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유비퀴틴화 효소 DUBs의 비만 및 대사 관련 질환에서 병태생리학적 기능
Pathophysiological Functions of Deubiquitinating Enzymes in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eas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6, 2022년, pp.476 - 481  

이슬기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교실) ,  권택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비퀴틴화는 단백질 안정성 조절을 통해 진핵세포 내 광범위한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탈유비퀴틴화 효소인 deubiquitinating enzymes (DUBs)은 표적단백질의 유비퀴틴 혹은 ubiquitin-like proteins에 결합하여 표적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DUBs의 역할은 주로 암생물학에서 다루어져 왔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암 치료용 DUBs 억제제가 개발 중인 상황이다. 한편,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DUBs가 비만, 당뇨, 지방간을 포함한 대사질환에서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했다. 대사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 각기 다른 종류의 DUBs는 양적 혹은 음적 조절 작용을 갖음을 제시하였다. DUBs는 세포 내 다양한 전사인자의 단백질 발현 등 조절함으로써 대사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기여할 수 있음 생체 내, 외 및 인간 조직을 활용한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UCH, USP7 및 USP19는 지방세포의 분화, 체중 증가, 및 인슐린 저항성에 관련이 있음을 식이 혹은 유전자조작으로 인한 비만 유도 마우스에서 검증하였다. CYLD, USP4 및 USP18의 경우 지방간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경우에 따라 체중 변화를 동반한다. 종합적으로, 본 총설에서는 비만 및 이와 관련한 대사질환에서 DUBs의 역할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 및 동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DUBs에 새로운 역할에 관한 기초지식 및 분자적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DUBs가 대사질환의 새로운 유전자 타겟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biquitin signaling regulates virtually all aspects of eukaryotic biology and dynamic processes in which protein substrates are modified by ubiquitin. To regulate these processes, deubiquitinating enzymes (DUBs) cleave ubiquitin or ubiquitin-like proteins from these substrates. DUBs have been impli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사질환의 발병은 세포 내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축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단백질 합성, 접힘, 성숙까지 일련의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처리과정에 있어 DUB의 발현 및 활성 변화가 필수적으로 주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14]. 본 총설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비만 및 관련 대사질환에서의 DUBs의 역할 및 이의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내용들을 정리하여 향후 DUB를 표적으로 한 대사질환 신규치료 전략 수립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koumianakis, I. and Sanna, F. 2019. Adipose tissue-derived WNT5A regulates vascular redox signaling in obesity via USP17/RAC1-mediated activation of nadph oxidases. Sci. Transl. Med. 11, 510. 

  2. An, S., Zhao L. P., Shen, L. J., Wang, S., Zhang, K., Qi Y., Zheng, J. ,Zhang, X. J., Zhu, X. Y., Bao, R., Yang, L., Lu, Y. X., She, Z. G. and Tang, Y. D. 2017. USP18 protects against hepatic steatosis and insulin resistance through its deubiquitinating activity. Hepatology 66, 1866-1884. 

  3. Coyne, E. S., Bedard, N., Gong, Y. J., Faraj, M., Tchernof, A. and Wing, S. S. 2019. The deubiquitinating enzyme USP19 modulates adipogenesis and potentiates high-fat-diet-induced obesity and glucose intolerance in mice. Diabetologia 62, 136-146. 

  4. Darling, S., Fielding, A. B., Sabat-Pospiech, D., Prior, I. A. and Coulson, J. M. 2017. Regulation of the cell cycle and centrosome biology by deubiquitylases. Biochem. Soc. Trans. 45, 1125-1136. 

  5. Gao, Y., Koppen, A., Rakhshandehroo, M., Tasdelen, I., van de Graaf, S. F., van Loosdregt, J., van Beekum, O., Hamers, N., van Leenen, D., Berkers, C. R., Berger, R., Holstege, F. C., Coffer, P. J., Brenkman, A. B., Ovaa, H. and Kalkhoven, E. 2013. Early adipogenesis is regulated through USP7-mediated deubiquitination of the histone acetyltransferase TIP60. Nat. Commun. 4, 2656. 

  6. Ghemrawi, R., Battaglia-Hsu, S. F. and Arnold, C. 2018.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metabolic disorders. Cells 7, 63. 

  7. Gonidas, C., Hadweh, P. and Mosialos, G. 2022. Deubiquitinating enzymes at the crossroads of lipid metabolism and cancer. J. Biol. Res.-Thessalon. 29, 1. 

  8. Jacq, X., Kemp, M., Martin, N. M. and Jackson, S. P. 2013. Deubiquitylating enzymes and DNA damage response pathways. Cell Biochem. Biophys. 67, 25-43. 

  9. Ji, Y. X. and Huang, Z. 2018. The deubiquitinating enzyme cylindromatosis mitigates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t. Med. 24, 213-223. 

