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원문보기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v.7 no.1, 2022년, pp.21 - 28  

오준호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양시스템공학과) ,  이경선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저서동물은 저서환경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시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조하대의 환경 및 저서동물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질평가지수(WQI)와 저서생물지수(AMBI)를 이용하여 저서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채집은 2019년 하계 무안만 조하대의 10개 정점에서 이루어졌다.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지역이 하부지역에 비해 세립한 입도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일부 정점에서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과 같은 종들도 우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군집분석결과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 중부, 하부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유기물 함량과 저서건강성 평가지수(WQI 및 AMBI)와의 상관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안만 조하대의 저서생태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저서동물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기회종이 출현하고 있어 조하대의 유기물 부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thic animals are important indicators in benthic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benthic animals, and assessed the benthic ecosystem using AMBI (AZTI's marine biotic index) and WQI (water quality index) i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계 무안만 조하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군집특성 및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여 WQI와 AMBI에 의한 무안만 조하대의 건강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 Bull 18: 581-585. 

  2. Borja A, Franco J, Perez V.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 Poll Bull 40: 1100-1114. 

  3. Choi JW, Seo JY. 2007. Application of Biotic Indices to Assess the Health Condition of Benthic Community in Masan Bay, Korea. Ocean Polar Res 29: 339-348. 

  4. Choi BH, Lee KS. 2017.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at eh mudflat in the mouth of Muan bay. J Mar Life Sci 2: 75-82. 

  5. Duineveld GCA, Kunitzer A, Niermann U, De Wilde PAWJ, Gray JS. 1991. The macrobenthos of the North Sea. Netherlands J Sea Res 28: 53-65. 

  6. Folk RL, Ward WC. 1957. Brazos river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67: 3-26. 

  7. Frouin P. 2000.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s of tropical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194: 39-53. 

  8. Hong JS, Jung RH, Seo IS, Yoon KT, Choi BM, Yoo JW. 1997. How ar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ies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Shihwa dike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0: 882-895. 

  9. Je JG, Chang M, Park HS. 1991. Distribution of benthic molluscs in soft bottom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Malacol 7: 103-119. 

  10. Jeong BG, Shin HC. 2018. Spatio-temporal variation and evaluation of benthic healthiness of macro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on the coast of Ulsan. Ocean Pol Res 40: 223-235. 

  11. Kodama K, Hiroguchi T. 2011. Effects of hypoxia on benthic organisms in Tokyo Bay, Japan. Mar Pollut Bull 63: 215-220. 

  12. Kong BW, Lee WJ, Ra DG, Cheong CJ. 2016. Analysis of temporalspa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the Suncheon bay. J Kor Soc Environ Tech 17: 96-104. 

  13. Lim KH, Shin HC, Yoon MY, Koh CH. 2007. Assessment of benthic environment based on microbenthic community analysis in Jinhae bay, Korea. The Sea 12: 9-23. 

  14. MOF. 2018. Marine environment standard method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 330. 

  15. Nguyen NT, Sevando M. 2019. Assessing coastal water quality through on overall index. Pol J Environ Stud 28: 2321-2320. 

  16. Paik SG, Kang RS, Jeon JO, Lee JH, Yun SG.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29: 123-134. 

  17. Park HS, Lee JH, Choi JW. 2000.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subtidal area around Mokpo, Korea. The Sea 5: 169-176. 

  18. Ra KT, Kim JK, Kim ES, Kim KT, Lee JM, Kim SK, Kim EY, Lee SY, Park EJ. 2013.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wa 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 case study of i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J Kor Soc Mar Environ Energy 16: 102-114. 

  19. Rho TK, Lee TS, Lee SR, Choi MS, Park C, Lee JH, Lee JY, Kim SS. 2012. Reference values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Sea 17: 45-58. 

  20. Ryu SO, Kim JY, You HS. 2000. Seasonal variation and transport pattern of suspended matters in semiclosed Muan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Kor Earth Sci Soc 21: 128-136. 

  21. Ryu SO, Chang JH, Lee HJ, Jo YJ, Choi OI.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The Sea 14: 10-21. 

  22. Seo JY, Lee JS, Choi JW. 2013. Distribution patterns of opportunistic molluscan species in Korean waters, Kor J Environ Biol 31: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