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이용자들의 허위정보 노출경험 및 규제에 대한 인식 차이
YouTube Users' Awareness of False Information Regulation and Exposure to Dis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14 - 32  

김소라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유튜브 콘텐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허위정보와 딥페이크 영상에 노출된 경험여부에 따른 허위정보 또는 딥페이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실시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유튜브 동영상 이용 및 허위정보 유출경험' 온라인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허위정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허위정보에 노출경험이 있는 남성이 한국에서의 유튜브 허위정보로 인한 문제점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딥페이크 영상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딥페이크 영상 노출경험이 있는 여성들이 동의하는 경향이 컸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딥페이크 영상에 대한 피해로 인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튜브 이용자들이 규제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가 높은 가운데,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허위 정보와 딥페이크의 유형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보 생산자와 유통자가 스스로 규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false information and deepfak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being exposed to false information and deepfake images for YouTube content user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YouTube Use and False Information Exposure Experience' conducted by the Korea P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제시된 문제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유튜브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허위정보와 딥페이크 영상에 노출된 경험여부에 따른 허위정보 또는 딥페이크에 대한인식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유튜브 이용자들의 허위정보 또는 가짜뉴스 노출경험에 따라 유튜브로 유통되는 허위정보 또는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 둘째, 유튜브 이용자들의 딥페이크 영상 노출 경험에따른 딥페이크 영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서울신문, SNS, 유튜브만 보다간 고집센 바보된다, 2021.9.18. [On-line]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917500150 

  2. BBC 뉴스 코리아, (2021. 9.30). 유튜브, '백신 가짜뉴스 아웃'...백신 반대 인플루언서도 차단, 2021.9.30. [On-line] https://www.bbc.com/korean/news-58730106 

  3. mbn 뉴스, 백신 맞으면 암 걸린다"...유튜브 백신 허위정보 13만건 삭제, 2021.9.30. [On-line] https://m.mbn.co.kr/news/4606490 

  4. 박준석, 가짜 뉴스의 심리학, 서울:휴머니스트출판그룹, 2021. 

  5. 이데일리, 사이버범죄 4년간 10만건 증가...딥페이크 악용 다수, 2021. 10.5, [On-line]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89446629209968&mediaCodeNo257 

  6. 투데이신문, 딥페이크 악용 허위 음란물, 전년 대비 2.5배 급증...김상희 의원 "기술 제한 가능해야, 2021.9.28. [On-line]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680 

  7. 동아일보, 허위정보 확산 경로는 유튜브가 절대적...최다 이용 SNS는 카카오톡, 2021.12.23. [On-line]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11223/110917713/1 

  8. 법제처,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2021. 

  9. 임한솔, 정창원, "국내외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현황 및 규제 방향성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No.2, pp.248-264, 2020. 

  10. 이원상, "허위사실유포에 대한 형법의 대응방안 고찰 - 소위 '가짜뉴스(fake news)'를 중심으로 -,"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Vol.62, No.3, pp.35-68, 2019. 

  11.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 (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pp.113-155, 2019. 

  12. 장윤호, 최병구, "영상과 텍스트 정보의 결합을 통한 가짜뉴스 탐지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231-235, 2020 

  13. 박성수, 이건창, "효과적인 가짜 뉴스 탐지를 위한 텍스트 분석과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의 비교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5, pp.137-143, 2019. 

  14. 김정호, 안재주, 양보성, 정주연, 우사이먼성일, "데이터 기반 딥페이크 탐지기법에 관한 최신 기술 동향 조사," 정보보호학회지, Vol.30, No.5, pp.79-92, 2020. 

  15. 최순욱, 오세욱, 이소은, "딥페이크의 이미지 조작: 심층적 자동화에 따른 사실의 위기와 푼크툼의 생성,"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3, pp.339-380, 2019. 

  16. 홍주현, 설진아, 이종임, "유튜브 채널에서 코로나19중국관련 허위정보 확산에 관한 연구: 확산 주체와 정보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pp.652-666, 2021. 

  17. 함민정, 이상우,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pp.36-50, 2020. 

