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프로젝트 생산성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수립
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for Productivity Assessment in Construction Projec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3 no.3, 2022년, pp.3 - 12  

김준영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윤인석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정민혁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주선우 (삼성전자 건설기획그룹) ,  박성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홍영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조종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인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계획 수립에 표준품셈 등 작업 물량-투입 품의 비율을 생산성의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생산성 기준은 표준화된 반복작업이 많은 프로젝트에서 실효성이 높으나, 복잡성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표준적인 생산성 관리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 프로젝트의 실적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평균적 작업생산성보다는 당해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작업중단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작업시간의 영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작업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비작업요인의 영향성 산출을 통해 생산성을 평가하고 관리 포인트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생산성 측정 기준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부작업 프로세스와 유형별 비작업요인을 정의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획득가능 생산성 개념을 활용하여 개선 가능한 생산성 향상의 정도와 각 비작업요인별 생산성 저하 영향도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생산성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여 본 연구결과가 건설관리자에게 주요 생산성 관리 포인트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planning ratio of manpower and quantity of outputs produced, such as the construction estimate standard, is used as the criterion for labor productivity. This method is highly effective in construction projects with repetitive work,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pply ...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5)

  1. Abukhalaf, A.H.I., and Abusal, D. (2021). Measuring Labor Efficiency in Green Construction Projects. Academia Letters, 2. 

  2. Dozzi, S.P., and AbouRizk, S.M. (1993).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Ottawa: Institute for Research in Construc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p. 54. 

  3. Goodarzizad, P., Mohammadi Golafshani, E., and Arashpour, M. (2021). "Predicting the construction labour productiv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rasshopper optimisation algorithm."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Management, pp. 1-17. 

  4. Gouett, M.C., Haas, C.T., Goodrum, P.M., and Caldas, C.H. (2011). "Activity analysis for direct-work rate improvement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7(12), pp. 1117-1124. 

  5. Jibril, J.D., and Mukarram, M.A. (2020). "An evalu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of masonry work in construction sites in Kano, Nigeria." Bayero Journal of Pure and Applied Sciences, 12(2), pp. 40-48. 

  6. Khosrowpour, A., Fedorov, I., Holynski, A., Niebles, J.C., and Golparvar-Fard, M. (2014). "Automated worker activity analysis in indoor environments for direct-work rate improvement from long sequences of RGB-D images." In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14: Construction in a Global Network, pp. 729-738. 

  7. Kim, T.W., Yu, J.H., and Lee, H.S. (2003). "Productivity Management Methodology using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9), pp. 103-111. 

  8. Liou, F.S., and Borcherding, J.D. (1986). "Work sampling can predict unit rate productivit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2(1), pp. 90-103. 

  9. Rivas, R.A., Borcherding, J.D., Gonzalez, V., and Alarcon, L.F. (2011).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using craftsmen questionnaires: case study in a Chilean construction compan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7(4), pp. 312-320. 

  10. Son, C.B., and Lee, D.C. (2002). "An Analysis on the Factors Decreasing Productivity of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AIK, 18(12), pp. 125-132. 

  11.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2013). A system for modeling and measuring the labor productivity to improv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Standard Estimating System, MSIP Research Report, 2013-09. 

  12. Son, J.W., Yoon, J.S., Paek, J.H. (2003). "A Study on Construction Productivity Measurement Meth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10), pp. 101-108. 

  13. Thomas, H.R., and Daily, J. (1983). "Crew performance measurement via activity sampl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09(3), pp. 309-320. 

  14. Tomczak, M., and Jaskowski, P. (2020). "New approach to improve general contractor Crew's work continuity in repetitive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6(5), 04020043. 

  15. Jeon, S.H., and Koo, K.J. (2008). "Comparison of labor inputs from standard quantities per unit and actual quantities in apartment reinforced concrete work."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9(2), pp. 182-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