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에 미치는 효과 -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Urban Forest Healing Program Education and Activities on Emotional Rest - Focusing on Healing Recovery Environment Awareness, Attention Recovery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6, 2022년, pp.386 - 399  

윤선희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협동학과) ,  신창섭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협동학과) ,  홍종숙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협동학과) ,  정영미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협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산림치유프로그램교육 및 실습), 대조군(프로그램 미참여)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는 프로그램 사후에 정서적 쉼 요소인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사후에 정서적 쉼에 대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참여자 그룹 간 정서적 쉼 차이에 대해서는 사전과 사후에 모두 그룹 간 차이가 있었는데, 사전 차이에 비해 사후 정서적 쉼 차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고 실제 산림치유활동을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적 쉼을 더 높게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산림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임의로 산책 활동하는 것보다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동기부여 및 정기적인 실천이 치유회복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의회복을 증진시키며, 여가생활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education and activities of urban forest healing programs affect emotional rest (healing recovery environment awareness, restoration of atten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38 people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forest healing...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56)

  1. 사혜지, 이원상, 이봉규,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pp.109-121, 2021. 

  2.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2910170005325, 2021.3.19. 

  3.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1001456&menuIdMENU00907, 2020.10.14. 

  4. 김화선, 노인숙, 홍지명,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인문사회 21, 제9권, 제5호, pp,777-786, 2018. 

  5. 이미나, 이인희, "중년여성의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연구," 미용예술경영연구, 제6권, 제1호, pp.153-164, 2012. 

  6. 박숙현, 구창덕,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인천대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1-24, 2018. 

  7. 장영지, 이승은, 오충현, "도시숲의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법제도 검토," 한국생태한경학회지, 제27권, 제2호, pp.100-100, 2017. 

  8. https://www.fowi.or.kr/user/contents/contentsView.do?cntntsId39, 2020.10.10. 

  9. 이주형, "독일 도시숲의 이용실태와 치유기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5, 2011. 

  10. C. Nielsen, Der Wert stadtnaher Walder als Erholungsraum-Eine okonomische Analyse am Beispiel von Lugano. Ruegger., p.260, 1996. 

  11. 송갑수, 도시숲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조성관리 정책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2. 주디 K. 부룩카이저, "미국의 산림교육 동향, 산림휴양의 이점,"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pp.11-32, 2013. 

  13. 정형우, 여가참여자의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과 심리적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4. 김웅진, 김재욱, 신창섭, "음양평형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한의학적 고찰,"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5권, 제2호, pp.87-98, 2021. 

  15.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010004, 2021.3.18. 

  16. 최종환, 김현주, 신창섭, 연평식, 이재순, "12주간의 산림걷기 운동이 중년여성의 기능적 체력,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7-38, 2017. 

  17. 김남익, "12주간 고혈압 중년 남성들의 산림 걷기운동이 생리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5-33, 2016. 

  18. 김미혜, 원형중, 신규리, "현대여가에서의 쉼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한국체육철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55-172, 2014. 

  19. S. Leslie, G. Sandra and C. Paivio, 이흥표 역, 심리치료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학지사, 2008. 

  20. 오경희,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산림치유현상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1. S. Kaplan,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15, No.3, pp.169-182, 1995. 

  22. 정형우, 여가참여자의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과 심리적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3. T. Hartig, G. W. Evans, L. D. Jamner, D. S. Davis and T. Garling,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23, No.2, pp.109-123, 2003. 

  24. 박범진, 산림휴양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 경관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5. R. Kaplan and S. Kaplan,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UP Archive, 1989. 

  26. R. Berto, "Exposure to restorative environments helps restore attentional capac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25, No.3, pp.249-269, 2005. 

  27. 이미옥, 산림 걷기운동이 50대 여성의 면역기능과 항산화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8. 이려정, "대학생의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간 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7호, pp.489-509, 2011. 

