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반주기를 고려한 다층지반의 평균전단파속도 추정 방법 평가
Evaluation of Average Shear-wave Velocity Estimation Methods of Multi-layered Strata Considering Site Period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3 no.3, 2019년, pp.191 - 199  

김동관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alculate proper seismic design load and seismic design category, the exact site class for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At present, the average shear-wave velocity for multi-layer soil deposits is calculated by the sum of shear-wave velocities without considering of vertical relationship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내진설계 시 구조물의 지진하중과 건축물의 내진설계범 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반분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층지반조건에 대한 지반의 평균전단파속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비교 및 평가하였으며, 이 를 위하여 수행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파동전달이론으로부터 단층지반 및 다층지반에 대한 전달함수를 도출 하고, 1~4차 모드에 대한 주기산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다층지반조건에 대하여 지반주기 산정식 및 평균 전단파속도 추정방법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526가지 다층지반조건을 적 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동전달이론으로부터 구해지는 전달함수에 대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교차검증하고, 다층지반에 대한 주기의 정해 를 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외기준들에서 적용되는 지반주기 산정식들을 평가하여 다층지반조건에 대한 평균전단파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물의 내진안전성을 확보를 위해 정확한 평가가 요구되는 것은? A~D로 분류되는 내진설계범주에 따라 구조물에 허용되는 지진력저항시 스템, 높이와 비정형성에 대한 제한, 내진설계 대상 부재, 구조해석방법, 연 성상세 등을 규정하여 구조물의 내진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2]. 따라서, 구조물에 대한 안전하고 합리적인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해당 구 조물이 위치한 지반종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 로 지반을 구성하는 다층지반에 대하여 식 (1)과 같이 단층지반조건에 대한 전단파속도를 산술평균하여 평균전단파속도(  )를 구하고 있다[3].
지반운동의 어떻게 증폭되는가? 지진 시, 지반운동은 건물의 관성력으로 지진하중을 유발하여 건물에 손 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지반운동은 해당 건물이 위치한 지반조건에 의하여 증폭되며, 국내 내진설계기준인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1]에서는 Table 1과 같이 암반까지의 깊이 및 평균전단파속도(Average Shear wave velocity)에 따라 지반종류를 S1~S6 로 분류한다. 구조물의 지진하중을 결 정하는 설계응답스펙트럼 작성 시, 지반분류에 따라서 단주기 지반증폭계 수(Fa)를 1.
지반운동이 건물에 손상을 야기하는 이유는? 지진 시, 지반운동은 건물의 관성력으로 지진하중을 유발하여 건물에 손 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지반운동은 해당 건물이 위치한 지반조건에 의하여 증폭되며, 국내 내진설계기준인 KDS 17 10 00 내진설계 일반[1]에서는 Table 1과 같이 암반까지의 깊이 및 평균전단파속도(Average Shear wave velocity)에 따라 지반종류를 S1~S6 로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DS 17 10 00 Seismic Design: General. 1st ed. Seoul: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2018. 21 p. 

  2. Korea Building Code. Seou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2016. 1221 p. 

  3. Minimum Design Loads and Associated Critera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7-16. U. S. 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2016. 822 p. 

  4. Eurocode 8: Design of structures for earthquake resistance. 1998-1:2004.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tion; c2004. 299 p. 

  5. 10.1016/j.engstruct.2005.01.004 Marino EM, Nakashima M, Mosalam KM. Comparison of European and Japanese seismic design of steel builidng structures. Eng. Struct. 2005 Feb;27:827-840. 

  6. 10.1193/1.3240413 Tena-Colunga A, Mena-Hernandez U, Perez-Rocha LE, Aviles J, Ordaz M, Vilar JI. Updated Seismic Design Guidelines for Model Building Code of Mexico. Earthquake Spectra. 2009 Nov;25(4): 869-898. 

  7. 10.1007/978-3-642-36197-5_120-1 Kouretzis GP, Masia MJ, Allen C. Structural Design Codes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Seismic Actions. Encyclopedia of Earthquake Engineering. Berlin: Springer; c2013. 

  8. Code for Seismic Design of Buildings. GB 50011-2010. Beijing: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Rural Develop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2010. 

  9. Kramer SL.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NJ: Prentice Hall; c1996. 653 p 

  10. Sun CG, Kim HS, C. K. Chung CK, Chi HC. Spatial Zonation for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il Dyn. Earthquake Eng. 2014;56:44-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