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분' 대 '전체' - 사회적 약자와 전체 인구의 삶의 질 지역 격차의 비교 -
'Part' vs. 'Whole': Comparison betwee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Whole Population in Terms of Inter-regional Disparities in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1, 2020년, pp.17 - 36  

박인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역량 접근법을 기반으로 수도권-비수도권 간 삶의 질 격차의 측면에서 사회적 약자 계층과전체 인구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득, 주거, 건강, 사회관계 등 역량의 9개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여 사회적 약자 계층과 전체 인구에 대해 각각 지표 값을 산출하고, 이를 표준화한 후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과 SUR 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약자 대 전체 인구 사이에는 수도권-비수도권 격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비수도권의 사회적 약자에게 가장 불리한 방향으로 대체로 일관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인구 평균의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비수도권 격차는 크지 않지만, 사회적 약자의 관점에서 보면 지역 격차는 아직도 상당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 인구의 평균에 대한 분석에 기초한 '평균적' 지역정책이 갖는 한계를 보여주고, 지역문제 분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생태학적 오류를 보여주는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population as a whole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gap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nd non-capital regions based on the capabilities approach. To this end, we selected indicators that can measure nine dimen...

주제어

표/그림 (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적 오류란? 일반적으로 생태학적 오류는 집단 전체에 대한 자료 또는 집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전체를 구성하는 개인에 적용하여 해석하면서 발생하는 오류를 말한다(Babbie, 2012: 103-104). 여기서 생태(ecology)는 개인이나 하위집단(subgroups)으로 이뤄진 전체 집단을 의미한다.
지역연구에서 생태학적 오류는 왜 발생하는가? 지역연구에서 생태학적 오류는 관찰 또는 설명의 집계(aggregation) 수준과 추론 또는 해석의 집계 수준이 불일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Drewe, 1977: 41). 관찰은 큰 집단 또는 큰 공간적 집계 단위로 이뤄진 반면 추론과 해석이 더 작은 집단이나 개인의 행위에 대한 것일 때 발생하는 것이다.
전통적 접근은 어떤 부분에 관심을 기울였는가? 전통적으로 지역정책과 지역발전에 대한 학술적 논의들은 주로 지역 간 격차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지역의 총합 또는 평균적 경제규모와 발전수준이 지역 간에 어떻게 차이 나는지, 그러한 평균적 지역 격차의 원인은 무엇인지, 그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해왔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채택된 여러 가지 정부시책과 규제는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들로서, 그것들이 적어도 평균적으로 지역 간 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해왔다(강현수 외,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강영호. 2015, 우리나라 광역시.도와 시.군.구의 소득수준별 기대여명 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 개방 2차년도 성과 공유 심포지엄, 국민건강보험공단. 

  2. 강현수, 2010, "장소의 번영"과 "사람의 번영": 두 접근방식의 차이에 대한 이론과 사례, 지방행정연구, 24(3), pp. 3-32. 

  3. 강현수.김석현.김현호.변창흠.여형범.이정협.정준호.조기현, 2013, 지역 균형발전론의 재구성: 성찰과 대안 모색, 사회평론. 

  4. 구교준.김성배.윤종현, 2012, 용인 가능한 지역 간 격차와 지역정책: 삶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3), pp. 173-192. 

  5. 김경수.김형빈, 2006,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격차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 지방자치학회보, 18(1), pp. 129-149. 

  6. 김덕준, 2003, 지역개발격차의 측정 및 원인분석에 관한연구, 행정논총, 41(4), pp. 279-308. 

  7. 김선기.박승규, 2014, 지역생활권 삶의 질 분석 및 지역 격차 해소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김수진, 2018, 포용도시를 위한 도시취약지역 실태와 정책 제언, 국토연구원. 

  9. 남기범, 2018, 보통도시로서 포용도시 논의와 서울의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3(4), pp. 469-484. 

  10. 목광수, 2010,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의 문제: 개발 윤리와의 관련 하에서 고찰, 철학, 104, pp. 215-239. 

  11.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pp. 59-76. 

  12. 박윤환, 2011, 빈곤층과 외국인 주민 거주지분리에 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2(4), pp. 103-122. 

  13.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pp. 95-139. 

  14. 박인권, 2018, 사회적 약자의 삶과 지역균형발전: 역량의 지역 격차 분석, 공간과 사회, 28(2), pp. 71-114. 

  15.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지표체계의 개발: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26(4), pp. 109-158. 

  16. 배순석.전성제, 2006, 서울시 저소득계층 주거의 입지현황과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1, pp. 191-205. 

  17. 변미리, 2018, 포용도시를 향하여: 서울형 포용도시 지표개 발과 포용성,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45, pp.1-26. 

  18. 서승환, 2005, 서울시 구별 생활환경지수의 비교분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 서인석, 2015,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의 탐색적 유형화: Kee의 커뮤니티웰빙 6자본요인 및 지표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629-646. 

  20. 송문섭.박창순.김홍기, 2015, 비모수통계학: R과 함께, 자유아카데미. 

  21. 우영진.최명섭.김의준, 2008, 권역별 사회지표의 지역 격차 분석, 국도시지리학회지, 11(1), pp. 63-73. 

