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노인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 요인 : 건강 특성과 의료서비스 특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Health Characteristics and Medical Service Characteristic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5, 2022년, pp.788 - 797  

곽지영 (숭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신은경 (단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가장 높은 장애노인의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노인의 건강 특성과 의료서비스 특성이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장애노인 3,323명이며,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제변수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β= -.045, p<.05), 거주형태(β= -.048, p<.05)가, 건강 특성 중에서는 IADL(β=-.044, p<.05)이, 의료서비스 특성의 경우는 의료시설 및 장비 만족도(β= .290, p<.001), 의료진의 장애이해 정도(β= .404, p<.001), 건강관련 서비스 이용여부(β= .182, p<.05)가 의료서비스 만족도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여성일수록, 1인 가구가 아닌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타인의 지원이 불필요할수록, 의료시설 및 장비에 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료진의 장애이해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관련 서비스를 많이 이용할수록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건강관리 및 자기결정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 의료체계에서 건강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of the disabled elderly who have the highest need for medical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effect of health characteristics and medical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elderly on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w...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2)

  1.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12/1205709. 2022.03.06. 

  2. 권순만, "인구 고령화와 의료비 지출 및 장기요양제도 도입의 정책 과제,"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2호, pp.1-22, 2006. 

  3. 김성희, 이연희, 오욱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오다은, 강동욱,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4.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61_N003&vw_cdMT_ZTITLE&list_idG_22&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5. 김성희, 황주희, 김용진, 노승현, 이동석, 정희경, 장애인의 건강한 삶 정착을 위한 건강권 증진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6. 노승현, "장애노인 가구의 과부담 보건의료비 결정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51-77, 2012. 

  7. 노승현, "고령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51-82, 2012. 

  8. 임종한, 김슬기, 김주경, 박종혁, 오영철, 이문희, 임석영, 장애인 건강권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증진실태조사, 2014. 

  9. 노승현, "중고령 장애인 가구와 비장애인 가구의 재난적 의료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5집, 제3호, pp.107-130, 2019. 

  10. 배나래, 박충선.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61-779, 2009. 

  11. 전해숙, 강상경,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만성질환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47-1263, 2011. 

  12. R. M. Andersen,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6, No.3, pp.1-10, 1995. 

  13.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2000. 

  14. 이현주, 강정인, "산재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19-327, 2011. 

  15. 김연규, 장애아동 부모의 의료재활서비스 만족도 -서울시,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지온, 박영희, "의료서비스경험에 따른 외래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영향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5-30, 2021. 

  17. 윤태호, 정백근, 강윤식, 이상이, 김철웅, "장애유형별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 보건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3-51, 2007. 

  18. 이숙향, 홍주희, 염지헤, "발달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1권, 제2호, pp.45-78, 2018. 

  19. 이숙향, 안혜신, 송명숙, 홍주희, "지체 및 시각.청각 장애인들의 의료서비스 이용 및 자기결정 경험을 통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지원요구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2권, 제4호, pp.67-101, 2019. 

  20. M. Siahpush, M. Spittal, and G. K. Singh,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prospectively predict self-related health, physical health, and the presence of limiting, ling-term health conditions," American J of Health Promotion, Vol.23, No.1, pp.18-26, 2008. 

  21. A. Sacker, A. Ross, C. A. MacLeod, G. Netuveli, and G. Windle, "Health and social exclusion in older age: Evidence from understanding Society, the UK household longitudinal study," J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71. No.7, pp.681-690, 2017. 

  22. 이은실,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과제," 연금이슈 &동향분석, p.54, 2018. 

  23. 김정운, 오명화, 백지영, 이재신, "재가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5-26, 2013. 

  24. 이달엽, "제 5 차 장애인고용패널 장애인 삶의 질과 만족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pp.706-720, 2016. 

  25. 이원식,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5권, 제2호, pp.5-37, 2018. 

  26. 김보경, 이천귀, 박수경, "근육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62권, 제3호, pp.197-220, 2019. 

  27. 이규일, 김인순, 강병근, "지체장애인의 의료시설 접근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23권, 제1호, pp.111-114, 2003. 

  28. 전보영, 권순만, "장애인의 보건의료 접근성 저해 요인: 경제적 부담, 교통 불편,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미충족의료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3호, pp.145-171, 2015. 

  29. 정혜인, 외래환자의 병원선택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0. 김정덕,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의 입법고정 및 정책분석," 의정논총, 제14권, 제1호, pp.193-219, 2019. 

  31.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39538. 2022.03.07. 

  32. K. Fiscella and P. Shin, "The inverse care law; Implicatio-n for healthcare of vulnerable polulations," J of Ambulatory Care Management, Vol.28, No.4, pp.304-312,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