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국대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7, 2022년, pp.125 - 146  

이의천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강민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박정혜 (진성문화재보존)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은 조선후기 목조 건축 양식으로 제작한 목조감실이다. 목조감실 안료의 박락, 부재의 탈락 등 손상이 확인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손상형태와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적 분석(수종 분석, 섬유 동정, 안료의 성분분석(P-XRF))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잣나무류, 현판은 가래나무속, 섬유는 벼섬유로 식별되었다. P-XRF 결과, 백색 안료는 연백과 아연화, 적색안료는 장단, 청색안료는 울트라 마린 블루, 녹색 안료는 에메랄드 그린으로 확인하였다. 목조감실의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으로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한 후 탈락한 부재들을 위치에 맞게 접합하고, 일부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was made in imitation of the wooden architecture styl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Gamsil had suffered exfoliation in the pigment and loss of components and thus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P...

주제어

표/그림 (29)

참고문헌 (23)

  1.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3366, (2022). 

  2. 최영숙, 조선시대 목조감실(木造龕室) 조형 연구- 18세기 이후 조성된 왕실조성 감실을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16, p97-99, (2013). 

  3. 박종민, 조선시대 유교식 감실(龕室)의 수용과 변용, 문화재 44, p56-69, (2011). 

  4. 조상윤, 김수철, 천안 성거산 위례성 출토 목어의 적외선 조사 및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26, p19-24, (2021). 

  5. 이의천, 이영주, 김수철,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재질 분석, 보존과학회지 38, p133-144, (2022). 

  6. 박상진,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7. 손병화, 김정훈, 남태광, 이광희, 박원규,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목재공학 39, p213-220, (2011). 

  8. 이필우,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파주, (1994). 

  9.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 성산산성 목제유물 수종분석,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원, (2018). 

  10. 박상진,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서울, (1987). 

  11.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과학적 분석 재질별 연구 사례,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8). 

  12. 김경식, 벼의 규소체 형태, 식물학회지 37, p53-67, (1994). 

  13. 국립민속박물관,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 아클라스,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2005). 

  14. 이창복, 신고 수목학, 향문사, 서울, (2007) 

  15.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안료와 원료광물,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8). 

  16. 김수경, 허준수, 이한형 서민석, 한민수,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보존과학회지 29, p379-388, (2013). 

  17. 오준석, 최정은, 이새롬, 삼국지연의도의 채색재료 분석,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p133-173, (2016). 

  18. 최현욱, 곽홍인, 신용비, 비파괴 분석을 통한 최치원 진영의 도상 및 채색재료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4, p81-98, (2020). 

  19. 한민수, 이한형, 김재환,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상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문화재 44, p132-149, (2011). 

  20.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보존과학용어,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충주, (2011). 

  21. 신현옥, 조선시대 彩色材料에 관한 연구 : 의궤에 기록된 회화의 채색재료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8-54, (2007). 

  22. 오준석, 최정은, 최윤희,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1, p193-214, (2015). 

  23. 오준석, 황민영, 야마토 아스카, 아라이 케이, 이새롬. 신구법천문도 채색 안료 비교 및 제작시기 추정, 보존과학회지 36, p351-367,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