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교 주변 원룸형 주택에 대한 실내 공기질 분석 및 위해성 평가
An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and Risk Assessment for One-room Housing around the University in the Post-Corona Era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4 no.3, 2022년, pp.23 - 30  

포위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정재연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정인수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indo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door ventilation in one-room around the university in the post-corona era,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data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the content, the effec...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김현주 외 3인, 한국의 주거환경에서 실내공기 중 유해물질 저감에 미치는 환기의 영향, 분석과학, 33(1), 2020. 

  2. 남기철, 주택 실내 공기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 박수정, 천식 환자 가정의 시간활동에 따른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연관성 분석,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4. 염지선, 이기영, 주택 실내의 1년간 온, 습도 변화,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2011(0), 2011. 

  5. 이시내, 박진철, 이언구, 거주후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의 실내환경 성능평가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1, 2011. 

  6. 이철구 외 5명, 건축환경의 이해, 세진사, 2017. 

  7. 장하나, 김진영, 권오정, 오피스텔의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거주자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1), 2007. 

  8. 정경윤, 오피스 건물의 실내 공기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9. 최윤정, 이미지, 홍진원, 거주중인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건축경년에 따른 실내공기질 비교,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5), 2013. 

  10. 포위, 전북대학교 주변 원룸의 환기평가와 CFD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해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1. 한정우, 신축 원룸형 다가구 주택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2. Bae, H. J.,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 10 and PM 2.5 on Mortality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5), 2014. 

  13. Cho, Kyunghwa, Soonjung Kwon, Minki Sung and Sunsook Kim,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in Vulnerable Facilities According to Build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3(2), 2017. 

  14. Jang, J. Y., Kim, S. Y., Kim, S. J. et al., General factors of the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J Prev Med Public Health, 47(1), 2014. 

  15.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KECO), Multi-use indoor air quality consulting business: Elderly care facility, day care center, postnatal care center, 2011. 

  16. Won, S. R., Lim, J. Y., Shim, I. K. et al., Characterization of PM2. 5 and PM10 concentration distribution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J. Korean Soc. Indoor Environ, 9(3),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