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물과 미래 : 한국수자원학회지 = Water for future, v.55 no.3, 2022년, pp.6 - 22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서연 (중부대학교 가뭄연구센터) , 김영준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강형식 (2017). "수생태 복원.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정책 개선 방향". 한국수자원공사물 정책.경제, 제 28호, pp. 43-55.
김진수 (2020). "댐의 홍수방어 능력 강화를 위한 비구조적 대책". 국회입법조사처. 제166호.
김호정, 구윤모, 강형식, 안종호, 정아영 (2015). "환경생태유량, 친수이용 등 물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물환경 정책 개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상은, 이승오, 박진원 (2021). "국가하천 유지관리 현황과 최근 정책변화". 대한토목학회지, 69(3), 37-44.
추태호, 채수권 (2012). "댐 건설이 하류하천 하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습지학회, 14(4). 715-723.
Brandt, S.A. (2000). "Classification of geomorphological effects downstream of dams". Catena, Vol. 40, pp. 375-401 [DOI:10.1016/S0341-8162(00)00093-X]
Kondolf, G.M. (1997). "Hungry Water: Effects of Dams and Gravel Mining on River Channels".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24, No. 4, pp. 533-552
Levins, R. (1969). "Some demographic and genetic consequences of environmental heterogeneity for biological control". American Entomologist, 15(3), 237-240.
Lee, J. H., Kil, J. T., & Jeong, S. (2010). "Evaluation of physical fish habitat quality enhancement designs in urban streams using a 2D hydrodynamic model". Ecological Engineering, 36(10), 1251-1259.
Postel, S., Richter, B. (2012). "Rivers for life: managing water for people and nature". Island press.
Turner, M. G. (2005). "Landscape ecology: what is the state of the science?". Annu. Rev. Ecol. Evol. Syst., 36, 319-344.
Williams, G.P., Wolman, M. G. (1984).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alluvial rivers". USGS professional Paper 1286, Reston(VA)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