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 of Daegu Modern History Museum Collection Rickshaw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8 no.2, 2022년, pp.133 - 143  

이의천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이영주 (대구근대역사관 전시운영과)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구근대역사관 소장 인력거의 재질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재질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근·현대문화재의 재료를 확인하고, 보존 및 관리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금속, 목재, 섬유, 도료를 대상으로 P-XRF, 수종분석, 섬유동정, 도막층 분석(층상 구조, SEM-EDS, FTIR)을 실시한 결과, 금속은 구리(Cu), 아연(Zn), 황동(Brass)과 철(Fe)로 확인되었다. 목재는 상수리나무류, 삼나무, 대나무아과, 비자나무속이 식별되었으며, 이 중 삼나무는 일본 자생종으로 인력거 제작 당시 일본에서 목재를 수입하여 제작하고, 근대 일본 인력거의 제작 양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섬유는 면(Cotton)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가죽(Leather)도 확인되었다, 도막층은 캐슈(Cashew)를 사용하여 1회 이상 도포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인력거 몸체부는 섬유층, 토회층, 도료층, 채색층이 중복되어 관찰되고, 성분이 다른 적색 안료(산화철진사)층이 관찰된 점을 보아, 과거 일부 보수 및 보존처리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ickshaw (Owned by the Daegu Modern History Museum) by measuring each materia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materials in modern cultural assets that utilize a variety of materials in a complex way, and establish basic data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

주제어

참고문헌 (21)

  1. Cho, P.Y., 1989, Seoul General Dictionary. Chungdong publisher. (in Korean) 

  2. Choi, J.W. and Kim, S.C., 2018, Analysis of lacquer and CNSL using infrared spectrometer and pyrolysis-GC/M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1), 1-9.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3.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rticle 3, 2012, Act No. 18157. (in Korea with English) 

  4. Jang, E.H. and Choe, H.Y., 2014, Report on the modern relics conservation management case.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e Properties, 6-19.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5. Jang, Y.H., Yun, E.Y., Kim, Y.I. and Park, J.Y., 2016, Form and material analysis of Yuso used in Joseon period scroll pantings. Conservation, 17, 69-84.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C., Choi, J.W. and Lee, J.E., 2016,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 of modern cultural heritage Rickshaw.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1), 33-42.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C., 2019, A study on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collection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The Buddhist Art, 30, 73-109.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8. Kong, S.H., 2019, Material composition and change of baekdong alloy in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52(3), 38-55.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9. Lee, G.T., 1969, Modern transformation Korea, 3. Shintaeyang publisher. (in Korean) 

  10. Lee, P.W., 1994, The structure of Korean wood. Jmpub, 16-34. (in Korean) 

  11. Lee, P.W., 1997,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Korean wood.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6-63. (in Korean) 

  12. Lee, U.C., 2021, Analy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wooden furniture painting: a study of cases in Korea modern wooden furniture.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1-84.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Y.H., 2004, Story of Korean history 22. Hangilsa. (in Korean) 

  14. National Folk Museum Korea, 2005,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ng fiber. Springer, 27-54. (in Korean)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A basic guide to the preservation of modern movable cultural heritage. 4-5. (in Korean)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8, Scientific analysis on artifacts. 138-142. (in Korean) 

  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20, Natural inorganic pigment. 35-55. (in Korean) 

  18. Park, S.J., 1987, Wood tissues and identification. Hyangmoonsa, 284-356. (in Korean) 

  19. Tetsuo, M.Y.K.S., 2007, Lacquer and macromolecule. The Polymer, 56(8), 608-613. (in Japan) 

  20.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20, Memories of exploiting rural areas of Japapnese colonial era: Jeongeup Hwahori village. 154-223. (in Korean) 

  21. Yang, S.E., 2008, Restoration for modern architectural drawing. Conservation of The Archives. National Archives of Korea, 1, 29-37.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