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 건축의 경계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undary Space in Office Architectur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38 no.7, 2022년, pp.81 - 89  

펑젠보 (호서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and technology are driving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and the office space of urban architecture is constantly innovating and evolving. The traditional office building space can no longer meet people's needs, and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architects try to find a solution from...

주제어

참고문헌 (14)

  1. Byeon, E., Kim, J., & Ha, E. (2012). A study on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an interactive dwelling spac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7, 3-21. 

  2. Chen, X. (2020). Boundary and boundary space morphology analysis of buildings, Housing and Real Estate, 2020(01), 11. 

  3. Cui, J., & Li, Y. (2015). A study on the design of boundary space in chengdu plain town art and creative industrial park, Sichuan Building Science, 41(1), 258-261. 

  4. Hou, X. (2020). Research on the Human Design of Government Office Space, thesis, Nanjing Forestry University. 

  5. Young, G. (1992). Interaction and Space, Beijing: China Construction Industry Press, 107,171. 

  6. Kim, S., & Lee, D. (2021).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patial boundary in rem koolhaas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6, 1. 

  7. Kim, H., & Shim, W. (2011). A study on the density response method in the low-rise common space of high-Rise office buildings in seoul,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1), 105-113. 

  8. Ko, K., & Kim, D. (2012). Boundary ambiguity and transparency of architectura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atial Design, 7, 1-19. 

  9. Liu, Y. (2006). The Urban Public In-between Space, thesis, Tongji University. 

  10. Park, H., & Kong, S. (2018).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elements in interior-exterior relationship of contemporary cultur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3, 1. 

  11. Roger, T. (2008). Searching For Lost Space. Beijing: China Construction Industry Press, 36. 

  12. Shang, G. (2018). Boundary Space and Emotional Structure, thesis, Jiangnan University. 

  13. Su, W. (2007). Study on Design of Edge Space of Open City Park, thesis, Chongqing University. 

  14. Yin, Y. (2017). The Study of Design Strategies for Edge Space of Shopping Mall in Pearl River Delta Region from Urban Perspective, thesis, Sou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