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유출수를 고려한 광양만과 진주만의 해수교환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 Exchange in Gwangyang Bay and Jinju Bay considering Freshwater from River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8 no.2, 2022년, pp.201 - 211  

홍도웅 ((주)메이텍엔지니어링) ,  김종규 (전남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곽인실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대상 해역은 노량수로를 중심으로 서측에 광양만 권역(여수해협 포함), 동측에 진주만 권역(강진만, 사천만 포함)이 위치하고, 연구대상 해역에 위치한 여러 하천에서 유출되는 유출수가 이들 만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특히 홍수시에는 광양만 권역은 섬진강의 하천유출수가, 진주만 권역은 가화천(남강댐 방류)의 하천유출수가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다. 광양만 권역과 진주만 권역은 노량수로라는 협수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진강과 가화천의 하천유출수 또한 노량수로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 연구대상 해역에 위치한 섬진강과 가화천을 포함한 51개 하천의 하천유출수로 인한 평수시와 50년빈도 홍수시의 해수교환율, 체류시간 특성을 입자추적 실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홍수시 섬진강과 가화천의 하천유출수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수치실험 결과, 평수시와 홍수시 모두 광양만 권역에 투하한 입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 권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 권역에서 광양만 권역으로 이동하는 입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후 각 실험안별 해수교환율은 광양만 권역은 44.40~67.21%로 나타났고, 진주만 권역은 각각 50.37~73.10%로 나타났고, 각 실험안별 평균 체류시간은 광양만 권역은 7.07~15.36일로 나타났고, 진주만 권역은 6.45~12.75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수시에 해수교환을은 증가하고, 체류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만과 진주만 권역에서의 해수순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두 폐쇄성 해역에 대해서 7개 내부 영역과 5개 외부 영역에 대한 30일 동안의 단면유량 flux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평수시와 홍수시 모두 전반적으로 광양만 권역에서 진주만 권역으로 유량 flux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유량을 적용할 경우 연구대상 해역의 유량 flux의 주 흐름 경로는 섬진강 하천유출수가 여수해협을 거쳐 외해로 이동하는 흐름과 가화천 하천유출수가 사천만, 진주만, 대방수로를 거쳐 외해로 이동하는 흐름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e center of the Noryang waterway, the Gwangyang bay area (including the Yeosu Strait) is located at the west, and the Jinju bay area (including Gangjin bay and Sacheon bay) is located at the east. Freshwater from several rivers is flowing into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the event of flood, ...

주제어

참고문헌 (11)

  1. Chae, Y. K., Y. S. Kang, and H. R. Lee(2009), Numerical modeling of hydrodynamics in the Jinju and Kangjin Ba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pp. 331-332. 

  2. Cho, C. W.(2005), A study on the circulation between the Gwangyang bay and the Jinju bay, the south coast of Korea,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1-12. 

  3. Cho, Y. O.(2012),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 2-17, pp. 65-66. 

  4. Kang, Y. S., Y. K. Chae, and H. R. Lee(2011), Variation density stratification due to fresh water discharge in the Kwangyang bay and Jinju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3, No. 1, pp. 126-137. 

  5. Kang, Y. S. and H. R. Lee(2008), A numerical of tides in the Kwangyang and Jinju bay, south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pp. 185-186. 

  6. Kim, C. K.(2010), Impact and diffusion of the Namgam dam water discharge on the circulation in the Chinju bay, south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515-518. 

  7. Kim, C. K.(2012), Diffusion of the Namgam dam water discharge and impact on the circulation of the Chinju bay, south sea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 258-263. 

  8. Kim, M. W.(2006),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of Seomjin river estuary using the POM, M.S. thesis, Yosu National University, pp. 1-18, pp. 61-62. 

  9. Kim, M. W. and J. K. Kim(2012), Thermal diffusion and flow characteristic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pp. 239-244. 

  10. Kim, M. W., J. K. Kim, and M. O. Lee(2012),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residual curr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pp. 1559-1562. 

  11. Kwak, M. T. and Y. K. Cho(2019), Seasonal variation in residence times of two neighboring bays with contrasting topography, Journal of the Estuaries and Coasts, Vol. 43, pp. 512-5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