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인지욕구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spect and Cognitive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edia Utilization and Critical Media Understanding 원문보기

한국교육논총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43 no.1, 2022년, pp.29 - 57  

김다솔 (대전새미래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 미디어패널 2020의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능력, 자아존중감, 인지 욕구가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PC 활용 능력과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은 청소년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PC,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인지 욕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PC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이메일 활용 능력과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PC와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PC와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인 상호작용의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 및 기술 교과는 인지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미디어 활용 능력 중심의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그 외의 교과에서 미디어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media literacy, self-esteem, and cognitive related to on critical media understand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PC literacy and smart device literacy influenced adolescents' c...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교육부 (2015a).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세종: 교욱부. 

  2. 교육부 (2015b).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6]. 세종: 교욱부. 

  3. 교육부 (2015c).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3]. 세종: 교욱부. 

  4. 교육부 (2018).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별책7]. 세종: 교욱부. 

  5. 교육부 (2020).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별책10] 

  6. 김경희.김광재.이숙정 (2017).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및 지역별 격차 측정 조사. 경기: 한국방송통신위원회. 

  7. 김다솔.최완식 (2016). 중학교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영역의 내용체계 구명.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1-22. 

  8. 김다솔 (2020).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따른 군집 유형과 학업태도의 관계. 교육발전, 40(2), 241-259. 

  9. 김영미, 박윤조. (2021).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7), 480-487. 

  10. 김현진.김현영.김은영.최미애 (2019).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박희랑. (2010). 인지욕구 수준과 성별이 모바일 광고에 미치는 영향. OOH광고학연구, 7(3), 147-170. 

  12. 배경의.강양희 (2007). 부산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성태도, 성행동 및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0(1), 36-47. 

  13. 심미선 (2019). 자아존중감과 미디어 이용간의 관계 연구. 미디어와 인격권, 5(2). 179-210. 

  14. 안도헌 (2020). 디지털 가짜뉴스에 대한 청소년의 확증 편향 연구: 경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1), 77-105. 

  15. 유두련. (2014).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자아존중감에 따른 친환경태도와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 소비자문제연구, 45(3), 183-206. 

  16. 이석용.정이상. (2010). 웹 2.0 시대의 SNS (Social Network Service) 에 관한 고찰. 경영과 정보연구, 29(4), 143-167. 

  17. 이용준.권이은 (2020). Post-truth 시대의 가짜 뉴스와 리터러시 교육의 중점. 리터러시연구, 11(6), 101-134. 

  18. 이은숙, 이경순. (2018).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교육공학연구, 34(3), 495-523. 

  19. 이주형, 김기연 (2021). 노인의 교육 수준이 비판적 미디어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2(5). 443-474. 

  20. 이현경 (2021). 초.중등 합쳐 51시간 절대 부족⋯"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정보' 독립 교과 편성해야. 동아사이언스, 2021년 3월 23일 기사. 

  21. 이하나.양승목 (2018).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 비교 분석: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이용 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5), 175-214. 

  22. 정만수 (2014). 연령과 인지욕구가 스마트폰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마트폰 의존도, 앱 활용도, 앱 호감도, 사생활침해 우려, 광고회피행동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6), 105-133. 

  2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a). 2021년 미디어 통계 수첩. 충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b). 2022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충북: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5. 장은주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새국어교육, 125, 39-68. 

  26. 장윤재.김미라 (2020). 참여적 뉴스 이용의 효과: 메신저, SNS를 통한 뉴스 이용과 뉴스 및 언론인에 대한 신뢰. 한국언론정보학보, 99, 245-274. 

  27. 장재훈 (2021). 거세지는 '기술' '가정' 분리 요구 .. 기술교육단체, 교육부에 독립 건의. 에듀프레스. 2021년 8월 17일 기사 

  28. 최인호, 염정윤, 김류원, 정세훈. (2018). 소득, 연령, 인지욕구가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2), 181-221. 

  29. 최정화 (2021). 대학생들의 SNS 이용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9(5), 433-442. 

  30. 최재붕 (2019). 포노 사피엔스. 서울: 샘앤파커스. 

  31. 허윤철 (2020).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 효과. 한국언론정보학보, 101, 506-534. 

  32. 홍남희 (2021).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과 아동, 청소년: 미디어 이용 취약층에서 일탈의 프로슈머까지. 한국언론정보학보, 107, 149-180.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