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디지털교과서의 물질 영역에 나타난 외적 표상의 양식과 제시 방법, 상호작용성 분석
Analyzing the Form, Presentation, and Interactivity of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Digital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2, 2022년, pp.418 - 431  

김혜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신기덕 (서울대학교 대학원) ,  노태희 (서울대학교) ,  김민환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의 물질 영역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양식과 제시 방법, 상호작용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3~6학년 디지털 과학교과서에서 물질 영역을 다루는 단원을 '본문'과 '탐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적 표상의 양식은 시각언어 표상과 시각비언어 표상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청각비언어 표상은 본문에만 높은 빈도로 제시되고 청각언어 표상은 본문과 탐구 전체에서 낮은 빈도로 제시되었다. 제시 방법 측면에서 언어적 표상과 시각비언어 표상이 함께 나타난 경우에는 대부분 시각언어 표상과 시각비언어 표상이 함께 제시되었다. 시각언어 표상, 청각언어 표상, 시각비언어 표상이 함께 제시된 경우 중 일부에서 시각언어 표상과 청각언어 표상의 정보가 중복적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내용과 관계없는 청각비언어 표상이 다른 외적 표상들과 함께 제시되었으며, 그 빈도는 특히 본문에서 높았다. 근접성 측면에서 시각언어 표상과 시각비언어 표상이 다른 페이지에 배치되는 경우는 없었고, 청각언어 표상을 시각비언어 표상과 다른 시점에 제시하는 경우도 없었다. 상호작용성 측면에서는 설명적 피드백과 낮은 수준의 조작이 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 표상 학습의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orm, presentation, and interactivity of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digital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previou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3)

  1. 강훈식, 김유정, 노태희(2007). 제7차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물질 단원에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90-200. 

  2. 강훈식, 윤지현, 이대형(2008). 제7차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7(2), 158-169. 

  3.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8).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가이드. 대구광역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 권이영, 유형빈, 정은영(2011).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 분석. 생물교육, 39(4), 517-528. 

  5. 김노아, 장진아, 송진웅(2018).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특징 비교: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힘'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12(3), 309-330. 

  6. 김형진, 이규호, 신명경, 권경필(2014). 초등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 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3), 641-656. 

  7. 김혜진, 손연아, 민병미(2009). 고등학교 생물1 교과서에 포함된 시각 자료 분석틀의 개발과 적용. 생물교육, 37(3), 390-402. 

  8. 송나윤, 홍주연, 노태희(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디지털교과서의 물질 단원에서 나타난 외적 표상의 활용 실태 분석. 대한화학회지, 64(6), 416-428. 

  9. 오민기, 정은영(2019). 중학교 과학 교과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 삽화 분석. 교육과학연구, 21(1), 179-200. 

  10. 오지연, 박지선,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한국초등교육, 28(2), 19-30. 

  11. 이기영(2009).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및 구조 분석: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97-908. 

  12. 이수경(1998). 애니메이션과 인지양식이 과학적 이해와 파지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4(2), 69-102. 

  13. 조광희, 조헌국, 윤혜경(2015). 초중고 과학 교과서의 전자기 단원에 제시된 시각적 표상의 유형. 새물리, 65(4), 343-357. 

  14. Ainsworth, S. (1999). The functions of multiple representations. Computers & Education, 33(2-3), 131-152. 

  15. Ardak, D., & Akaygun, S. (2005). Using static and dynamic visuals to represent chemical change at molecular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1), 1269-1298. 

  16. Berthold, K., & Renkl, A. (2009). Instructional aids to suppor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ultiple represent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1), 70-87. 

  17. Clark, R. C., & Mayer, R. E. (2008).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2nd ed.). San Francisco, CA: Pfeiffer. 

  18. Gilbert, J. K. (2009). Multiple representations in chemical education (Vol. 4, pp. 1-8). D. F. Treagust (Ed.). Dordrecht: Springer. 

  19. Gkitzia, V., Salta, K., & Tzougraki, C.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itabl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chemical representations in school textbook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2(1), 5-14. 

  20. Han, J., & Roth, W. 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2), 173-201. 

  21. Kalyuga, S. (2007). Enhancing instructional efficiency of interactive e-learning environments: A cognitive load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9(3), 387-399. 

  22. Kozma, R. (2003). The material features of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their cognitive and social affordances for science understanding.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205-226. 

  23. Mayer, R. E. (2003). The promise of multimedia learning: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across different media.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125-139. 

  24. Mayer, R. E., & Moreno, R. (2002). Aids to computerbased multimedia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12(1), 107-119. 

  25. Paivio, A. (1986). Mental representation: A dual coding approac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6. Russell, J. W., Kozma, R. B., Jones, T., Wykoff, J., Marx, N., & Davis, J. (1997). Use of simultaneous-synchronized macroscopic, microscopic,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to enha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emical concept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4(3), 330-334. 

  27. Seufert, T. (2003). Supporting coherence formation in learning from multiple representations. Learning and Instruction, 13(2), 227-237. 

  28. Treagust, D. F., Chittleborough, G., & Mamiala, T. (2003). The role of submicroscopic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in chemical expla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1), 1353-1368. 

  29. van Someren, M. W., Reimann, P., Boshuizen, H. P. A., de Jong, T., & Reimann, P. (1998). Introduction. In M. W. van Someren, P. Reimann, H. P. A. Boshuizen & T. de Jong (Eds.),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pp. 1-5). Oxford, UK: Pergamon. 

  30. Veronikas, S., & Shaughnessy, M. F. (2005). An interview with Richard Mayer.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2), 179-189. 

  31. Wang, C., Fang, T., & Gu, Y. (2020). Learning performance and behavioral patterns of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Impact of cognitive load and affordances of different multimedia. Computers & Education, 143, 103683. 

  32. Williamson, V. M., & Abraham, M. R. (1995). The effects of computer animation on the particulate mental models of college chemistr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5), 521-534. 

  33. Wu, H. K., Lin, Y. F., & Hsu, Y. S. (2013). Effe cts of representation sequences and spatial ability on students' scientific understandings about the mechanism of breathing. Instructional Science, 41(3), 555-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