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관입시험 및 시추공 정보를 이용한 국내 전단파속도 예측
VS Prediction Model Using SPT-N Values and Soil Laye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8 no.8, 2022년, pp.53 - 66  

허기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곽동엽 (한양대학교 ERICA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GeoInfo)는 전국 건설현장에서 생산되는 많은 수의 지반조사결과 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GeoInfo에는 많은 수의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자료가 존재하지만, 전단파속도(VS) 데이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풍부한 SPT 데이터로부터 VS를 예측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GeoInfo에서 배포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N-VS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층 또는 토층에 구분없이 하나의 모델을 제안한다. 단, 지층에 따라 VS의 최대값을 설정하여 N치의 과대 예측에 의한 VS의 과대 예측을 방지하였다. 모델 개발에 사용하지 않은 검증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N-VS모델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을 비교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제안한 N-VS 모델은 GeoInfo의 많은 데이터로부터 유추된 경험식이기에 GeoInfo의 SPT 데이터를 VS로 변환하는데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ground survey database (GeoInfo) distributes numerous ground survey data nationwide. Many standard penetration test results exist in this database; however, the number of shear wave velocity (VS) data is small. Hence, to use abundant standard penetration test-N values to predict VS, thi...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20)

  1. Akin, M. K., Kramer, S. L., and Topal, T. (2011), "Empirical Correlations of Shear Wave Velocity (Vs) and Penetration Resistance (SPT-N) for Different Soils in an Earthquake-prone Area (Erbaa-Turkey)", Engineering geology, Vol.119, No.1-2, pp.1-17. 

  2. Choi, I.H. and Kwak, D.Y. (2020), "Comparison of Methods Predicting V S30 from Shallow VS Profiles and Suggestion of Optimized Coefficient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6, No.3, pp.15-23. 

  3. Daniel, C. R., Howie, J. A., and Sy, A. (2003), "A Method for Correlating Large Penetration Test (LPT) to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Blow Count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40, No.1, pp.66-77. 

  4. Dikmen, U. (2009), "Statistical Correlations of Shear Wave Velocity and Penetration Resistance for Soils", Journal of Geophysics and Engineering, Vol.6, No.1, pp.61-72. 

  5. Do, J.N., Hwang, P.J., Chung, S.R., and Chun, B.S. (2011), "Analysis on Relation of S-wave Velocity and N Value for Stratums in Chungcheong Buk-do",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2, No.10, pp.13-22. 

  6.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MOLIT), accessed June 17, 2022, https://geoinfo.or.kr. 

  7. Hasancebi, N. and Ulusay, R. (2007), "Empirical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Penetration Resistance for Ground Shaking Assessments",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Vol.66, No.2, pp.203-213. 

  8. Hwang, K.R. and Lee, H.S. (2018), "Seismic Damage to RC Low-rise Building Structures Having Irregularities at the Ground Story During the 15 November 2017 Pohang, Korea, Earthquak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2, No.3, pp. 103-111. 

  9. Imai, T. and Tonouchi, K. (1982), "Correlation of N Value with S-wave Velocity and Shear Modulus", Proceedings 2nd Europe Symposium on Penetration Testing, Vol.1, pp.67-72. 

  10. Jung, J.S., Park, J.B., Lim, H.S., Park, G.R., and Oh, W.G. (2009),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Shear Wave Velocity for Resonable Soil Classification in Seismic Design", Korean Land and Housing Institute. 

  11. Kim, B.J., Ho, J.K., and Hwang, Y. C. (2014), "Prediction of Shear Wave Velocity on Sand Using Standard Penetration Test Results: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0, No.5, pp.47-54. 

  12. Kim, J.K., Han, J.T., and Kwak, T.Y. (2020),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mplification Factor to Estimate Peak Ground Acceleration of Poha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6, No.11, pp.21-33. 

  13. Kim, J.C., Shin, S.H., and Oh, S.H. (2019), "Damage Investigation of Pilotis Structures and Analys is of Damage Caus es by Pohang Earthquak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35, No.3, pp.3-10. 

  14. Kim, Y.S., Kim, Y.C., Lee, W.J., and An, S.W. (2008), "Evaluation of KICT-type Large Penetration Test using Calibration Chamber System",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pp.1359-1364 

  15. Kwak, D.Y., Brandenberg, S.J., Mikami, A., and Stewart, J.P. (2015), "Prediction Equations for Estimating Shear-wave Velocity from Combined Geotechnical and Geomorphic Indexes based on Japanese Data Set",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105, No.4, pp.1919-1930. 

  16. MOIS (2017), Seismic Design General Application,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17. Ohta, Y. and Goto, N. (1978), "Empirical Shear Wave Velocity Equation in Terms of Characteristic Soil Index",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6, No.2, pp.167-187. 

  18. Park, K.H., Han, J.T., and Yoon, Y.N., (2021), "A Study on the Automatic Digital DB of Boring Log Using AI",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7, No.11, pp.119-129. 

  19. Sil, A. and Sitharam, T. G. (2014), "Dynamic Site Characterization and Correlation of Shear Wave Velocity with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s for the City of Agartala, Tripura state, India", Pure and Applied geophysics, Vol.171, No.8, pp.1859-1876. 

  20. Sun, C.G., Kim, H.J., and Chung, C.K. (2008), "Deduction of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Geotechnical In-situ Penetration Test Dat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12, No.4, pp.1-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