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의 문제점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Problems in Data Collection for Smart Farm Construction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2 no.5, 2022년, pp.69 - 80  

김송강 (중부대학교 스마트 IT학과) ,  남기포 (농협대학교 협동조합디지털경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및 식량자원안보가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어 지고 있는 지금 스마트팜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1차 산업에 있어 생산 환경의 변화는 모든 1차 산업(농업, 축산업,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 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식량부족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중요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차 산업에서는 ICT 및 BT등 4차 산업 혁명과 기술인 IoT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팜을 도입함으로 해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민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팜의 발전 및 활용, 지속 가능한 농업경영 시스템구축을 위한 스마트팜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요건 및 순차적인 시스템 구축 방안, 목적성을 갖는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등에 관해고찰 하고자 한다. 특히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한국형 스마트팜 표준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수집시스템의 문제점을 농축산(양돈)분야의 심층적인 조사와 다양한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개선하여 효율적이고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수집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빅데이터 수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 that climate change and food resource security are becoming issues around the world, smart farm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m. In addition,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in the primary industry are a major concern for people engaged in all primary industries (agricultur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Bong-Hi Shin, Hye-Kyoung Jeon, "ICT-based Smart Farm Desig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0. No. 2, pp. 15-20, 2020. 

  2. KiDeok Kweon, "빅데이터와 ICT융복합을 활용한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Journal of Industrial Studies, vol.44, no.3, pp. 69-88, 2020. 

  3. 김상철,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팜 기술개발", Rural Resources, Vol. 59 No. 2 pp10-18, May 2017. 

  4. 김연중, 박지연, 박영구, "Development of Smart Agriculture Copi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농촌경제연구원, R820,10, 2017. 

  5. Seonyeong Heo1, Jongho Park1 and Jun Heon Lee, "A review on ICT convergence in livestock industry in South Korea and its application in animal breeding" Journal of Animal Breeding and Genomics, Vol. 5, No. 4, pp.171-180, December, 

  6. 허덕, "Development of smart livestock housing system based o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7. 농림축산식품부, 정책홍보,스마트축사, https://www.mafra.go.kr/mafra/1372/subview.do 

  8. "ICT융복합 장비설치 규격 및 서비스 기준(안)축산양돈분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12. .2017. 

  9.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자료, 2021. 

  10. 변재연,, 스마트농업 육성사업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2022. 6. 15, 국회예산정책처. 

  11. 미래정책연구실, 2021년 귀농인.귀촌인 통계 외(pdf(20220627)_weekly_report.pdf), 2022. 

  12. 미래예측 브리프 3호_데이터 농업의 미래, 2020.11.27. 

  13. 스마트팜혁신밸리, https://innovalley.smartfarmkorea.net/ 

  14. 토마토'2016 Rural Resourceful. 59 No. 2, 19-27, May 2017. 

  15. 한국형 스마트팜 정책 및 기술개발 현황,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718555927298.pdf 

  16. 농림축산식품부, https://www.mafra.go.kr/mafra/1373/subview.do 

  17. 출처: 구글이미지 

  18. Sang-Il Lee, Daeheon Cho, Minpa Lee, "Spatializing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ree Relevant Techniques" 대한지리학회지 제53권 제5호 2018(761~776). 

  19. C. H. Do, "Relation of Production Traits and Reproduction Traits in Swine" J. Anim. Sci. & Technol. (Kor.) 49(3) 303~308, 2007. 

  20. 이경원, 성공적인 양돈 분야 스마트팜을 구축하기 위한 전제조건, 피그앤포크한돈(https://www.pignpork.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 2021년2월호, pp270-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