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양육자의 독서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in Gyeonggi-do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2, 2022년, pp.133 - 155  

최인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 ,  윤성은 (대림대학교 방송음향영상학부) ,  김수경 (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황금숙 (대림대학교 도서관미디어정보과) ,  이선애 (김포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서 양육자의 독서 육아의 효과를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한 뒤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사업은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대상의 독서 복지를 위해, 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가정에 책꾸러미를 정기 배송하고, 유아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개별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양육자의 독서 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는 가정 문식성, 부모 효능감 이론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고, 이후 17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양육자 10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양육자는 독서 상호작용과 독서 육아 효능감 면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업 효과를 고려할 때, 이 정책은 특정 지역을 넘어서 보편적인 조기 유아 독서 복지 정책으로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dicatives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Gyeonggi-do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and thereby, suggest some data useful to the establishment of a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in Gyeonggi-do. Preceding studies ...

주제어

표/그림 (26)

참고문헌 (35)

  1. Kwon, O. (2002). Effect of Reading Program Using Metacognition on The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 Kim, J. & Kim H. (2003). Interactions between 2-and-4 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during a joint picture-book read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3), 57-71. 

  3. Park, H. & Lee, K. (202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oung children's parents efficacy test.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2(3), 97-122. 

  4. So, R. (2021). Conversational Analys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Shared Reading.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5. Shin, S. (1997).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6. Yeon, H. & Hyun, E. (2016).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guide of a mother on a young child's attitude towards read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6), 497-523. 

  7. Chung, K., Kyun, J., & Park, H. (2015). The development of scale fo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focused on parents and teach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6), 95-116. 

  8. Jung, D. & Shin, W. (2011). Perception and realities of reading guidance of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Journal of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12 (1), 137-163. 

  9. Jung, M. (2010). A study on validity of the parenting efficay scale. Journal of Parent Education, 7(1), 45-58. 

  10. Chung, H. (2014). Perceptions of literacy, literacy activities and methods of supports from the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146, 275-309. 

  11. Gy, S. & Ma, S. (2000). Development of reading attitude criterion of preschooler.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1, 39-57. 

  12. Choi, I. (2001). A Cultural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Somyeong. 

  13. Choi, I. (2020). Orientation of reader-centered literacy education for reading welfare. Journal of Reading Research, 56, 9-34. 

  14. Choi, H. (2002). Effects of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Stress, and Child's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5. Han, C. (2011). Macroscopic Reading Education. Seoul: Yeok Lak. 

  16. Anderson, R. (1984). Interestingness of children's reading material.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Technical Report, 323, 30. 

  17. Brown, L. (1986). Developing thinking am problem-solving skills with children's books. Childhood Education, 63(2), 102-107. 

  18. Cohen, L. (1997). How I developed my kindergarten book backpack program. Young Children, 52(2), 69-71. 

  19. O'Donnell, P. & Wood, M. (1999). Becoming Reader: A Developmental Approach to Reading Instruction.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20. Epstein, I. (1980). Measuring Attitudes Toward Reading. ERIC/TM Report 73. Princeton: ERIC Clearinghouse on Tests, Measurement and Evaluation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1. Gee, J. (2015). Social Linguistics and Literacies. 김영란 외 역 (2019). 사회 언어학과 서로 다른 리터러시.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2. Handsfield, L. (2016). Literacy Theory as Practice. 정옥년 외 역(2020). 문해, 믿음과 편견 그리고 실천. 서울: 학이시습. 

  23. Honig, A. & Wittmer, D. (1996). Helping children become more prosocial: ideas for classrooms,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Young Children, 51, 66-70. 

  24. Johnston, C. & Mash, E.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18(2), 167-175. 

  25. Johnston, C. & Mash, E. (1982). A comparison of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of younger and older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5), 1371-1381. 

  26. Machado, J. (2010). Early Childhood Experiences in Language Arts: Early literacy(9th.), Belmont: Wadsworth Cengage Learning. 

  27. Manson, M. (1982). Explorations in language arts for preschoolers (who happen to be deaf). Language Arts, 59(1), 33-45. 

  28. McLane, J., MacLane, J., & McNamee, G. (1990). Early Lite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29. Mcgee, L. (200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 Writers, 김명순, 신유림 (2000). 영유아의 문해발달 및 교육. 서울: 학지사. 

  30. Morrow, L. (2019). Literacy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권민균 역 (2012), 영유아 문해 발달과 교육(7판),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31. Morrow, L. & Tracey, D. (2015). Lenses on Reading, 박태호 외 역(2015), 읽기 교육 이론의 새로운 지평(2판),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32. Saracho, O. (1988). Preschool reading attitude scal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7(1), 93-108. 

  33. Sulzby, E. (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4), 458-481. 

  34. Schwanenflugel, P. & Flanagan, N. (2016). The Psychology of Reading. 서혁 외 역 (2021), 독서 심리학.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35. Whitehurst, G. & Christopher, J. (1998).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Child Development, 69(3), 848-8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