  18. UNESCO, Journalism, 'fake news' & disinformation: Handbook for journalism education and training, 2018. 

  19. 김민호, 소병수, "1인 미디어와 가짜뉴스 규제," 법조, Vol.68. No.5, pp.7-41, 2019. 

  20. 박아란, "법원과 언론: 언론 자유에 대한 고찰," 언론과 법, Vol.6, No.2, pp.75-105, 2017. 

  21. 황용석,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인터넷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언론과 법, Vol.16, No.1, pp.53-101, 2017. 

  22. 심홍진, 주성희, 김청희, 정보소통 네트워크 상의 허위정보 대응 및 신뢰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10, 2018. 

  23.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언론과법, Vol.17, No.1, pp.51-84, 2018 

  24. E. C. Tandoc Jr., Z. W. Lim, and R. Ling, "Defining fake news, : A typology of scholarly definition," Digital Journalism, Vol.6, No.2, pp.137-153, 2018. 

  25. J. L. Egelhofer and S. Lechealer, "Fake news as a two dementional phehomenon: A framework and reasearch agendar,"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43, No.2, pp.97-116, 2019. 

  26. D. Baines and R. J. Elliott, Defining misinformation, disinformation and malinformation: A urgent need for clartiy duting the COVID-19 infordemic, Discussion Papers 20-06, Department of Economics, University of Birmingham, 2020. 

  27. 김부경, 한윤선, "또래 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 도덕적 이탈의 조절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pp.339-348, 2016. 

  28. 김학재, 반기문, 새누리 의원들 만나 "가짜뉴스 규제법 만들어 달라, 파이낸셜 뉴스, 2017. 1. 25. [On-line] http://www.fnnews.com/news/201701251044319696 

  29. 정정주, 김민정, 박한우, "유튜브 상의 허위정보 소비 실태 및 확산 메커니즘 생태계 연구 :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2, No.2, pp.105-138, 2019. 

  30. 박신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및 그 확장과 관련된 독일 네트워크 법 집행법(NetzDG) 연구," 법학연구, Vol.21, No.2, pp.269-304, 2018. 

  31. 박아란, 온라인 허위정보와 뉴스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2020-05, 2020. 

  32. 양정애, 오세욱, "유튜브 동영상 이용과 허위정보 노출경험," Media & Issue, Vol.4, No.8, pp.1-16, 2018. 

  33. 염정윤, 정세훈,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63, No.1, pp.7-45, 2019. 

  34. C. Hoffner, M. Buchanan, J. D. Anderson, L. A. Hubbs, S. K. Kamigaki, L. Kowalczyk, and K. J. Silberg, "Support for censorship of television violence: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news exposure,"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No.2, pp.726-742, 1999. 

  35. V. Bakir and A. McStay, "Fake News and The Economy of Emotions," Digital Journalism, Vol.6, No.2, pp.154-175, 2017. 

  36. 박주일, "딥페이크 기술의 발전과 저널리즘의 새로운 위협 - 이미지공정성 확보를 위한 영상 팩트체크 필요성," 언론중재, Vol.156, pp.52-69, 2020. 

  37. BuzzFeedVideo, You Won't Believe What Obama Says In This Video!, 2018. 4.7.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cQ54GDm1eL012 

  38. B. L. Timothy, I created my own deepfake-it took two weeks and cost $552, ARTS TECHNIA, 2019. 12.16. [On-line] https://arstechnica.com/science/2019/12/how-i-created-a-deepfakeof-mark-zuckerberg-and-star-treks-data/3/ 

  39. 오세욱, 이소은, 최순욱, "기계와 인간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가?: 기계학습을 통해 본 쟁점과 대안,"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8, No.3, pp.63-96, 2017. 

  40. 노형진,SPSS에 의한 범주형 데이터 분석, 효산경영연구원, 2007. 

  41. 오세욱, 박아란, "일반국민들의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 미디어이슈, Vol.2, No.3, pp.1-12, 2017. 

  42. AI TIMES, AI윤리와 딥페이크 기술 논의에 세계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2021. 9.3. [On-line]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468 

  43. 선지원, "규제 방법의 진화로서 자율규제의 실질화를 위한 연구," 행정법연구, Vol.20, No.64, pp.99-126, 202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