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적인 세계와 전통적인 교육
Aristotle's Static World and Traditional Educa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2, 2022년, pp.158 - 170  

오준영 (단국대학교) ,  손연아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 즉 정적인 우주관의 특징을 이해하고 교육에의 함의를 찾는 것이다. 플라톤은 세계를 이해하는 최상의 방법은 기하학 및 수학적 규칙성 관점에서 불완전한 관찰보다는 이성적 접근법을 사용해서 자연세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을 관찰함으로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이 세계는 합목적성으로 사물의 목적이 충만한 정적인 세계관이다. 또한, 질서의 세계를 향하는 자연스런 운동인 지상의 물체와 천체의 자연스러운 운동이 본래적인 행동이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모든 자연적 사물들이 어떤 운동, 즉 그것들의 자연적인 운동을 수행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무엇보다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구축한 세계는 정적인 우주인 것이다. 인간과 독립하여 존재하는 객관적인 자연에 인간의 이성과 관찰로 접근하여 세계를 온전히 파악 가능하다는 것이다. 결국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자연계가 당혹스러울 정도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듯 보이는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규칙적이며 질서정연한 자연법칙의 지배를 받는다는 그들의 믿음은 서양사고의 근간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근대철학의 형이상학적 관점인 우주는 이미 완성되었거나 계획된 것, 이상적이고 필연적인 것으로 이해의 이분법적 논리(가지 잘라내기)의 개발에 의존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의견이 중시되지 않는 전통적인 교수-학습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현재 진화론에 따른 구성주의 교수-학습과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ristotle's view of nature that is, the static view of the universe, and fi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Plato sought to interpret the natural world using a rational approach rather than an incomplete observation, in terms of from th...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18)

  1. 소광희(2008). 자연 존재론: 자연과학과 진리의 문제. 서울: (주)문예출판사. 

  2. 오준영(2019). 서양 고대 그리스와 중세의 철학적 세계관, 그리고 근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영향.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3. 이수석(2001). 재미있는 철학 수업. 서울: 철학과현실사. 

  4. 주광순(2007). 존재론의 역사적인 고찰. 코키토, 62, 217-248. 

  5. 차하순(1994). 서양 근대사상사의 연구. 서울: 탐구당. 

  6. 최재천(2005). 종의 기원(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편). 권장도서 해제집: 문학에서 과학기술까지 (제92장),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7. 한자경(2018). 칸트 철학에의 초대 (제7쇄). 서울: 서광사. 

  8. 한자경(2019). 실체의 연구: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사. 

  9. Cohen, I. B. (1985). The birth of a new physics (Revised and Updated). New York: W.W. Norton & Company, Inc. 

  10. Davis, B. (2016). 구성주의를 넘어선 복잡성 교육과 생태주의 교육의 계보학(초판 2쇄)(Inventions of teaching). New York: Routledge. 심일섭 역, 서울: 도서출판 씨아이알. (원서출판 2009). 

  11. Guthrie, W. K. C. (2016). 희랍철학의 입문(The Greek philosophers from Thales to Aristotl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박종현 옮김, 경기: 도서출판 서광사. (원서출판 2007, 참고문헌의 쪽수는 한국어 번역판임). 

  12. Henry, J. (2012). A short history of scientific thought. UK: Palgrave Macmillan. 

  13. Lovejoy, A. O. (1984). 존재의 대 연쇄(The great chain of being: A study of history of an idea). Harvard University Press. 차하순 역, 서울: 탐구당. (원서출판 1971). 

  14. Oh, J. Y., & Han, H. (2022). Understanding mathematical abstraction in the formularization of Galileo's law.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2(1), 55-68. 

  15. Pfister, J. (2011). 철학의 모든 것(Philosophie, Ein Lehrbuch). Reclam, Philipp, jun. GmbH, Verlag. 손영식 외 옮김, 서울: 북코리아. (원서출판 2011). 

  16. Rifkin, J. (2016). 엔트로피(4쇄 발행)(Entropy: Into the greenhouse world). New York: Bantam. 이창희 옮김, 서울: 세종연구원. (원서출판 1989). 

  17. Whitehead, A. N. (1926). Science and modern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Woodfield, A. (2010). Tele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