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Users' Perception of YouTube Regul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2, 2020년, pp.36 - 50  

함민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ICT) ,  이상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유튜브 저널리즘'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유튜브를 통한 뉴스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튜브는 전통 뉴스 매체보다 보다 흥미롭고 깊이 있게 뉴스를 전달하므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정치적, 사회적 이슈를 가감 없이 전달하는 과정에서 허위정보, 즉 가짜뉴스가 생산, 유포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허위정보를 근절하기 위한 법적 처벌이나 허위정보 확산에 책임질 수 있는 주체를 지정하는 등 규제가 필요하다며 적극적으로 법안을 발의하고 있다. 그러나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배제한 채 유튜브에 대한 규제를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허위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경험과 인식, 그리고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진보집단보다 보수집단과 중도 집단이 허위정보에 더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50대보다 60대가 유튜브 내 허위정보 유통 정도를 낮게 평가했다.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태도의 경우 표현의 자유를 중시할수록, TV조선의 뉴스를 신뢰할수록 유튜브 정보 규제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상파, JTBC의 뉴스를 신뢰할수록, 뉴스관 중 "계몽"을 중시할수록 유튜브 정보 규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ouTube as a news channel is gaining popularity because it offers more interesting and in-depth news than traditional news media. However, YouTube has been criticized for its distribution of false information (or fake news) in Korea. Politicians are actively proposing a variety of bills to regulat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의 허위정보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허위정보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이 도출되었다.
  •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허위정보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해 보고,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1-3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무엇보다 국내 유튜브 이용자 2,902만명중 유튜브 뉴스 이용자 수는 약 1,120만명인 것으로 추정되는데[10], 대다수의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배제한 채 유튜브 정보 규제를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허위정보에 대한 경험과 인식, 유튜브 정보규제 찬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이연구의 결과는 실제 유튜브 뉴스 이용자의 허위정보에 대한 경험과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고있으므로, 향후 유튜브와 허위정보 규제에 대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매체에 대한 규제는 실제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해관계자보다 이용자의 시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유튜브 뉴스 이용자의 관점에서 유튜브 상의 정보 규제를 논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설정된 이 연구의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허위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과 유튜브 정보 규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정치권과 언론계를 중심으로 유튜브 뉴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유튜브 뉴스를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있었지만, 유튜브 뉴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생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Reuters Institute, Reuters Institute Digital News Report, 2019. 

  2. T. J. Johnson and B. K. Kaye, "Cruising is believing? Comparing internet and traditional sources on media credibility measure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5, No.2, pp.325-340, 1998. 

  3. T. J. Johnson and B. K. Kaye, "Using is believing: the influence of reliance 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7, No.4, pp.865-879, 2000. 

  4. V. Baltatzis, "Is blogging innovating journalism?," Innovation Journalism, Vol.3, No.4, pp.1-11, 2006. 

  5.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73. 

  6. 양정애, 오세욱. 유튜브 동영상 이용과 가짜뉴스 노출경험,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7. V. Bakir and A. McStay, "Fake News and The Economy of Emotions," Digital Journalism, Vol.6, No.2, pp.154-175, 2017. 

  8. https://www.pewresearch.org/fact-tank/2016/11/07/social-media-causes-some-users-to-rethink-their-views-on-an-issue/ 

  9. 김민호, 가짜뉴스 규제법안의 비판적 고찰, 체감규제포럼 특별세미나, 2018. 

  10.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463. 

  11. 황용석, 권오성,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언론과법, 제16권, 제1호, pp.53-101, 2017. 

  12. 정세훈, "가짜뉴스의 대응 방안 및 쟁점," 관훈저널, 제60권, 제1호, pp.76-82, 2018. 

  13. E. C. Tandoc, Z. W. Lin, and R. Ling, "Defining 'Fake News' - A typology of scholarly definitions," Digital Journalism, Vol.6, No.2, pp.137-153, 2018. 

  14. C. Hoffner, M. Buchanan, J. D. Anderson, L. A. Hubbs, S. K. Kamigaki, L. Kowalczyk, K. J. Silberg, "Support for censorship of television violence: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news exposure," Communication Research, Vol.26, pp.726-742, 1999. 

  15. R. Marchi, "With Facebook, Blogs, and Fake News, Teens Reject Journalistic 'Objectivity',"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Vol.36, No.3, pp.246-262, 2012. 

  16. National Annenberg Election Survey. Daily Show viewers knowledgeable about presidential campaign, National Annenberg Election Survey Shows, Annenberg Public Policy Center, 2004. 

  17. D. H. Weaver, R. Beam, B. J. Brownlee, P. S. Voakes, and G. C. Wilhoit, The American journalist in the 21st century: U.S. news people at the dawn of a new millennium,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7. 

  18. T. Oh, H. Kang, and J. Choi, Media in the Information Society, Seoul: Naman Press, 2003. 

  19. J. A. Braun, Rehasing the gate: news values, non-news spaces, and the future of gatekeeping, Unpublished thesis, Cornell University, 2009. 

  20. 임영호, 김은미, 김경모, 김예란, "온라인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뉴스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179-204, 2008. 

  21. 이정훈, "비판적 뉴스 이용 전략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뉴스 피로감, 정치적 세련도, 뉴스에 대한 지식 체계, 뉴스관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578-592, 2019. 

  22. 김균수,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2호, pp.154-184, 2013. 

  23. B. Kovach and T. Rosenstiel, The Elements of Journalism: What News 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1st rev ed. New York: Three Rivers Press, 2007. 

  24. 백강희, "포털 사이트 뉴스 이용행태, 포털 사이트 뉴스 신뢰도, 언론사 뉴스 신뢰도 간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306-314, 2019. 

  25.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73 

  26. T. J. Johnson and B. K. Kaye, "Reasons to believe: Influence of credibility o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0, pp.544-555, 2015. 

  27. 이철현, 뉴스이용동기와 지각된 뉴스 신뢰도가 가짜뉴스에 대한 태도와 규제의견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8. P. R. Abramson and J. H. Aldrich, "The decline of electoral participation in America,"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76, pp.502-521, 1982. 

  29. R. G. Niemi, S. C. Craig, and F. Mattei, "Measuring internal political efficacy in the 1988 National Election Stud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5, pp.1407-1413, 1991. 

  30. K. S. Sherrill and D. J. Vogler, Power, Policy,and Participation: An Introduction to American Government, New York, NY: Harperand Row, 1977. 

  31. 송경재, "포털 뉴스서비스규제에 관한 일 고찰: 표현의 자유와 규제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3호, pp.151-172, 2008. 

  32. 진민정, "언론, SNS, 정치권, 교육계 모두 '가짜뉴스와 전쟁'," 신문과방송, 제5권, 제557호, 2017. 

  33.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828. 

  34. 노성종, 최지향, 민영,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4권, 제4호, pp.99-149, 2017. 

  3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072046005#csidx82bef6ccb9fbd1fbc5b38e7dcc8c2af 

  36.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21/2019082102621.html. 

  37. 유수정, 이건호, "메인 뉴스 논조 차별화가 드러낸 한국 종편 저널리즘의 지형,"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1호, pp.7-35, 2017. 

  38. https://www.ytn.co.kr/_ln/0106_2019122311001410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