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경궁 명정문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Elements in Myeongjeong-gate of Changgyeong-palace, Seoul,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8 no.2, 2022년, pp.87 - 95  

이광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목제문화재연구소) ,  조상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창경궁 명정문 목부재에 대해 수종과 연륜연대분석을 진행하여 재질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명정문 목부재(79점)의 수종은 소나무류 78점, 전나무속 1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TSAP 프로그램으로 크로스데이팅을 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소나무류 목부재 58점에 대한 최외각 연도는 1604년 초봄-1615년 늦가을, 1706년 늦가을-1707년 초봄, 1828년 늦가을-1834년 늦가을로 총 3개의 벌채시기가 확인되었다. 1600년대와 1800년대 벌채시기들은 조선왕족실록, 광해군일기, 창경궁영건도감의궤의 수리기록과 일치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1700년대 벌채시기는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아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은 수리기록을 연륜연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imed to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Myeongjeong-gate of the Changgyeong-palace, Seoul, Korea. Of the 79 wooden elements evaluated, 78 were confirmed to be hard pines and one belonged to Abies spp.. Cores of the wooden elements were collected using...

주제어

참고문헌 (17)

  1. Baillie, M.G.L. 1982, Tree-ring dating and archaeology. Croom Helm, London.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0, Report on the survey and repair of the Gyeonghoeru.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0, Report on the repair of the Myeongjeong-gate in Changgyeong-palace. 

  4. Jo, S.Y. and Kim, S.C., 2021, Infrared irradi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en fish excavated from Wiryeseong fortress on Seonggeosan mountain in Cheonan.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26, 13-24. 

  5. Kim, Y.J. and Park, W.K., 2005, Tree-ring dating of Korean woodcraft of the late Joseon and the modern era: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6(8), 247-274. 

  6. Kim, Y.K. and Han, K.S., 2019, A study of weather resistance on Dancheong ground treatment of tranditional wooden building 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5(5), 480-493. 

  7. Lee, K.H., Lee, U.C., Kang, P.W. and Kim, S.C., 2021, Analysis and tree-ring dating of wooden coffins excavated from Incheon Sipjeong-dong sit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9(1), 67-81. 

  8. Lee, K.H., Park, C.H. and Kim, S.C., 2020,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en elements in Daewoong-jeon of Hwagye-temple, Seoul,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5), 326-332. 

  9. Lee, K.H., Seo, J.W. and Han, G.S., 2018, Dating wooden artifacts excavated at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and interpreting the paleo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od ident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3), 241-252. 

  10. Lee, P.W., 1997, Properties and uses of Korean wood (I).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11. Norrgard, S. and Helama, S., 2021, Dendroclimatic investigations and cross-dating in the 1700s: the tree-ring investigations of Johan Leche (1704-1764) in Southwestern Finland.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51(2), 267-273. 

  12. Park, W.K. and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50, 9-28. 

  13. Park, W.K., Son, B.H. and Han, S.H., 2003,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2(3), 53-63. 

  14. Schweingruber, F.H., 1988, Tree rings: basics and applications of Dendrochro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Holland. 

  15. Soltani, M., Pourtahmasi, K. and Mohammadi, M., 2021, Checking the originality of tar musical instrument by using Dendrochronology. Scientific Culture, 7(3), 1-12. 

  16. Son, B.H., Kim, J.H., Nam, T.K., Lee, K.H. and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9(3), 213-220. 

  17. Speer, J.H., 2010, The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U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