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탄소나노튜브 섬유를 이용한 차세대 복합소재 연구
A Study on the Next-generation Composite Based on the Highly Porous Carbon Nanotube Fibers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35 no.3, 2022년, pp.139 - 146  

이균배 (Composit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정연수 (Composit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이상복 (Composit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김태훈 (Composit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CNT섬유에 적합한 복합소재 공정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CNT섬유가 아직 초기 연구단계로 생산성이 낮아 직조나 스티칭된 UD필름 제작이 어려운 점을 감안, 연구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CNT섬유 복합소재 제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CNT섬유 기반 복합소재는 생산성 이슈 및 공정 적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single filament composite의 형태로 제조하거나 filament winding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서 필름 형상으로 준비된 CNT섬유에 수지를 함침한 후 바로 복합소재화 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할 수 있었다. CNT섬유에는 내부에 수많은 나노포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수지가 함침됨에 따라 성형된 복합소재에서 수지의 비율이 과도하게 올라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이슈라 할 수 있다. VaRTM을 통해서 가해지는 압력은 과량의 수지 제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높은 힘으로 누르는 hot press 공정과, 섬유는 고정하면서 과량의 수지를 제거할 수 있는 폼 소재를 도입함으로써 높은 섬유비율을 가지는 CNT 섬유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희석된 수지까지 이용하였을 때, 58.5 wt%의 질량비의 섬유로 구성된 CNT섬유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었고, 비강도는 0.525 N/tex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CNT섬유 복합소재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tudy fabrication methods suitable for CNT fibers-based composite. We try to fabricate a composite material using a small amount of CNT fiber preparation of woven fabrics or stitched unidirectional fabrics consisting of CNT fiber is not achievable currently. The composite material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생산되는 CNT섬유를 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제조된 UD (Unidirectional) 타입의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VaRTM(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과 Hot-pressed 방법을 통해 제조되었다. 복합소재의 섬유 비율은 소재 물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제조 방법별로 섬유의 비율 변화와 이것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되는 CNT 섬유 복합소재 제조 방법은, 향후 우주항공 시대를 맞이하여 초경량 복합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CNT섬유를 이용한 복합소재 제조 방법을 연구하였다. CNT섬유는 내부에 나노포어가 다수 존재하는 특성으로 인해 통상의 VaRTM와 같은 방법으로는 수지가 포어 내부에 과하게 잔류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복합소재 내부에 CNT섬유 비율이 20 wt% 이하에 그치게 된다.
  • 복합소재의 함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수지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수지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해 에폭시 수지를 아세톤을 이용하여 희석함에 따라 점도 감소로 인해 CNT섬유 내 나노 포어 내부로 함침성이 개선됨을 보인 바 있는데[8], 동일한 전략을 적용하여 hot press 전에 과량의 수지를 최소화하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복합소재 내부 섬유의 비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아세톤을 이용하여 20 vol%로 희석된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소재는 복합소재 내 섬유 비율이 향상된 23.
  • 두번째 방법으로는, 상기 방법에 사용된 동일한 필름을 동일한 수지에 먼저 함침하고, 이를 Hot press 장비에서 120°C 열과 함께 5 ton의 압력을 가하며 경화를 진행하였다. 이 때 공정 도중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 별다른 처리없이 압축한 샘플, 양방향에서 장력을 가하면서 압축한 샘플, 섬유 옆에 폼 소재를 도입하여 과량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한 샘플과 같은 변수를 통해 건전한 복합소재 제조가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1 Tex 정도의 선밀도를 가지던 섬유 대비[8,16] 큰 크기를 가지고 있어 합사 과정을 통해 핸들링이 쉬운 섬유형 디바이스 제조에도 적합하였으며,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복합소재 제조에도 적합한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 본 연구진은 선밀도가 증가한 CNT섬유를 이용하여 여러 방법을 이용한 CNT섬유 복합 소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소재들의 물성을 비교하여 CNT섬유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복합소재 제조 방법을 연구하였다. 생산되는 CNT섬유를 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제조된 UD (Unidirectional) 타입의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VaRTM(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과 Hot-pressed 방법을 통해 제조되었다.
  • 복합소재 제조 시 UD필름의 변형은 막으면서 수지의 제거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진은 hot press 진행 전 수지가 함침된 섬유의 양 옆에 foam을 도입하여, UD필름의 유동은 막고 수지만 선택적으로 폼을 통해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선된 공정을 통해 수지의 비율을 상승시키고자 하였다. Foam은 충분한 압축률을 가져야만 적합하였는데, 낮은 압축률을 가지는 foam소재를 도입할 경우 폼이 충분히 압축되지 않다보니 과량의 수지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압력을 압축된 foam이 모두 받게 되거나, 혹은 수지가 함침된 UD 필름보다 폼의 높이가 낮아 폼 윗부분의 UD필름들이 옆으로 유동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oleman, J.N., Khan, U., and Gun'ko, Y.K., "Mechanical Reinforcement of Polymers Using Carbon Nanotubes," Advanced Materials, Vol. 18, No. 6, 2006, pp. 689-706. 

