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 그물을 이용한 우주 쓰레기 포획 시뮬레이션 연구
Capture Simulation Study for Space Debris Using Space-Net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50 no.6, 2022년, pp.435 - 444  

황의진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장미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임준현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신현철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심창훈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박재상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주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 위성(Space debris removal satellite)의 우주 그물(Space-net)을 이용한 우주 쓰레기의 포획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획 시뮬레이션은 비선형 구조 동역학 해석 코드인 ABAQU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정사각형(1 m × 1 m)의 우주 그물 및 30 kg 질량의 정육면체(0.3 m × 0.3 m × 0.3 m) 형상인 우주 쓰레기를 기본 모델로 설계하였다. 기본 모델에 기반하여 포획 과정을 이해하고 포획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ABAQUS를 이용한 포획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우주 그물의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포획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우주 쓰레기를 성공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우주 그물의 주요 설계 인자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s capture simulations of space debris using a space-net. The present capture simulations are performed using ABAQUS, a nonlinear structural dynamics analysis code. A square space-net with 1 m × 1 m and a space debris with a cube configuration(0.3 m × 0.3 m × 0....

주제어

참고문헌 (15)

  1. Anz-Meador, P. D.,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ODQN), Vol. 24, No. 1, 2020. 

  2. Kim, H.-D., "Rec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n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ol. 48, No. 4, 2020, pp. 311~321. 

  3. Ellery, A., "A Robotics Perspective on Human Spaceflight," Earth, Moon, and Planets, Vol. 87, No. 3, 1999, pp. 173~190. 

  4. O'hare, R., "British Space Junk Mission to Test Nets, Sails and Harpoons to Catch Dangerous Orbital Debris," Dailymail https://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3674977/Space-junk-mission-use-nets-sails-HARPOONS-catch-dangerous-debris-knock-astronauts-satellites.html, 2016. 

  5. Bombardelli, C. and Pelaez, J., "Ion Beam Shepherd for Contactless Space Debris Removal," Journal of Guidance, Control, and Dynamics, Vol. 34, No. 3, 2011, pp. 916~920. 

  6. Bischof, B., Kerstein, L., Starke, J., Guenther, H. and Foth, W., "Roger-robotic Geostationary Orbit Restorer," In 54th International Astronautic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Astronautics, and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ace Law, 2003, pp. 183~193. 

  7. Golebiowski, W., Michalczyk, R., Battista, U., Dyrek, M., Derda, Z. and Wormnes, K., "Reliable and Efficient Simulation of Nets for Active Space Debris Removal Purposes," In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and Automation in Space, 2014. 

  8. Shan, M., Guo, J., Gill, E. and Golebiowski, W., "Validation of Space Net Deployment Modeling Methods Using Parabolic Flight Experiment," Journal of Guidance, Control, and Dynamics, Vol. 40, No. 12, 2017, pp. 3315~3323. 

  9. Golebiowski, W., Michalczyk, R., Battista, U., Dyrek, M., Derda, Z. and Wormnes, K., "Validated Simulator for Space Debris Removal with Nets and Other Flexible Tethers Applications," Acta Astronautica, Vol. 129, 2016, pp. 229~240. 

  10. Forshaw, J. L., Aglietti, G. S., Navarathinam, N., Kadhem, H., Salmon, T., Pisseloup, A. and Steyn, W. H., "RemoveDEBRIS: An In-orbit Active Debris Removal Demonstration Mission," Acta astronautica, Vol. 129, 2016, pp. 448~463. 

  11. Forshaw, J. L., Aglietti, G. S., Navarathinam, N., Kadhem, H., Salmon, T., Pisseloup, A. and Steyn, W. H., "The Active Space Debris Removal Mission RemoveDebris. Part 1: From Concept to Launch," Acta astronautica, Vol. 168, 2020, pp. 293~309. 

  12. Forshaw, J. L. and Aglietti, G. S., Navarathinam, N., Kadhem, H., Salmon, T., Pisseloup, A. and Steyn, W. H., "The Active Space Debris Removal Mission RemoveDebris. Part 2: In Orbit Operations," Acta astronautica, Vol. 168, 2020, pp. 310~322. 

  13. Shin, H.-C., Sim, C.-H. and Park J.-S., "A Simulation Study for Space Debris Capture Using a Space Net," The Society for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2021. 

  14. Dassault Systemes Simulia Corp., Abaqus users, Dassault systemes simulia Corp., 2013. 

  15. Brown, I. F., Burgoyne, C. J. and Elsevier, B. V., "The Friction and Wear of Kevlar 49 Sliding against Aluminum at Low Velocity Under High Contact Pressures," Wear, Vol. 236, No. 1-2, 1999, pp. 315~3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