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장과 온라인의 영화 소비와 소비집중도 추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ie Consumption and Concentration Trends in Theaters and Onlin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170 - 179  

김준성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극장 중심의 영화산업에서는 소비의 집중 현상이 발생해 영화 소비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극장의 영화 소비 집중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온라인 영화 소비의 집중까지 확장한다. 그리고 코로나19 유행의 영화 소비와 소비집중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영화진흥위원회의 박스오피스 자료를 활용 2012년에서 2021년까지의 패널 데이터를 수집했다. 분석 결과 극장에서 온라인에서보다 영화별, 국가별, 장르별 소비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로나19 유행 이전까지 극장과 온라인 모두 영화 소비집중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에는 극장과 온라인의 소비 규모가 동반 감소하고, 온라인의 영화별 소비집중도는 높아졌다. 연구 결과는 영화 소비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영화산업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소비 집중 추세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이때 온라인 매체의 활용이 유용할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theater-based movie industry, it is known that the diversity of movie consumption is hindered due to concentrated consumption. This study extend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ncentration of movie consumption in theaters to the concentration of online movie consumption. In addition, the 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김주현(2018)114]의 연구에서도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와 홈 TV 시청이 대체 관계에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진흥위원회의 IPTV 및 케이블 영화 온라인 박스오피스 자료를 활용해 온라인 영화소비와 극장을 통한 영화 소비의 추세와 다양성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논의를 확장하여 극장과 온라인을 통한 영화 소비를 소비 추세와 영화별/국적별/장르별 다양성의 측면에서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OTT 동영상 서비스의 보급과 코로나19의 유행이라는 변화가 영화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극장 중심의 영화산업에서 다양성 감소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온라인에서 영화 소비행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극장과 온라인의 영화 소비 추세와 소비 집중도를 확인했다. 그리고 코로나19의 유행이 영화 소 비 추세와 소비 집중에 미친 영향을 확인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논의를 확장하여 극장과 온라인을 통한 영화 소비를 소비 추세와 영화별/국적별/장르별 다양성의 측면에서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OTT 동영상 서비스의 보급과 코로나19의 유행이라는 변화가 영화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OTT 동영상 서비스의 보급과 코로나19의 유행이라는 변화가 영화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극장 중심의 영화산업에서 다양성 감소가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온라인에서 영화 소비행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이상길, "영화 취향과 소비 연구의 비판적 성찰: 2000년 이후 국내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16권, 제3호, pp.229-261, 2017. 

  2. 남기연, "영화산업의 독과점 실태와 해소 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법, 제20권, 제4호, pp.125-146, 2017. 

  3. 전범수, 최영준, "국내외 흥행 영화소비집중도 결정요인:1973-2003,"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6호, pp.401-417, 2005. 

  4. 박소라, "스크린 수 증가에 따른 영화의 국적 다양성과 소비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5-30, 2006. 

  5. 사영준, 유승호, "영화의 소비집중도와 산업 간의 관계: 산업 규모 및 성장성과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4호, pp.299-322, 2009. 

  6. 사영준, 유승호, "영화산업에서의 소비집중도와 산업의 성장성의 관계: 49개국의 영화 흥행 데이터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제19권, 제2호, pp.1-8, 2019. 

  7. 최성희, "영화 수요.공급 집중도와 영화 시장규모," 문화경제연구, 제22호, pp.81-100, 2019. 

  8. 최성희, "디지털 온라인 영화시장의 수요 집중화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8호, pp.69-78, 2021. 

  9. 이충직, "한국영화산업과 멀티플렉스의 역할: 한국영화의 다양성 확보사례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제20권, pp.231-258, 2012. 

  10. 배장수, "영화의 다양성과 한국영화산업의 현주소," 영산법률논총, 제12권, 제1호, pp.125-154, 2015. 

  11. A. D. Vany, Hollywood economics: How extreme uncertainty shapes the film industry, New York, 2003. 

  12. 이승엽, 이상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기존 매체간의 경쟁관계에 관한 적소분석,"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2권, 제3호, pp.7-45, 2014. 

  13. 함민정, 신유진, 이상우, "OTT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자 특성과 이용 장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124-137, 2018. 

  14. 김주현,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434-445, 201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