  2. Kim, S.W., Kim, T., Kim, Y.S., Choi, H.S., Lim, H.J., Yang, S.J., and Park, C.R., "Surface Modifications for the Effective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Solvents and Polymers," Carbon, Vol. 50, No. 1, 2012, pp. 3-33. 

  3. Cheon, J.Y., Ku, N., Jung, Y., Lee, K., and Kim, T., "Hydrophilic Treatment for Strong Carbon Nanotube Fibers," Functional Composites and Structures, Vol. 3, No. 2, 2021, pp. 025002. 

  4. Kim, T., Shin, J., Lee, K., Jung, Y., Lee, S.B., and Yang, S.J., "A Universal Surface Modification Method of Carbon Nanotube Fibers with Enhanced Tensile Strength,"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140, 2021, pp. 106182. 

  5. Ku, N., Cheon, J., Lee, K., Jung, Y., Yoon, S.-Y., and Kim, T., "Hydrophilic and Conductive Carbon Nanotube Fiber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Materials, Vol. 14, No. 24, 2021, pp. 7822. 

  6. Lee, D., Ryu, S., and Ku, B.-C., "A Review of Carbon-Reinforced Carbon Nanotube Fibers Composites," Composites Research, Vol. 32, No. 3, 2019, pp. 127-133. 

  7. Qu, S., Dai, Y., Zhang, D., Li, Q., Chou, T.-W., and Lyu, W., "Carbon Nanotube Film Based Multifunctional Composite Materials: An Overview," Functional Composites and Structures, Vol. 2, 2020, pp. 022002. 

  8. Shin, J., Lee, K., Jung, Y., Park, B., Yang, S.J., Kim, T., and Lee, S.B., "Mechanical Properties and Epoxy Resin Infiltration Behavior of Carbon-Nanotube-Fiber-Based Single-Fiber Composites," Materials, Vol. 14, No. 1, 2020, pp. 106. 

  9. Kim, J.-S., Park, J., Kim, S.M., Kwac, L.K., and Hwang, J.Y., "Enhanc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NT Fibers Synthesized by Direct Spinning Method with Various Post-Treatments," Composites Research, Vol. 28, No. 4, 2015, pp. 239-243. 

  10. Kim, J.W., Sauti, G., Wincheski, R.A., Cano, R.J., Jensen, B.D., and Smith, J.G., "Unidirectional Carbon Nanotube Yarn/polymer Composites," NASA TM, Vol., 2018, pp. 220081. 

  11. Shi, Q.Q., Zhan, H., Mo, R.W., and Wang, J.N., "High-strength and Toughness Carbon Nanotube Fiber/resin Composites by Controllable Wet-stretching and Stepped Pressing," Carbon, Vol. 189, 2022, pp. 1-9. 

  12. Zhan, H., Lin, J.H., Shi, H.L., and Wang, J.N., "Construction of Carbon Nanotubes/bismaleimide Composite Films with Superior Tensile Strength and Toughnes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214, 2021, pp. 108975. 

  13. Vilatela, J.J., Khare, R., and Windle, A.H.,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ultifunctional Carbon Nanotube Fibre Composites," Carbon, Vol. 50, No. 3, 2012, pp. 1227-1234. 

  14. Sui, X., Greenfeld, I., Cohen, H., Zhang, X., Li, Q., and Wagner, H.D., "Multilevel Composite Using Carbon Nanotube Fiber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137, 2016, pp. 35-43. 

  15. Kim, J.H., Koo, S.-J., Cheon, J.Y., Jung, Y., Cho, S., Lee, D., Choi, J.W., Kim, T., and Song, M., "Self-powered and Flexible Integrated Solid-state Fiber-shaped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Based on CNT Yarn with Efficiency of 5.5%," Nano Energy, Vol. 96, 2022, pp. 107054. 

  16. Na, Y.W., Cheon, J.Y., Kim, J.H., Jung, Y., Lee, K., Park, J.S., Park, J.Y., Song, K.S., Lee, S.B., Kim, T., and Yang, S.J., "All-in-one Flexible Supercapacitor with Ultrastable Performance under Extreme Load," Science Advances, Vol. 8, No. 1, 2022, pp. eabl8631. 

  17. Jung, Y., Kim, T., and Park, C.R., "Effect of Polymer Infiltration 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Yarns," Carbon, Vol. 88, 2015, pp. 60-69. 

  18. Jung, Y., Jeong, Y.C., Kim, J.H., Kim, Y.S., Kim, T., Cho, Y.S., Yang, S.J., and Park, C.R., "One Step Preparation and Excellent Performance of CNT Yarn Based Flexible Micro Lithium Ion Batteries," Energy Storage Materials, Vol. 5, 2016, pp. 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