  22. 이규환.서승제, 2009, 서울시 자치구간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비교, 한국공공관리학보, 23(4), pp. 357-381. 

  23. 이내찬. 2012, OECD 국가의 삶의 질의 구조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2(2), pp. 5-40. 

  24. 이상록, 2012,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특성이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8(4), pp. 277-302. 

  25. 이주희, 2002, 서울 강남.북 지역 격차 해소 전략 上, 도시문제, 37(6), pp. 93-105. 

  26. 임보영.마강래, 2016,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집계적 자료와 비집계적 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pp. 89-104. 

  27. 장재홍, 2011, 워싱턴 컨센서스 이후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과 시사점, 공간과 사회, 37, pp. 128-163. 

  28. 정해식.김성아, 2015, OECD BLI 지표를 통해 본 한국의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227, pp. 75-88. 

  29. 차용진, 2013,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2012 OECD Better Life Index(BLI) 모형검증, 한국공공관리학보, 27(2), pp. 1-26. 

  30. 최민호.강영웅.이승종,2019, 기초자치단체 삶의 질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적용, 지방정부연구, 23(3), pp. 329-356. 

  31. Alkire, S., 2005, Why the capability approach?,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6(1), pp. 115-135. 

  32. Babbie. E. 2012.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3th ed.), Belmont, CA: Wadsworth. 

  33. Bartik, T. J., 1991, Who benefits from state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Kalamazoo, MI: W. E.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34. Bolton, R., 1992, "Place prosperity vs people prosperity" revisited: an old issue with a new angle, Urban Studies, 29(2), pp. 185-203. 

  35. Campbell, S., 1996, Green cities, growing cities, just cities? Urban planning and the contradic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3), pp. 296-312. 

  36. Clark, D. A., 2005, Sen's capability approach and the many spaces of human well-being,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41(8), pp. 1339-1368. 

  37. Crane, R., & Manville, M., 2008, People or place? Revisiting the who versus the where of urban development, Land Lines, July 2008, pp. 2-7. 

  38. Drewe, P., 1977, Regional policy as social planning, in A. Kuklinski, Social issues in regional policy and regional planning, The Hague: Mouton, pp. 5-58. 

  39. Edel, M., 1980, 'People' versus 'places' in urban impact analysis', in Glickman, N. J. (ed.) The urban impact of federal policies,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175-191. 

  40. Gill, I., 2010,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Placebased or people-centered?. Vox, CEPR Policy Portal(October 09, 2010). Retrieved January 22, 2020 from https://voxeu.org/article/regional-development-policies-place-based-or-people-centred. 

  41. Glaeser, E., 2005, Should the government rebuild New Orleans, or just give residents checks?, The Economists' Voice 2(4), pp. 1-6. 

  42. Glaeser, E. 2007. Can Buffalo ever come back? Probably not-and government should stop bribing people to stay there, City Journal, Autumn 2007. 

  43. Goudie, A., & Ladd, P., 1999, Economic growth, poverty and inequality,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1(2), pp. 177-195. 

  44. Graves, P. E., 1983, Migration with a composite amenity: the role of rent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3(4), pp. 541-546. 

  45. Harsman, B., 2006, Ethnic diversity and spatial segregation in the stockholm region, Urban Studies, 43(8), pp. 1341-1364. 

  46. Kain, J. F., 1968, Housing segregation, negro employment, and metropolitan decentraliz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82(2), pp. 175-197. 

  47. Kee, Y., Kim, Y. and Phillips, R., 2015 Learning and community approaches for promoting well-being,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48. Knapp, T. A., & Gravest, P. E., 1989, On the role of amenities in models of mig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9(1), pp. 71-87. 

  49. Lichter, D. T., Parisi, D., & Taquino, M. C., 2012, The geography of exclusion: race, segregation, and concentrated poverty, Social Problems, 59(3), pp. 364-388. 

  50. Musterd, S., 2006, Segregation, urban space and the resurgent city, Urban Studies, 43(8), pp. 1325-1340. 

  51. Nussbaum, M. C., 2000, Women and human development: the capabilities approach,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OECD, 2011,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 Paris: OECD Publishing. 

  53. Rose, T., 2016, The end of average: how we succeed in a world that values sameness, New York: Harper Collins. 

  54. Sanchez, T. W., 1998, Equity analysis of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 benefits, Journal of Urban Affairs, 20(1), pp. 69-86. 

  55. Sen, A., 1985, Commodities and capabilit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6. Sen, A., 1993, Capability and well­being, In M. C. Nussbaum & A. Sen (Eds.), The Quality of Life, pp. 31-54. 

  57. United Nation Development Programme, 1990,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8. Wilcoxon, F., 1945, Individual comparisons by ranking methods, Biometrics 1, pp. 80-83. 

  59. Winnick, L., 1966, Place prosperity vs. People prosperity: welfare considerations in the geographic redistribution of economic activity, in Center for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ed.), Essays in urban land economics: in honor of the sixty-fifth birthday of Leo Grebler. Los Angeles, CA: Real Estate Research Program, pp. 273-2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