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의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Operation in Libra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2, 2022년, pp.179 - 207  

차성종 (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의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사전 및 사후점수 간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 변화에 나타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월 평균 독서량' 특성, '조사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학업성적' 특성, '설득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성별', '학업성적',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 및 토론능력 구성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과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도서관에서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further activating the reading discussion program by conducting a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ibrary,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25)

  1. Kwak, Jaeho & Lee, Kyunghwa (2017). The effects of havruta-style debate instruction on impro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9(3), 467-488. 

  2. Kim, Gyuwon & Cho, Mi-Ah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discussion-centered reading educ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 sociali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2), 207-228. 

  3. Kim, Se-Beom (2015).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shift in college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daptation of havruta - teaching methods-centered way. Theology and Ministry, 44, 389-415. 

  4. Kim, Seung-Hoan (2004). A study of the reading material use on the reading discuss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1-22. 

  5. Kim, Jungsook & Lee, Soonah. (2015). Exploring the effect of classroom reading discussion program based on havruta learning principles on elementary students' reading and speaking abiliti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509-533. 

  6. Park, Jung Hwa (2015a). Analysis on effects of public library's book debate program. Digital library, 79, 73-102. 

  7. Park, Jung Hwa (2015b). Analysis on effects of public library's book debate program. Digital library, 80, 73-126. 

  8. Song, Sun Hee (2010). The effect of pro-con cooperation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nd subject-specific interes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1), 103-19. 

  9. Ahn, Inja & Yoon, Seokyoon (2013). The study on effective factors of reading discussion for the young adults program of a local children care center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377-398. 

  10. Oh, Junghwa (2011). The pleasure of reading discussion. Jeonju City Library Newsletter, 1, 11-12. 

  11. Lee, Bora (2014).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expanding reading debate topics and effects on th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3), 459-490. 

  12. Lee, Eunju (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reading discussion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Research, 4(2), 141-158. 

  13. Lee, Jungyoun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debate classes using havruta. Language Science Research, 86, 279-301. 

  14. Lim, Yeojoo & Jeong, Yeonkyung (2014). A study of identifying are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89-107. 

  15. Jeon, Seong-Soo & Ko, Hyun-Seung (2015). Classroom with Questions Middle School. Seoul: Gyeonghyang BP. 

  16. Jeon, Seong-Soo & Yang, Dong-Il (2015). Habruta, the way to study questions. Seoul: Lion Books. 

  17. Jung, Jonggi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 in reading debat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353-373. 

  18. Jung, Haeran (2012). The Effects of Student Self-generated Questioning Strategy.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 Book Reading Children's Research Group (2003). Literature Class Through Reading Discussion. Seoul: Book Reading Children's Research Group. 

  20. Han, Sang-Ki (2007). Critical Thinking and Logic. Paju: Seokwangsa. 

  21. Arieli, Hezki & Kim, Jinja (2014). Talmudic Havruta Learning. Seoul: iMD Center. 

  22. Holzer, E. (2015). Welcoming opposition: havruta learning and montaigne's the art of discuss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44(1), 64-80. 

  23.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24. Parry, A. (2004). The Talmud. New York: Aplha. 

  25. Paul, R. & Elder, L. (2006). Critical Thinking: Tools for Taking Charge of Your Learning and Your Life. Boston: Pears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