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25전쟁 전사자 유품의 과학적 보존: 지상작전사령부 소장 지역유품 중심으로
Scientific Preservation of the Relics left by the Fallen Heroes of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Local Relics Kept by the Ground Operations Command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8 no.2, 2022년, pp.144 - 153  

박민선 (서울역사박물관 보존과학과) ,  오승준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이호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방부 유해발굴단을 통해 발굴된 지역 유품 중 지상작전 사령부 전시관에 소장된 7건(정화제병, 독수리문양 단추, 계급장, 반합, M1 Grand-총기손질도구, 카빈완탄, 탄통)의 6·25 전사자 유품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FT-IR 분석 결과 정화제병 내부 잔존물이 Trisodium phosphate와 유사 스펙트럼으로 확인되어 전쟁 시 식수 및 식품 정화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3차원 디지털 촬영기법을 통해 육안으로 관찰이 어려운 탄통의 각인된 명문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미경 및 육안 관찰 등을 기초로 한 상태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을 수립하고 안정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전쟁 유품에 대한 보존처리 방향성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and preservation treatment for the local 7 relics (depurator bottle, eagle patten button, rank insignia, mess tin, M1 Grand-gun cleaning tool kit, Carbine bullet, cartridge) of the fallen of Korean War excavated through the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

주제어

참고문헌 (12)

  1. Cho, S.K., 2009, A study on the spiritual values of the excavation projects of the Korean War deads' remains. Military History, 71, 291-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evi Meenakshi, S., Rajendran, S., Sathiyabama, J. and Rathish, R.J., 2017, Corrosion resistance of steel rebar in simulated concrete pore solution in presence of trisodium phosphate and Zn 2+ . Int J Nano CorrSci and Engg, 4(2), 1-25. 

  3. Jo, H.N., Nam, D.H., Lim, M.H. and Lee, J.S., 2021, A study on conservation and desalination for iron weapons during the Korean War from DMZ.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7(6), 821-8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u, G.B., 2014, A study on the status of exhumation of the remains of the Korean War and reinforcement of qualitative capacity. Journal of Military History Studies, 137, 219-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H.S., 2017, The study on the repatriation of POW and excavation of fallen soldiers during the Korean War. Journ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16(4), 81-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o, J.S., 2021, Excavation of the Korean War fallen and use of its objects as historical sourc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 2013, They were brought into the arms of their country: 13 years of the Korean War dead excavation project.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 68-70. (in Korean) 

  8. 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 2018, Korea warlord of relic data collection of warrior's relics 2. (in Korean) 

  9. Park, D.C., 2014, A study in Statistics for the Korean War.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MND, 200-202. (in Korean) 

  10. R.O.K.Joint Chiefs of Staff, 2001, UNC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handbook. 5, 173-174. (in Korean) 

  11. Yang, H.W., Lee, S.Y., Park, M.S., Lee, H.Y. and Wi, K.C., 2020, Scientific examination and conservation of relics recovered at the site of excavation of the remains of the 6.25 War deads.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e Properties, 17, 96-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ang, U.J., Lee, H.S., Lee, J.H., Jang, B.Y. and Wi, K.C., 2021, Scientific conservation for the Korean War fallen warriors relics held in the display room of the Daejeon National Cemetery.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e Properties, 18, 122-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