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축아파트 환기방식에 따른 실내공기질 변화와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건강 위해성 평가
Simulation and Health Risk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Changes by Ventilation System in New Apartment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3 no.4, 2021년, pp.38 - 45  

포위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정재연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정인수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ir quality condition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in real time, at the same time, living habits and ventilation methods were maintained in the daily life of residents, and thus,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lifestyles of residents. Previous studies showed a difference from this...

주제어

참고문헌 (19)

  1. 김다영 외 3명, 수치 예측 모델을 이용한 공동주택 실내공기질 위해성 평가 방법,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0(1), 2016. 

  2. 김무현, 황지현, 자연급기-강제배기 환기시스템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환기에 따른 실내 온열 및 공기환경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8(4), 2012. 

  3. 김영희, 손부순, 양원호, 신축 주택의 톨루엔 발생량 모델을 이용한 건강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5), 2006. 

  4. 류영희, 이은정, 이경회, 공동주택 평면구성에 따른 실내공기질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2(10), 2006. 

  5. 박진철, 신축공동주택에서의 포름알데히드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 서울시 실내 공기질 온라인 공개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제9조. 

  7. 성기철, 장현재, 공동주택용 환기장치의 실내공기질 개선효과에 대한 현장실험연구, 설비공학논문집, 19(2), 2007. 

  8. 소비, 자원, 아파트 환기설비안전실태조사, 2019. 

  9. 국립환경과학원, 신축 아파트 내 휘발성 실내공기 오염물질 변화추이, 3차년도 결과 발표, 2008. 

  10. 윤정숙, 최윤정, 주거실내환경학, 교문사, 2014. 

  11. 임영욱 외, 신축공동주택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 한국실내환경학회지, 3(3), 2006. 

  12. 장재연 외 7명, General factors of the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예방의학회지, 47(1), 2014. 

  13. 환경정책기본법과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특별법. 

  14. Kim, Yoon Shin et al., A study of excess ratio for guideline of indoor air pollutants in classroom of kindergartens, J. Korean Soc. Indoor Environ, 4, 2007. 

  15. Lee, S. C. and M. Chang,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at schools in Hong Kong, Chemosphere, 41(1-2), 2000. 

  16. Park, Hyo Seon, Changyoon Ji, and Taehoon Hong, Methodology for assessing human health impacts due to pollutant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Building and Environment, 95, 2016. 

  17. Ryu, I. C., A study characteristic on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multi-use fac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0. 

  18. US EPA, Risk-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1.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A. Interim report (Final). No. PB-90-155581/XAB; EPA-540/1-89/002,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Office of Solid Waste and Emergency Response, 1989. 

  19. Yang, Ji-Yeon, et al., Health risk assessment of aldehydes and VOCs in the activities space of young children-focused on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laygrounds,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5(1),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