  29. 이호상, 이정희, 최가영, "산림휴양산업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와 전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2권, 제3호, pp.47-56, 2018. 

  30. 연평식, 신창섭, "산림치유 수기 분석을 통한 치유인자 도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5-33, 2018. 

  31. 이기영, 임혁, 이승훈, 김현성, "숲체험교육 참가자의 주관적 녹시율 및 회복환경지각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0권, 제2호, pp.101-121, 2017. 

  32. 박현수, '장성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 회복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3. 이상민, 학교 숲 산책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 이용자 뇌파분석(EEG)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4. 이돈각, 정영미, 이미미, 신원섭, 윤영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회복환경지각을 매개로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숲 방문 동기가 '코로나-19'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4권, 제3호, pp.99-108, 2020. 

  35. 김미혜, 원형중, 신규리, "현대여가에서의 쉼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한국체육철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55-172, 2014. 

  36. 강영애, 이지윤, 이수, "수변공원에서의 회복환경지각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觀光硏究, 제28권, 제3호, pp.353-373, 2013. 

  37. 김진옥, "도시민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자연기반 치유회복환경의 회복경험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2권, 제7호, pp.51-70, 2018. 

  38. 오경희, 김동준, 연평식, "숲에서 치유를 경험한 사람들의 심리 현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0권, 제2호, pp.277-286, 2016. 

  39. 박충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심리.생리적 개선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5-37, 2021. 

  40. 강효영, 임희경, 채영란, "도시숲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40대 이상 성인의 신체조성, 심리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제24권, 제1호, pp.36-45, 2022. 

  41. 이은진, 박봉주, 왕금옥, 이현홍, "도시공원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노인의 우울과 기억감퇴에 미치는 영향-곤지암 도자공원을 사례로," 아시아문화 학술원, 제11권, 제6호, pp.1089-1102, 2020. 

  42. 채영란, 김주현, 강현욱, "한국 성인에게 적용한 산림치유요법 고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제20권, 제2호, pp.122-131, 2018. 

  43. 김진옥, 김도영, "힐링관광 참여자의 주의회복과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감정이 삶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61-178, 2015. 

  44. 송은옥,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5. 박선아, 정문선, 이명우,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韓國造景學會誌, 제43권, 제3호, pp.43-51, 2015. 

  46. 김희란, 구창덕, "도시 숲과 학교 숲 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33권, 제3호, pp.341-353, 2019. 

  47. 연평식, 신창섭, "산림치유 수기 분석을 통한 치유인자 도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5-33, 2018. 

  48. 이용주, 신창섭, 김동수, "인지적 부하가 자연이 주는 회복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8권, 제1호, pp.99-108, 2014. 

  49. 박숙현, 박봉주,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 만족도,"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2권, 제4호, pp.49-58, 2018. 

  50. K. Korpela, K, Borodulin, M, Neuvonen, O, Paronen, and L, Tyrvainen, "Analyzing the mediators between nature-based outdoor recreation and emotional well-be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37, pp.1-7, 2014. 

  51. A. Richardson, E. J. Pearce, R. Mitchell, and S. Kingham,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ban green space and health," Public Health, Vol.127, No.4, pp.318-324, 2013. 

  52. T. Gerard, A. Kyle, J. Mowen, and M. Tarrant, "Linking place preferences with place meaning: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motivation and place attach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24, pp.439-454, 2004. 

  53. R. C. Knopf, Human behavior, cognition, and affect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D. Stokols, & I. Altman(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igy, New York: Wiley, 1987. 

  54. 김혜영, 박소연, "30-40대 여성의 도시 숲 경험과 긍정심리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3권, 제2호, pp.37-47, 2019. 

  55. Kate Hefferon, Ilona Boniwell, 정봉교, 추선희 역, 긍정심리학 이론, 연구 및 적용, 박학사, 2013. 

  56. 홍명희, "숲 체험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49-260,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