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 수업 딜레마 사례에 관한 탐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는 무엇을 학습하는가?
What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arn from Inquiry into Science Class Dilemma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2년, pp.338 - 355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 수업 딜레마 사례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탐구 활동이 교사교육에서 어떠한 효용성을 가지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딜레마 사례에 관한 초등 예비교사의 탐구 과정의 특징은 무엇이며 탐구를 통해 그들의 교육적 의사결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딜레마 사례 활용 교사교육의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교육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모둠별 프로젝트 학습 형태로 과학 수업 딜레마 사례에 관한 탐구 활동을 7주간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사전·사후 설문지, 모둠별 KWHL 표, 모둠별 탐구보고서, 모둠별 발표 자료 및 모둠별 토론 내용을 데이터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탐구 과정의 특징과 의사결정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추출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딜레마 사례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 주제를 탐구하면서 자신의 과학 학습 과정, 탐구 과정을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자신이 탐구를 통해 과학을 학습한 것처럼 초등학생도 유의미한 과학 탐구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또 예비교사들은 수업 주제와 관련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사고 과정이나 배경 지식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지도서와 교육과정 등의 문서를 조사하고 현장교사나 초등학생과 면담을 통해 '실제' 학생의 사고 과정이나 수준을 파악하고자 했고 이를 교육적 의사결정에 반영하였다. 또한, 딜레마 상황의 해결 방안을 한 가지 대안으로 귀결하지 않고 여러 가지 교수 방법을 비교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안이 가능함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딜레마 사례는 비구조화된 문제로서 예비교사에게 일종의 문제해결 상황을 제공하였고 예비교사의 과학적 탐구, 학생의 사고에 관한 탐구를 촉발하였으며 예비교사가 교수-학습의 복잡성을 인식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딜레마 사례 활용 교사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quiries into science class dilemmas. By close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quiry processes and changes in their educational decisions, the effectiveness of using dilemmas as part of teacher educat...

Keyword

표/그림 (5)

참고문헌 (43)

  1. 강기원(2003). 수업 갈등과 대응 전략: 초등 사회과 5학년 네 교사의 수업 딜레마. 초등교육연구, 16(2), 185-210. 

  2. 김주영(2011). 초등교사의 국어수업 딜레마에 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2, 313-345. 

  3. 김희경, 이봉우(2016). 교육실습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경험하는 딜레마의 유형과 대처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57-668. 

  4. 박종원, 윤혜경, 이인선(2021). 이론과 실행의 관계를 고려한 과학교사의 내용 지식과 교수 내용 지식 개념에 대한 논의. 교원교육, 37(3), 187-209. 

  5. 송현종, 이종봉, 이경호(2012). 초등학교 자기장 수업에서 한 교사가 경험한 딜레마에 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32(1), 95-103. 

  6. 윤혜경, 장병기, 이선경, 박정우, 박형용(2020). 함께 생각해 보는 과학 수업의 딜레마. 북스힐 

  7. 윤혜경, 한문현(2020). 초등교사는 과학 수업에서 어떠한 딜레마를 경험하고 어떻게 대응하는가?. 초등과학교육, 39(2), 268-283. 

  8. 윤혜경(2005).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98-110. 

  9. 윤혜경(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0. 이종봉, 이경호(2012). 한 과학교사가 뉴턴 제1 법칙을 가르치면서 경험하는 딜레마: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의 이분법적 사고. 교육과학연구, 43(2), 53-73. 

  11. Abell, S. K., Bryan, L. A., & Anderson, M. A. (1998).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reflective thinking using integrated media case-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Science education, 82(4), 491-509. 

  12. Ball, D. L., & Forzani, F. M. (2009). The work of teaching and the challenge for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 497-511. 

  13. Barker, D., Lamin, J., Winsor, M., & Kirwan, J. (2018). Integrating knowledge for instruction: A tale of two teachers. Mathematics Enthusiast, 16(1), 331. 

  14. Brickhouse, N. W. (1993). What counts as successful instruction? An account of teacher's self account. Science Education, 77(2), 115-129. 

  15. Bryan, L. A., & Abell, S. K. (1999). Develop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in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121-139. 

  16. Darling-Hammond, L. (2006). Constructing 21st-century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 300-314. 

  17. Donovan, S., & Bransford, J. (2005). How students learn. National Academies Press. 

  18. Doyle, W. (1990). Case methods in the education of teacher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7-15. 

  19. Gallucci, K. (2008). Learning concepts with cas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6, 16-20. 

  20. Garvin, D. A. (2003). Making the case: Professional education for the world of practice. Harvard Magazine, 106, 56-65. 

  21. Gravett, S., Henning, E., & Eiselen, R. (2011). New teachers look back on their university education: Prepared for teaching, but not for life in the classroom. Education as Change, 15(Sup1), S123-S142. 

  22. Grossman, P., & McDonald, M. (2008). Back to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5, 184-205 

  23. Harrington, H. L. (1995). Fostering reasoned decisions: Case based pedagogy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 (3), 203-214. 

  24. Heller, J. I., Daehler, K. R., Wong, N., Shinohara, M., & Miratrix, L. W. (2012). Differential effects of three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s on teacher knowledge and student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3), 333-362. 

  25. Hiebert, J., Gallimore, R., & Stigler, J. W. (2002). A knowledge ba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would it look like and how can we get one?. Educational researcher, 31(5), 3-15. 

  26. Holyoak, K. J. (1991). Symbolic connectionism: Toward third-generation theories of experti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Intrator, S. M., & Kunzman, R. (2009). Grounded: Practicing what we preac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5), 512-519. 

  28. Kagan, D. M. (1992). Professional growth among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2), 129-169. 

  29. Levin, B. (1995). Using the case method in teacher education: The role of discussion and experience in teachers' thinking about cas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1), 63-79. 

  30. Levin, B. (2002). Dilemma-based cases written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candidates: An analysis of process and content. Teaching Education, 13(2), 203-218. 

  31. Lohmander, M. K. (2015). Bridging 'the gap'-linking workplace-based and university-based learning in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Sweden. Early Years, 35(2), 168-183. 

  32. Lundeberg, M. A., & Fawver, J. E. (1994). Thinking like a teacher: Encouraging cognitive growth in case analysi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5 (4), 289-297. 

  33. Merriam, S. B. (1988).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San Francisco: Jossey-Bass. 

  34. Merserth, K. (1996). Cases and case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In J. Sikula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722-744). New York, NY: Simon & Schuster. 

  35. Merseth, K. K. (1991). The early history of case-based instruction: Insights for teacher education toda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2(4), 243-249. 

  36. Mostert, M. P. (2007). Challenges of case-based teaching. The Behavior Analyst Today, 8, 434-442. 

  37.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38. Roth, K. J., Givvin, K. B., & Chen, C., Lemmens, M. & Garnier, H. (2010). Pre-service teacher learning from online, video case-based modules: Results from the Video cases for Science Teaching Analysis (ViSTA)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ARST), Philadelphia, PA. 

  39.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40. Shulman, J. (Ed.). (1992). Case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1. Shulman, L. S. (2004). The wisdom of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2. Tal, C. (2010). Case studies to deepen understanding and enhance classroom management skills in preschool teacher trai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8, 143-152. 

  43. Zeichner, K. (2010). Rethinking the connections between campus courses and field experiences in college- and university-base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1(1-2), 89-9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