  10. Kwasna, D., Abdul Rehman, S. A., Natarajan, J., Matthews, S., Madden, R., De Cesare, V., Weidlich, S., Virdee, S., Ahel, I., Gibbs-Seymour, I. and Kulathu, Y. 2018.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ZUFSP/ZUP1, a distinct deubiquitinase class important for genome stability. Mol. Cell 70, 150-164.e156. 

  11. Li, S., Zhang, H. and Wei, X. 2021. Roles and mechanisms of deubiquitinases (DUBs) in breast cancer progression and targeted drug discovery. Life (Basel) 11, 9. 

  12. Lim, K. H., Choi, J. H., Park, J. H., Cho, H. J., Park, J. J., Lee, E. J., Li L., Choi, Y. K. and Baek, K. H. 2016. Ubiquitin specific protease 19 involved in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retinoic acid receptor by stabilizing CORO2A. Oncotarget 7, 34759-34772. 

  13. Liu, B., Jiang, S., Li, M., Xiong, X., Zhu, M., Li, D., Zhao, L., Qian, L., Zhai, L. and Li, J. 2018. Proteome-wide analysis of USP14 substrates revealed its role in hepatosteatosis via stabilization of FASN. Nat. Commun. 9, 4770. 

  14. Liu, B., Zhang, Z., Hu, Y., Lu, Y., Li, D., Liu, J., Liao, S., Hu, M., Wang, Y., Zhang, D., Chen, Y., Qian, Q., Lv, X., Wu, D., Tan, M., Hu, C., Xiong, X. and Li, X. 2019. Sustained er stress promotes hyperglycemia by increasing glucagon action through the deubiquitinating enzyme USP 14. Proc. Natl. Acad. Sci. USA. 116, 21732-21738. 

  15. Longo, M., Zatterale, F., Naderi, J., Parrillo, L., Formisano, P., Raciti, G. A., Beguinot, F. and Miele, C. 2019. Adipose tissue dysfunction as determinant of obesity-associated metabolic complications. Int. J. Mol. Sci. 20, 9. 

  16. Mennerich, D., Kubaichuk, K. and Kietzmann, T. 2019. DUBs, hypoxia, and cancer. Trends Cancer 5, 632-653. 

  17. Mevissen, T. E. T. and Komander, D. 2017. Mechanisms of deubiquitinase specificity and regulation. Annu. Rev. Biochem. 86, 159-192. 

  18. Mukherjee, A., Morales-Scheihing, D., Butler, P. C. and Soto, C. 2015. Type 2 diabetes as a protein misfolding disease. Trends. Mol. Med. 21, 439-449. 

  19. Poondla, N., Chandrasekaran, A. P., Kim, K. S. and Ramakrishna, S. 2019. Deubiquitinating enzymes as cancer biomarkers: New therapeutic opportunities? BMB Rep. 52, 181-189. 

  20. Sadler, J. B. A., Lamb, C. A., Welburn, C. R., Adamson, I. S., Kioumourtzoglou, D., Chi, N. W., Gould, G. W. and Bryant, N. J. 2019. The deubiquitinating enzyme USP25 binds tankyrase and regulates trafficking of the facilitative glucose transporter GLUT4 in adipocytes. Sci. Rep. 9, 4710. 

  21. Seki, E. 2014. TAK1-dependent autophagy: A suppressor of fatty liver disease and hepatic oncogenesis. Mol. Cell Oncol. 1, e968507. 

  22. Sharma, A., Alswillah, T., Singh, K., Chatterjee, P., Willard, B., Venere, M., Summers, M. K. and Almasan, A. 2018. USP14 regulates DNA damage repair by targeting RNF 168-dependent ubiquitination. Autophage 14, 1976-1990. 

  23. Suzuki, M., Setsuie, R. and Wada, K. 2009. Ubiquitin carboxyl-terminal hydrolase l3 promotes insulin signaling and adipogenesis. Endocrinology 150, 5230-5239. 

  24. Tang, Y., Lv, L., Li, W., Zhang, X., Jiang, Y., Ge, W. and Zhou, Y. 2017. Protein deubiquitinase USP7 is required for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Stem. Cell. Res. Ther. 8, 186. 

  25. Urbe, S., Liu, H., Hayes, S. D., Heride, C., Rigden, D. J. and Clague, M. J. 2012. Systematic survey of deubiquitinase localization identifies USP21 as a regulator of centrosomeand microtubule-associated functions. Mol. Biol. Cell 23, 1095-1103. 

  26. Yan, F. J., Zhang, X. J., Wang, W. X., Ji, Y. X., Wang, P. X., Yang, Y., Gong, J., Shen, L. J., Zhu, X. Y., Huang, Z. and Li, H. 2017. The E3 ligase tripartite motif 8 targets TAK1 to promote insulin resistance and steatohepatitis. Hepatology 65, 1492-1511. 

  27. Zhu, S., Hou, S., Lu, Y., Sheng, W., Cui, Z., Dong, T., Feng, H. and Wan, Q. 2021. USP36-mediated deubiquitination of DOCK4 contributes to the diabetic 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injury via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Front. Cell. Dev. Biol. 9, 638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