnish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s. Geochim. Cosmochim. Acta, v.28, p.619-640. 

  2. Bozzo, A.T., Chen, J.R. and Barduhn, A.J. (1975) The properties of the hydrates of chlorine and carbon dioxide. Desalination, v.16, p.303-320. 

  3. Burruss, R.C. (1981) Analusis of phase equilibria in C-O-H-S fluid inclusions. In : Hollister, L.S. & Crawford, M.L. (eds.) : Fluid Inclusions: Application to Petrolgy. Miner. Assoc. Can. Short Course Handbook, v.6, p.39-74. 

  4. Chang, B.D. and Kim, N.W. (1991) Survey report of the Geochang mine.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7p. 

  5. Cheong, D.H., Cheong, B.J., Park, G.J. and Song, J.Y. (2018) The Detailed Survey report of the An-Eui quadrangle (Gold-Silver). KORES, 198p. 

  6.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 Geol. Soc. Korea, v.30, p.41-61. 

  7. Choi, S.G., Chi, S.J. and Park, S.W. (1988a) Gold-Silver Mineralization of the Au-Ag Deposits at Yeongdong District, Chung-cheongbuk-Do. Econ. Environ. Geol., v.21, p.367-380. 

  8. Choi, S.G., Pak, S.J., Choi, S.H. and Shin, H.J. (2001) Mesozoic Granitoids and Associated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Korea. Econ. Environ. Geol., v.34, p.25-38. 

  9. Choi, S.G., Pak, S.J., Kim, S.W., Kim, C,S. and Oh, C.W. (2006) Mesozoic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Metallogenic Provinces Reestimated to the Geodynamic Setting. Econ. Environ. Geol., v.39, p.567-581. 

  10. Choi, S.G., Park, N.Y. and Hong, S.S. (1988b) Mineralogy of goldsilver deposits in Chungcheong Province. Econ. Environ. Geol., v.21, p.223-234. 

  11. Choi, S.H. (1999) A modelling of gold-silver deposits in Korea. Korea Mining Promotion Corporation, 1999-2, 92p. 

  12. Craig, J.R. and Barton, P.B.Jr (1973) Thermochemical approximations for sulfosalts. Econ. Geol., v.68, p.498-506. 

  13. Haynes, F.M. (1985) Determination of fluid inclusion compositions by sequential freezing. Econ. Geol., v.80, p.1436-1439. 

  14. Kretschmar, U. and Scott, S.D. (1976) Phase relations involving arsenopyrite in the system Fe-As-S and their application. Can. Min., v.14, p.364-386. 

  15. Lee, H.S., Song, Y.S., Park, K.H. and Cheong, C.S. (2007) U-Pb zircon age from Late Permian to Early Triassic (240-250 Ma) granite gneiss in central Yeongnam massif. Proceedings of Petrological Soc. of Korea, p.51-54. 

  16. Potter, R.W.III., Clunne, M.A. and Brown, D.L. (1978) Freezing point depression aqueous sodium sodium chloride solutions. Econ. Geol., v.73, p.284-285. 

  17.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18. Seo, J.H., Song, Y.S. and Park, K.H. (2016) SHRIMP U-Pb Age of the Early Jurassic Deformed Granites in the Aneui Quadrangle, SW Yeongnam Massif. Econ. Environ. Geol., v.49, p.147-153. 

  19. Shelton, K.L., So, C.S. and Chang, J.S. (1988) Gold-rich mesothermal vein deposits of the republic of Korea: Geochemical studies of the Jungwon gold area. Econ. Geol., v.83, p.1221-1237. 

  20. Song, Y.S. (1989) Geochemistry of the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from the central Sobaegsan Massif, Korea. Econ. Environ. Geol., v.22, p.293-300. 

  21. Tsusue, A., Mizuta, T., Watanabe, M. and Min, K.G. (1981)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ic tocks in South Korea. Mining Geol., v.31, p.260-280. 

  22.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Geochemical Jour., v.30, p.231-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