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과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Online Class Experience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2, 2022년, pp.273 - 284  

김윤경 (흥도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광역시 초등학교 3~6학년 담임교사 중 과학 교과 온라인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4개월간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과학과 온라인 수업을 통한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대상자들의 지구과학단원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인터뷰,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온라인 수업관련 제작자료 및 교사일지 등 관련 문서들과 현장 수업을을 실시한 결과, 교사들은 기존의 대면수업에 비해 온라인 수업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되는 새로운 매체에 적응하는 과정에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 제작된 과학자료 및 원활한 수업운영을 위한 수업플랫폼 제공을 요구하였다. 특히 실험단원의 경우, 계획된 교육과정이수 시수에 부담감이 있었으며, 팬데믹 상황에서 학생들의 밀도 있는 과학수업을 위해 개인별 실험도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이를 위한 교사의 재량권 확대 및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팬데믹 현상을 대비한 미래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해 새로운 수업형태로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결합한 블랜디드 러닝 학습체계 도입이 필요하며, 온라인 학습의 질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수업형태 및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지속적인 교사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eachers'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science and online classes based on data collected for 4 months from 4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science subject online classes among homeroom teachers in the 3rd to 6...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30)

  1. 강미애, 남성욱(2020).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89-116. 

  2.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3. 권점례(2020).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수업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RRC 2020-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권정민(2021).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 32(1), 399-424. 

  5. 김상미(2020).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지, 21(6), 1091-1100. 

  6. 김성운, 양일호, 임성만(2020). COVID-19 상황에서 초등과학 전담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 및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17-329. 

  7. 김영천(2012). 질적연구 방법론 1: Bricoleur. 경기: 아카데미 프레스. 

  8. 김주현, 홍영일, 최인철(2021). 코로나 기간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교사의 행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753-776. 

  9. 김철주(1997). 정보화시대의 원격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4(2), 5-12. 

  10. 김필성(2015).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초등과학교육, 39(4), 522-532. 

  12. 김혜진(2020). 코로나19에 따른 초등교사의 온라인수업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613-639. 

  13.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1). 온라인 과학 수업에서 실험활동과 상호작용의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59-172. 

  14. 문현진(202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초등사회과 수업 사례 연구. 사회과교육, 60(1), 1-28. 

  15. 서봉언(2020).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학업열의, 디지털기기, 피드백의 상호작용.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 2020, 111-133. 

  16.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3~4학년군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47(3), 310-323. 

  17. 안서헌, 김준, 이정표(2021). 초등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385-1410. 

  18.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한국교육인류학회지, 6(1), 119-140. 

  19. 오재호(2020).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이슈&진단, 421, 1-25. 

  20. 이쌍철(2017). 교과선택권 확대를 위한 온라인수업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21. 이예슬, 신범철, 정양순(2021). 코로나 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지, 59(1), 131-165. 

  22. 이윤미, 김순미(2021). 한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의 원격수업 경험 및 인식 연구. 초등교육연구, 34(1), 1-28. 

  23. 이준희(2020). 과학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25.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37-966. 

  26. 하명정(2020). 구글 미트와 연동한 구글 클래스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문화와 융합, 42(10), 223-252. 

  27. Chase, S. E. (2005). Narracive inquiry.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28. Clandinin, D. J. (2011). 내러티브탐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강현석, 소경희, 박민정, 박세원, 박창언, 염지숙, 이근호, 장사형, 조덕주 역, 교육과학사. 

  29. Clandinin, D. J. (2015).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염지숙, 강현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역, 교육과학사. 

  30.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