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발 체험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elf-development Youth Activities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596 - 606  

이은정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과) ,  정은정 (명지대학교 심리재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발 체험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3차년도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38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기분석, 위계적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발 체험활동이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넷째, 자기개발 체험활동이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 social withdrawal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elf-development Youth Activities. Among the data for the 3rd year of the Korea Children's and Youth Panel Survey 2018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발 체험활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개발 체험활동의 참여가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체험활동의 영역을 구분하지 않은 대부분의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목적에 따라 영역을 세분화하여 접근하였다는 것에 차별점이 있다.
  • 부모의 과잉간섭이 사회적 위축 수준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고[18], 자녀의 가치 형성에 역기능적 영향을 주는 부모가 존재함을 고려한다면 사회가 의무를 갖고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체계 속에서 사회적 위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을 검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개발 프로그램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 중학생 3차년도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Norton, 1968. 

  2.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형태조사 제16차(2020) 주요결과, 2020. 

  3. T. M. Achenbach and G. Edelbrok, "The class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efforts," Psychological Bulletin, Vol.85, pp.1275-1301, 1978. 

  4. S. P. Hinshaw,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usal relationships and underlying mechanisms," Psychological Bulletin, Vol.111, pp.127-155, 1992. 

  5. K. H. Rubin, K. Burgess, A. E. Kennedy, and S. Stewart, "Social withdrawal and inhibition in childhood," In E. Mash, & R. Barkley(Eds.), Child psychopathology, pp.372-406, New York: Guilford, 2003. 

  6. L. A. Kurdek and D. Krile, "A development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peer acceptance and both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perceived social self-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3, pp.1485-1591, 1982. 

  7. K. H. Rubin, R. J. Coplan, and J. C. Bowker,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60, pp.141-171, 2009. 

  8. 김선희, 김경연,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55-166, 1998. 

  9. K. H. Rubin and K. Burgess, "Social withdrawal," In M. W. Vasey & M. R. Dadds (Eds.), Th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of anxiety, pp.407-434,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0. 김원영, 서봉언, 김경식, "과보호 양육, 자아 탄력성 및 사회적 위축이 남녀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제51권, 2017. 

  11. D. Bell-Dolan, N. M. Reaven, and L. Petterson, "Depression and social functioning: A multidimensional study of linkag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athology, Vol.22, pp.306-315, 1993. 

  12. K. H. Rubin, X. Chen, P. McDougall, A. Bowker, and J. McKinnon,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Predict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y, Vol.7, pp.751-764, 1995. 

  13. K. Konnad, C. Firk, and P. J. Uhlhaas, "Brain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Deutsches Aerzteblatt International," Vol.110, No.25, pp.425-431, 2013. 

  14. 최정아,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또래관계,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pp.377-378, 2014. 

  15. E. Die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pp.276-302, 1999. 

  16. D. Mellor, M. Stokes, L. Firth, Y. Hayashi, and R. Cummins, "Need for belong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5, No.3, pp.213-218, 2008. 

  17. C. L. Proctor, P. A. Linley, and J. Maltby, "Youth life satisf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0, No.5, pp.583-630, 2009. 

  18. 이운경, 윤기봉, 박보경, 도현심, "사회적 위축 및 부모의 과잉간섭과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6권, 제2 호, pp.205-217, 2018. 

  19. C. G. McKnight, E. S. Huebner, and S. Suldo, "Relationships among stressful life events,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No.6, pp.677-687, 2002. 

  20. S. M. Suldo and E. S. Huebner, "The role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dimensions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66, pp.165-195, 2004. 

  21. E. Haranin, E. S. Huebner, and S. M. Suldo, "Predictive and incremental validity of global and domain. base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reports,"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Vol.25, pp.127-138, 2007. 

  22. L. J. Nelson, K. H. Rubin, and N. A. Fox,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20, No.2, pp.185-200, 2005. 

  23.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ston, NJ: Prinston Univ, Press, 1965. 

  24. R. F. Baumeister, J. D. Campbell, J. I. Krueger, and K. D. Vohs,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4, No.1, pp.1-44, 2003. 

  25. 이재경, 김순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기 특성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제11권, 제3호, pp.21-41, 2014. 

  26. N. Brenden, The power of self-esteem, Deerfield Beach Florida, Health communication, 1992. 

  27.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3호, pp.127-166, 2007. 

  28. R. Simmons, F. Rosenberg, and M. Rosenberg, "Disturbance in the self-image at adolesce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8, pp.353-368, 1973. 

  29. 김지영, 이형실,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요인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교육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1-32, 2010. 

  30. C. L. Keyes, D. Shmotkin, and C. D. Ryff,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ety Psychology, Vol.82, pp.1007-1022, 2002. 

  31. 이한주,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74-283, 2017. 

  32. 조성희, 김혜선,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621-631, 2021. 

  33. 이봉주, 민원홍, 김정은,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317-346, 2014. 

  34. 전란영, 김희화,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 및 과잉간섭적 양육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시설환경, 제14권, 제2호, pp57-67, 2016. 

  35. M. Weeks, R. J. Coplan, and A. Kingsbury, "The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early appearing social anxiety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23, pp.65-972, 2009. 

  36. 법제처 https://www.moleg.go.kr 

  37. 교육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부 고시 제2015-74 호, 별책 42, 2015. 

  38.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 http://www.youth.go.kr 

  39. 김기승, 함혜수,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469-480, 2020. 

  40. 김해성, 안영철, 송진영,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통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305-325, 2018. 

  41. 박경미, 박한솔, 최연정, "청소년 활동의 효과에 대한 유형화 분석," 한국청소년활동연구, 제64권, 제4호, pp.95-121, 2020. 

  42. 박진화,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 매개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활동연구, 제3권, 제1호, pp.29-50, 2017. 

  43. 손인봉, 김태형,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359-368, 2021. 

  44. 송수지, 김정민, "중학생의 청년활동 참여도가 자아 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18권, 제4호, pp.169-184, 2018. 

  45. 이응택, 곽현, 이은경, "청소년의 체험활동 만족 및 참여수준과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2호, pp.345-370, 2016. 

  46. 이응택, 오승근, "청소년 체험활동과 스마트폰과의 의존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32권, 제4호, pp.35-63, 2021. 

  47. 조연수, 한세영,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 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7권, 제2호, pp.243-255, 2019. 

  48. 조정은,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존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공학, 제47권, pp.191-209, 2021. 

  49. 최지영, 강수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자기효능감 간 관계: 청소년 체험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3호, pp.129-148, 2021. 

  50. 손인봉, 김태형, "청소년 체험활동 만족도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359-368, 2021. 

  51. 이종석, 정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595-6603,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