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접객업소에서 판매되는 더치커피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Dutch Coffee Sold at Food Service Business Operator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7 no.4, 2022년, pp.271 - 276  

이효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도영숙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박건영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이현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최유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임혜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함현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한유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  이명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접객업소에서 시중 판매되는 더치커피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여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내 커피전문점에서 유통되는 더치커피 70건을 대상으로 위생지표균, 식중독균, 진균류 오염도를 조사하였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일반세균과 진균류의 오염도를 비교하였다. 일반세균수는 0.74-6.21 log CFU/mL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식품 유형에 따른 평균 검출량은 식품접객업소 조리식품(3.04 log CFU/mL)이 액상커피(2.08 log CFU/mL)보다 높게 나타났다. 액상커피는 검출된 6건 중 3건이 세균수 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이었다. 식중독 원인균은 70건 모두 불검출이었다. 진균수는 0.70-4.00 log CFU/mL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식품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생물 오염도는 원두 혼합 여부와 추출 시간에 따라 비교하였으며, 일반세균수와 진균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시중 유통되는 더치커피는 일반세균과 진균류에 대한 오염도가 높으므로 위생적인 관리와 적절한 온도 유지를 통해 미생물 오염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icrobial contamination of Dutch coffee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A total of 70 different Dutch coffee were purchased from an offline market (food service business operator). Two types of coffee were considered: "coffee made from food service business operat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So, Y.J., Lee, M.W., Yoo, K.M., Kang, H.J., Hwang, I.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utch coffee depending on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nd storage. Korean J. Food Sci. Thechnol., 46(6), 671-676 (2014). 

  2. Hwang, S.H., Kim, K.S., Kang, H.J., Kim, J.H., Kim, M.J., Studies on the flavor compounds of dutch coffee by head-space GC-Mass. Korean J. Food Cook. Sci., 30(5), 596-602 (2014). 

  3. Kim, K.M.,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brew kenya AA according to col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32(5), 504-510 (2019). 

  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7. World agriculture, 199, Naju, Korea, p. 51. 

  5. Kown, S.H., Kim, K.S., Lee, B.M., Han, Y.S., Heo, M.J., Kwon, M.J., Om, A.S.,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caffeine content of cold brew coffee. J. Food Hyg. Saf., 36(4), 342-346 (2021). 

  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7. World agriculture, 199, Naju, Korea, p. 49. 

  7.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9. Changes and prospects of 5 trends in the coffee industry, 848, Weekly Economic Review, Seoul, Korea, p. 4. 

  8. Korea Agro-Fisheries&Food Trade Corporation, 2019. Processed food segment market status - coffee, Naju, Korea, p.1. 

  9. Jeon, J.S., Kim, H.T., Jeong, I.H., Hong, S.R., Oh, M.S., Y, M.H., Shim, J.H., Jeong, J.H., A. M. Abd El-Aty., Contents of chlorogenic acids and caffeine in various coffee-related products.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17, 85-94 (2019). 

  10.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22, May 4). 7 dutch coffee products sold on internet was exceeded the standard for total aerobic bacteria [Attachments file]. Retrieved from http://www.nifds.go.kr/brd/m_21/view.do?seq12947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riteria for labeling food, etc, Osong, Korea (2022).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2, January 4). Korea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s://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2, January 4). Korea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0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2, January 4). Korea Food Code.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10255 

  15. Hwang, S.H., Microorganism contaminants of dutch coffee and chang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Korean J. Food Nutr., 28(3), 422-427 (2015). 

  16.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20. Detection method for foodborne pathogens investigation (2021), Osong, Korea, p. 12. 

  17. Koo, E.J., Chung, S.Y., Park, J.E., Kwon, Y.J., Seo, D.H., Jung, Y.Y., Cho, K.C., Lee, Y.A., Min, H.E., Kim, E.G., Kim, H.J., Kim, S.K., Choi, S.O., Lim, C.J., Monitoring of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 children-preferred confectioner- ies in Korea. J. Food Hyg. Saf., 29(4), 322-326 (2014). 

  18. Park, S.H., Yu, J.H., Kim, D.Y., Lee, G.M., Kim, J.W., Shin, J.K., Microbial changes and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cold brew coffee by cold drip method during storage period. Food Eng. Pro., 24(4), 269-275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