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감형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디자인 시스템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 Customization System for Motion Sensing Game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4, 2022년, pp.15 - 21  

황해표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  현승훈 (목원대학교 TV영화학부) ,  유석호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의 확산과 함께 야외 운동이 제한되면서 실내에서 체감형 게임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가 늘고 있다. 게이머를 대신하는 아바타 형식의 캐릭터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게이머에게 게임에 대한 매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연구주제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판매량이 많고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체감형 게임을 게임 분석 사례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세 개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분석을 통해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체감형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단점을 도출하고 선택 시스템,변형 시스템,부분 시스템에 대해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제안이 향후 체감형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설계에 나름의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spread of COVID-19 and restrictions on outdoor exercise, the number of users using motion sensing games indoors is increasing. An avatar-type character design customization system on behalf of gamers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topics for developers in that it can increase the game's a...

주제어

참고문헌 (15)

  1. H. R. Kim, H. J. Jang & S. H. Park. (2004). Tensable interface design study focusing on tactile game. Korean HCI Society Conference, 1653-1659. 

  2. J. H. Lee. (2017). A study on the necessary elements of game character storytelling. Journal of the Korean Game Society, 17(4), 169-178. DOI: 10.7583/JKGS.2017.17.4.169 

  3. H. P. Hwang, J. J. Jeong & S. H. Ryu. (2020). Analysis of character selection GUI design in tactile games.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18(7), 383-387. DOI: 10.14400/JDC.2020.18.7.383 

  4. Nam Gi-Duk & Gil Tae-Suk. (2020).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Design Elements for Customizing Game Characters: Focusing on Mobile Games and Video Games. Journal of the Korean Game Society, 20(6), 99-109. DOI: 10.7583/JKGS.2020.20.6.99 

  5. Y. W. Jee, S. H. Jeong, D. Y. Lee & S. H. Ryu (2009). Analysis of Chinese MMORPG dragon character design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European medieval dragon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mprehensive Conference, 7(1), 221-226. 

  6. M. S. Lee. (2016). Interactive exergame use, perceived physical and exercise effects, and future intention. pp. 45-49, 

  7. https://baike.baidu.com/item/ 

  8. E. Y. Kim, C. H. Park & D. G.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reference of Sensory Exercise Game. Journal of the Korean Game Association, 12(1), 67-77. 

  9.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204&docId25444 

  10. M. R. Seo. (2015). Analyzing Types of Styling through Character Customization Gam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309-316. DOI: 10.14400/JDC.2015.13.5.309 

  11. S. H. Jung, W. B. Lee, B. P. Kyung, S. H. Ryu & D. Y. Lee. (2010). Character Customizing System Based on Physiognomy - Focused on AION Character Creation System -. The Korea Game Society, 10(6), 3-14. 

  12. www.monsterhunter.com rise 

  13. https://nintendo.co.kr/software/switch/acbaa/ 

  14. http://nintendo.co.kr/software/switch/ring/ 

  15. K. Y. Noh. (2012). Effects of user experience and self-efficacy on gam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sensible health games. Journal of the Korean Game Society, 12(2), 1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