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시의 지속가능한 여행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 '탐나는전' 가맹점의 리뷰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Review Data of 'Tamna' Franchisees to Promote Sustainable Travel in Jeju City 원문보기

The journal of Bigdata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v.7 no.2, 2022년, pp.113 - 128  

백세희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 학과) ,  김세형 (아주대학교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학과) ,  배미란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 학과) ,  강주영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 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 이후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속가능한 관광'을 하고자 하는 관광객 또한 증가하였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관광'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방법 등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지속가능한 관광'의 관심사가 '환경' 및 '탄소중립'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정책들이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뉴스 데이터와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여행의 주요한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여행의 정책적 주제 및 사건들을 분석한다. 지속가능한 여행과 관련된 뉴스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직까지 한국에서 지속가능한 여행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들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역사회가 직접 혜택을 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제주시의 지속가능한 여행 활성화를 위하여 제주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가맹점의 이용자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고 지역사회와 공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COVID-19, interest in "sustainable tourism"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ourists who wanted to experience "sustainable tourism" also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grams and methods for 'sustainable tourism' are not specific and diverse.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inte...

주제어

참고문헌 (40)

  1. 변형석. (2016). 지속가능한 관광과 공정여행.?한국관광정책, (66), 40-46. 

  2. Newswire, P. R. (2022). "Sustainable Travel?Consumer Report from Trip.com Group reveals?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stainable trip,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travel industry." PR?Newswire US. 

  3. 한석호, 유은정. (2022). 지역주민의 지속 가능한?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사회적 교환이론과 장소 애착의 종합. 관광레저연구,?34(2), 63-82. 

  4. 한관희, 초광유, 이윤희, 이충기. (2022).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세계자연유산 신안 갯벌?보존가치 평가: 2 단계 가상가치평가법 (CVM)?활용. 관광연구저널, 36(8), 37-52. 

  5. 김태헌, 박숙진, 김주리. (2016).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 역할-서울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12(2), 71-90. 

  6. Pforr, C. (2001).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tourism, and ecotourism:?Definitions, principles, and linkages. Scandinavian?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1(1), 68-71. 

  7. 정경희, 김소중, 김채령, 한이화. (2013). 지속가능한 도보여행으로서의 인천둘레길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구 문화교류연구), 2(3), 141-163. 

  8. 윤유식, 장양례. (2012). 지속가능한 에코투어리즘을 위한 환경교육의 생태관광체험기대, 방문성과 및 생태관광지지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관광경영연구, 16(3), 253-270. 

  9. 여호근, 강승구. (2002).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관광레저연구, 14(1), 69-84. 

  10. Vayansky, I., & Kumar, S. A. (2020). A review?of topic modeling methods. Information Systems,?94, 101582. 

  11. Dumais, S. T. (2004). Latent semantic analysis.?Annu. Rev. Inf. Sci. Technol., 38(1), 188-230. 

  12. Blei, D. M., Ng, A. Y., & Jordan, M. I. (2003).?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13. Hoffman, M., Bach, F., & Blei, D. (2010). Online?learning 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3. 

  14. Petterson, J., Buntine, W., Narayanamurthy, S.,?Caetano, T., & Smola, A. (2010). Word features?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 in Neural?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3. 

  15. Anandkumar, A., Foster, D. P., Hsu, D. J., Kakade,?S. M., & Liu, Y. K. (2012). A spectral algorithm?for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dvances in neural?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5. 

  16. 전은지, 이채원, 류제택. (2021). 공공연구성과?실용화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기술 포트폴리오?분석: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를 중심으로.?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2), 71-84. 

  17. 김창식, 곽기영, 윤혜진. (2017). 관광분야 연구?동향 분석: 토픽모델링과 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12), 25-39. 

  18. 김건, 윤혜정. (2016).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서울?지역 호텔서비스에 대한 고객인식의 변화 분석.?서비스경영학회지, 17(3), 217-231. 

  19. 김세형, 윤태영, 강주영. (2022). 텍스트 마이닝?기반 고령자 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한 분쟁 유형 도출방법론 제안.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7(3),?45-65. 

  20. 김동욱, 강주영, 임재익. (2016).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산업별 직무만족요인 비교 조사:?잡플래닛 리뷰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5(3), 157-171. 

  21. 조혁준, 강주영, 정대용. (2016). 한국과 미국 간 모바일 앱 리뷰의 감성과 토픽 차이에 관한?탐색적 비교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15(2),?169-184. 

  22. 윤지혜, 이종화. (202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CSR 키워드 트렌드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5), 73-91. 

  23. 정성지. (2020).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환경교육 연구 동향:[환경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환경교육, 33(2), 231-246. 

  24. 김경아, 김선희. (2021). 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연구 동향 분석. 환경정책, 29(1), 129-153. 

  25. Freeman, L.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network analysis. A Study in the Sociology of?Science, 1(687), 159-167. 

  26. Scott, J. (2012). What is social network analysis??(p. 114). Bloomsbury Academic. 

  27. Marin, A., & Wellman, B. (2011). Social network?analysis: An introduction. The SAGE handbook?of social network analysis, 11, 25. 

  28. 이제욱, 김현정. (2022). 뉴스 토픽모델링과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포츠-인공지능 산업.기술 트렌드 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20(1),?715-737. 

  29. 강대희, 안현철. (2021). 빅데이터 기반 산학협력?네트워크 분석.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2),?109-124. 

  30. 신현보, 선형주, 이준기. (2019). 소셜 미디어?참여에 관한 연구 동향과 쟁점의 변화: 네트워크?분석과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 분석을?중심으로.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4(1),?99-118. 

  31. 공인택, 신광섭. (2021).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고속도로 유휴부지의 물류센터 활용 방안에?관한 연구.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6(1), 1-12. 

  32. Raghavan, R., Panicker, V. V., & Emmatty, F.?J. (2022). Ergonomic risk and physiological assessment of plogging activity. Work, (Preprint), 1-12. 

  33. 윤정희, 이근모, & 임새미. (2022). 친환경 운동 플로깅: 그린세대 플로깅 참여자의 참여동기와?경험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61(5), 343-354. 

  34. Economist Impact, (2022). 아시아태평양 지역의?관광 산업 회복:지각 있는 여행자란? 

  35. 고용노동부, (2022), 2022년 사회적기업 인증?계획 및 심사기준 공고, https://www.moel.go.kr/news/notice/noticeView.do?bbs_seq20220100260 

  36. 김지숙. (2011).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지원을?통한 사회적 책임 제고방안. 보건복지포럼,?2011(1), 87-98. 

  37. 기획재정부, (2020).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공공부문의 추진전략,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8779 

  38. 행정안전부, 지방계약법 및 시행령 개정사항 알림, (2009). https://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3BjsessionidpW9drCz6XFY1PoKG8AobhNyLzsLhtV8oERrvQyqRxgddvNlG9t1sMUx9uTz8Niix.mopwas53_servlet_engine1?bbsIdBBSMSTR_000000000061&nttId31654 

  39.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조례, 2019. 3. 28. 

  40. 사회적기업 육성법, 2012. 8. 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