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판 문화재 보존처리를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8 no.2, 2022년, pp.166 - 179  

조상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박정혜 (진성문화재보존)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목판 문화재의 보존처리를 위해 열화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 Beeswax, Paraloid B-72, 아교, H.P.C 처리제 적용에 따른 시험편의 중량변화와 수축률, 색 변화, 침투확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래의 색을 유지하며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처리제로 Dammar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목판 문화재와 손상 상태가 유사하며 목판 문화재의 주요수종과 유사한 열화된 산공재 수종을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의 적용농도 및 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Dammar 농도별(2%, 5%) 도포와 Dammar 농도별(10%, 15%) 함침을 진행하였으며 중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연의 색을 유지하면서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Dammar 2% 도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충해 및 열화가 심한 목판 문화재의 강화처리에는 Dammar 2% 도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est piece was produced using deteriorated pine tree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and weight change, color change and penetrat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ie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ammar, Wax, Paraloid B-72, Animal glue and H.P.C treatme...

주제어

참고문헌 (12)

  1. Cha, M.Y., Park, S.Y., Yoon, Y.H. and Lee, G.R., 2014, Conservation of bamboo dining tables excavated from Taean Mado Shipwreck No. 1. Conservation Study, 35, 45-55.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0, Temples woodblocks conservation processing guide book. 

  3. Kim, E.H., 2016, Hydroxypropyl cellulose treatment for surface stabilizing of Polyethylene glycol-treated waterlogged wood. Master's thesis, Chungbo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4. Kim, S.C. and Shin, S.P., 2007, Experimental study for consolidating materials of the excaveted wooden coffi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 81-88. 

  5. Kim, S.C., 2003, PEG concentration and solvent selection for freeze-drying of waterlogged archeaological woods. Master's Thesis, Chungbo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6. Korean Studies Institute, 2022, Introduction to woodblocks. https://gunwi.go.kr/mokpan/sitemenu/view.do?menuCode49 (04/01, 2022). 

  7. Kyotaro, N. and Kenzo T., 1994, Conservation and installation of artistic handicrafts, Fuji Techno System. 

  8. Lee, M.J., 2012, A study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ambong-Jip Woodblocks.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9.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0, Conservation of wood cultural heritage. 

  10. Seo, J.H. and Park, S.J., 2011, Conservation of lacquered furniture and Woodblocks. The Jounal of Conservation Properties, 8, 36-49. 

  11. Song, J.A. and Jeong, A.R., 2013, Conservation treatment of Mituri (hemp shoes) of the Choseon Dynasty in Sacheon, South Korea, Conservation Study, 34, 50-61. 

  12.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 (04/01, 20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