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지역개발사업 참여주민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 연구 -Woolcock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Focused on Woolcock's Social Capital Theory-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9 no.1, 2022년, pp.1 - 18  

전미리 (경기도농업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various resident-drive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oftware projects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order to effectively involve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reside...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61)

  1. 강형기. (1989). 지방선거운동과 주민의 정치의식. 지반자치연구, 1(1), 121-151. 

  2. 김상춘. (2004).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개념 비판. 한국사회학, 38(6), 63-95. 

  3. 김수. (2018).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해 본 마을공동체 참여 행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수미. (2013). 주민참여 유형이 아파트공동체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인구. (2007). 농촌전통테마마을 사업에 대한 주민참여 요인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재원. (2017).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있어 줌니참여 실태와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9(64), 11-22. 

  7. 김철회, & 하혜수. (2016). 성미산 마을공동체 형성의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Woolcock의 사회적 자본 분석틀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1(1), 79-103. 

  8. 김치구. (2018).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통한 농업조직 활성화 요인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노정민. (2013). 주거지 재생사업에서 일상활동과 계획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류석춘. (2003). 사회적 자본 이론과 쟁점. 서울: 도서출판그린. 

  11. 류소영. (2010). 주민참여수준 진단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미애. (2008).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조직사업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박병덕, 임광명, & 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doi:10.12653/jecd.2018.25.3.0135 

  14. 박용순. (2009). 사회적 자본이 농촌관광마을에서 주민통합과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은병, 김성록, & 윤준상. (2012). 포괄보조금제도하의 농산어촌지역개발에 대한 주민참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9(2), 436-464. doi:10.12653/jecd.2012.19.2.435 

  16. 박재형. (2014). 로컬푸드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박희봉, & 김명환. (2001), 우리 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4(4), 219-237. 

  18. 손정기. (2016). 음식관광행동 예측을 위한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안재문, 김소윤, & 박덕병. (2020). 농촌개발사업 영향인지가 지역사회만족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7(4), 211-225. doi:10.12653/jecd.2020.27.4.0211 

  20. 안종철, & 이성호. (2003). 관광단지개발에 있어서 주민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14, 92. 

  21. 유석춘, & 장미혜. (2002). 사회적 자본과 한국사회. 사회발전연구, 8, 87-125. 

  22. 유동숙, & 홍경완. (2017).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농촌관광의 행동의도 연구. 관광연구저널, 31(3), 65-80. 

  23. 이미숙. (2017). 한국 마을단위 사회적 자본의 형성. 농촌지도와 개발, 24(3), 199-209. 

  24. 이상호, & 박재동. (2009). 농촌마을 개발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 의사결정 분석. 동북아관광학회, 5(2), 77-89. 

  25. 이수. (2016). 중국 농촌 관광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승원. (2016).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ETPB)을 적용한 커피전문점의 그린마케팅 프로그램, 고객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양수. (2017). 울콕의 사회적 자본 이론관점에서 살펴본 1970년 새마을 농촌개발정책:배태성, 자율성 그리고 국가의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4), 199-220. 

  28. 이용학. (2015). 지역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사회표상별 주민태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정원. (2013).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임설아, & 정성호. (2017).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자본이 농촌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학, 18(1), 79-99. 

  31. 이양수. (2017). 울콕의 사회적 자본 이론관점에서 살펴본 1970년 새마을 농촌개발정책:배태성, 자율성 그리고 국가의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4), 199-220. 

  32. 장은미, 이민수, & 박덕병. (2021).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성공 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8(3), 137-151. doi:10.12653/jecd.2021.28.3.0137 

  33. 장철호, & 한상연. (2004). 행정과 시민참여.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34. 전인철. (2014). 농촌지역개발의 공공지원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정남식, & 김용근. (2017).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공유재 관리의도 영향요인분석. 농촌계획학회, 23(4), 169-178. 

  36. 정동일, & 성경륭. (2010). 창조적 지역발전과 그룹비지니어스: 신활력사업 대상 낙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4(1), 60-97. 

  37. 전용식, & 이종호. (2008). 정보화마을의 사회적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자상거래학회지, 9(2), 63-77. 

  38. 정윤식. (2014).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조록환. (2003).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진양호, 안상훈, & 김예영. (2016).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 소비자의 구매행동 분석. 관광연구저널, 30(1), 151-162. 

  41. 최윤진. (2012).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와인구매의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최홍렬. (2004). 신뢰와 호혜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자본. 한국사회학회, 38(6), 97-132. 

  43. 허주열, & 이성근.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45-70. 

  44. 홍종규. (2006).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농촌관광개발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홍영란. (2006).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6. Arnstein, S.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216-224. doi:10.1080/01944366908977225 

  47. Bourdieu, P., & Passeron, J. C. (1967). Sociology and philosophy in France since 1945: Death and resurrection of a philosophy without subject. Social Research, 34(1), 162-212. 

  48.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J. G. Richards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49. Brown, L. D., & Ashman, D. (1996). Participation, social capital, and intersectioral problem solving: African and Asian cases. World Development, 24, 1467-1479. 

  50. Burt, R. (1992). Structural hole: The socials structure of competition. Bosto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1.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doi:10.1093/oso/9780195159509.003.0007 

  52. Cunningham, J. V. (1972).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 589-602. doi:10.2307/975227 

  53. Fukuyama, F. (2002).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The coming agenda. SAIS Review, 22(1), 23-37. doi:10.1353/sais.2002.0009 

  54. Huntingtion, S. P., & Nelson, J. M. (1976).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countries. Bostio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5. Irland, L. C. (1975). Citizen participation: A tool for conflict management of the public land.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5(3), 263-269. doi:10.2307/974761 

  56. Loury, G. (1977). A dynamic theory of racial income differences. In P. A. Wallace & A. Le Mund (Eds.), Women, minorities, and employment discrimination.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57. OECD. (2001). Citizen as partners: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Paris: OECD Publications. 

  58.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4, 35-42. 

  59. Wates, N. (2010).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London, Routledge. doi:10.4324/9781849776004 

  60. Woolcock, M. (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2), 151-208. 

  61. World Bank. (2004). Measuring social capital. New York: The World Ban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