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남산 신갈나무림 생태계 특성과 변화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Namsan (Mt.), Seou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2, 2022년, pp.41 - 63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김종엽 ((재)환경생태연구재단) ,  곽정인 ((재)환경생태연구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남산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과거 조사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현황 진단 및 생태계 변화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지는 2006년 7월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남산 북사면 신갈나무림'이다. 연구내용은 토양환경 변화(1986~2016) 분석, 현존식생 변화(1978~2016) 분석, 식물군집구조 변화(1994~2016) 분석이다. 식물군집구조 고정조사구는 1994년과 2000년에 설정한 총 8개 고정조사구(400~1,200m2)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상대우점치, 종수 및 개체수, Shannon의 종다양도이다. 남산 토양환경은 산성 토양(pH 4.40)으로 치환성양이온 용량이 낮아 수목 생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남산의 신갈나무림은 주로 북사면 일대에 분포하며, 현존식생 면적은 49.4%(1978년) → 80.7%(1986년) → 82.4%(2000년) → 88.3%(2005년) → 70.3%(2016년)로 변화하였으며, 2016년에는 2005년과 비교해 세력이 18%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교목층 신갈나무의 생장에 의해 세력이 증가하였다가 2012년 참나무시들음병 확산에 따른 벌채 및 훈증 관리로 그 세력이 크게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식물군집구조 변화 내용은 대부분 참나무시들음병으로 교목층 신갈나무가 훼손되었고, 차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잠재식생이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아교목층은 도시환경 적응 수종인 때죽나무, 팥배나무 등의 세력이 유지 또는 증가하였다. 관목층은 개방된 상층 수관에 의해 종수 및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여 군집별 Shannon의 종다양도도 증가하였다. 남산 신갈나무림은 대기오염 및 산성비 등 도시환경의 영향, 참나무시들음병에 의한 신갈나무 단순림의 한계, 외래종의 유입 등 다양한 생태계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objective and precise data through ecosystem monitoring, to reve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past survey data, and to accumulate basic data for diagnos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dicting changes in the ecosystem. The t...

주제어

참고문헌 (36)

  1. Brown, L. R.(1981)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WW Norton and Company, Inc., 500 Fifth Avenue, New York, NY 10110. 

  2. Cheon, K. I., J. G. Byun, S. C. Jung and J. H. Sung(2014)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stand in Hyangrobong area, Baekdudaeg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8(1): 1-13. 

  3. Chung, T. H. and W. C. Lee(1965) A study of the Korean woody plant zone and favorable region for the growth and proper species. Journal of Sunkyunkwan University 10: 329-366. 

  4.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5. Han, B. H., W. Cho and S. D. Lee(2001)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hakas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4): 238-251. 

  6. Harris, L. D. 1984. The Fragmented Forest: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the Preservation of Biotic Divers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Hough, M.(1984) City Form and Natural Process (p. 279) London: Croom Helm. 

  8. Jang, Y. S. and Y. J. Yim(1985)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es of the Piagol, Mt. Chiri. Korean Journal of Botany 28: 165-175. 

  9. Jeong J. H., K. S. Koo, C. H. Lee and C. S. K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an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1(6): 694-700. 

  10. Jung, J. W.(2017)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Sajapyung Upland on Miryang, Southeastern Korea. Ph. 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p. 116. 

  11. Kang, H. M., D. H. Kim and S. G. Park(2020)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dominant community on the ridge of the Nakdong-Jeongmaek-Focusing on the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Gudeok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4(4): 318-333. 

  12. Kil, B. S., H. K. You, B. S. Kim, H. C. Kim, I. S. Jeon, Y. S. Kim, C. H. Kim and K. W. Yun(1998)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21(5-3): 603-631. 

  13. Kim, D. H.(2017) A Study on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Ph. 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p. 156. 

  14. Kim, J. H., B. C. Lee and Y. M. Lee(1996)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in forest ecosystems of Namsan and Kwangneu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5(4): 605-618. 

  15. Kim, M. K., I. S. Kang, and C. H. Kwak(1999) The estimation of urban warming amounts due to urbanization in Korea for the recent 40 years.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5(1): 118-126. 

  1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8) Oak Wilt. p. 3. 

  17. Kwak, J. I.(2011)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Succession Trends of Seoul urban forest,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p. 316. 

  18. Lee K. J., B. H. Han and S. D. Lee(2000) A study on the plant ecosystem decline of urban forest (1) -Namsan, Changdokkung. The Journal of Academic Paper Presentatio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Ecology Association, 85-88. 

  19. Lee, H. J., J. S. Lee and D. W. Byun(1994)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patter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Myongji.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7(2): 185-201. 

  20. Lee, K. J., I. H. Park and K. K. Oh(1987) Analysis of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during eight years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76(3): 206-217. 

  21. Lee, K. J., K. J. Song and W. Cho(1994)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 (1972~ 1993) in Forest of Mt. Kwana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 79-90. 

  22. Lee, K. J., K. S. Ki, B. H. Han and J. H. Kim(2006) Change for eleven years $(1994 {sim} 2005) $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major community in Namsa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4): 448-463. 

  23. Lee, W. T. and J. Y. Yang(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24.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25. Noh, T. H.(2015) The Eco-Adaptive Urban Forest Management Methods of Namsan (Mt.) according to the Urban Environment Change and Management in Seoul,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p. 161. 

  26. Oh, J. H., J. H. Cho, H. J. Cho, M. S. Choi and J. Kwon(2008) 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101-111. 

  27. Oh, K. K., K. J. Lee and K. B. Yim(1988)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77(1): 1-9. 

  28. Park, I. 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p. 42. 

  29. Park, B. J., J. G. Byeon, and K. I. Cheon(2019)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32(4): 325-337. 

  30. Park, I. H., K. J. Lee and J. C. Jo(1988)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case study of Guryong temple-Birobong area. Kor. J. Env. Eco 2(1): 1-8. 

  31.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p. 165. 

  32. Ryu S. H. (2000) Soil Diction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33. Seol, Y. J.(2008) Structure and Dynamics of Mongolian oak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Community i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Master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 52. 

  34. Seoul(2009) Namsan Mt.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Management Plan. p. 249. 

  35. Seoul(2017) Namsan Mt.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Management Plan. p. 216. 

  36. Yim, Y. J. and J. U. Kim(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