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주(晉州) 망진산(望晉山)의 역사문화경관과 명승적 가치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the Scenic Value of Mangjinsan Mountain in Jinju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3, 2022년, pp.10 - 19  

김세호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소재한 망진산(望晉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경관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명승적 가치를 살펴본 논문이다. 문헌분석 방법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망진산은 진주의 안산(案山)으로 봉수(烽燧)가 자리해 역사에 주목되었다. 망진산의 정보는 그 위상으로 인해 점차 배가되었고, 봉수는 진주 일대 방어를 담당하는 기능을 도맡았다. 이러한 망진산은 진주의 상징적인 경물로 묘사되었다. 망진산의 어원과 관련하여, 성여신(成汝信)은 진주의 지세를 분석해 봉황에서 비롯된 지명임을 제기했다. 다만 여러 기록을 살펴보면, 망진산의 이름은 한결같이 유지되지만 그 표기는 통일되지 않는 양상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둘째, 망진산은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진주성 전투 승리의 계기를 제공했지만 정유재란 때에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애환 어린 공간임이 확인된다. 한편, 망진산 일대에는 별서, 사찰, 행정시설 등이 자리해 당대 문화사를 구가했고, 19세기에는 진주성을 조망하는 경관적 가치로 인해 망경대(望景臺)가 들어섰다. 진주의 역사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증언하는 사례이다. 셋째, 조선 후기 망진산을 읊은 시문이 등장하고 이는 망진산이 진주의 명승으로 자리매김한 현실을 보여준다. 진주의 명승을 열거한 작품에 망진산을 묘사한 대목이 확인된다. 반면, 진주에 거주한 문인들은 봉수대에 주목하여 전란이 없는 평화로운 현실을 노래하고 역사를 회고했다. 19세기에는 전별연이 베풀어지기도 하였으니, 이는 진주를 조망하고 지역을 개관하는 아름다움에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진주 망진산이 지닌 상징성과 명승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were reviewed focusing on Mangjinsan Mountain in Jinju, Gyeongsangnam-do, and the scenic value was examined through this. First, Mangjinsan Mountain was noted in history, as Ansan(案山, a mountain on the opposite side of a housing/grave site) in Jinju,...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6)

  1. 「여지도서」 권下 경상도, 「진주」 : 정광현, 「晉陽誌續修」 권1, 「峰繼」 

  2.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경상편)」, 진한엠앤비, 2015. 

  3. 이항무(李度歲), 「제암문집(濟康文集)」 권1, 「濟洞十二景」 중 . 

  4. 하응명(河應命), 「치와유고(療高遺稿)」 권1, 「丹邱八景」 3수. 

  5. 하우식(河結植), 「담산집(擔山集)」 권1, 「汾陽懷古[十二首]」 중 5수 [網陣峰]. 

  6. 한유(韓愉), 「평거지(平居誌)」 권1, 「網鐵奉」. 

  7. 국토지리정보원(2015). 「한국지명유래집(경상편)」. 진한엠앤비. 

  8. 두산백과. 「망진산(望鎭山/望晉山)」. 

  9. 심순희.송석호.김충식(2022). 「조선시대 무장읍치(歲長邑治)의 원형경관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1). 

  10. 이상동(2011). 「淸道 鐵山과 邑治의 景親 構成」. 「동아시아문화연구」. 45. 

  11. 정기호, 김묘정, 이원호, 최종희(2009). 「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읍치 팔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2. 제장명(2014). 「정유재란 시기 사천성 전투의 경과와 의미」, 「이순신 연구논총」. 33. 

  13. 최원석(2003). 「경상도 邑治 景觀의 鐵山에 관한 고찰」. 문화역사지리. 15(3). 

  14. 최원석(2002). 「영남의 邑治 경관요소에서 鐵山의 지리적 의미 고찰」. 문화역사지리. 14(3). 

  15. 최종석(2008). 「조선시기 진산(鐵山)의 특징과 그 의미: 읍치공간 구조의 전환의 관점에서」. 「조선시대사학보」. 45. 

  16.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