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근로자의 행복 수준 차이
Difference in Happiness Level of Workers Depending on the Leadership Type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3 no.3, 2022년, pp.111 - 128  

조현정 (신안산대학교 사무비서행정과) ,  이현민 (한국고용노동교육원) ,  이유진 (한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을 유형화하여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근로자의 행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목표로는 첫째,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도출하고, 둘째, A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구성원의 행복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더십 유형은 다음의 4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1) 자기관리, 과업관리, 사람관리, 조직관리 영역별로 모두 완벽한 능력을 보이고 있는 엘리트 리더십 유형, 2) 사람관리능력이 상대적으로 다소 부족하지만 자기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그 외 과업관리, 조직관리능력이 우수한 유능한 리더십 유형, 3) 사람관리가 다소 낮으면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자기중심적 리더십 유형, 4) 자기관리는 보통수준이나 과업관리, 조직관리능력이 다소 부족하고, 사람관리 능력이 취약한 소극적 리더십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근로자의 행복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대기업 근로자가 인식한 상사의 리더십 유형을 제시하고, 행복과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happiness of workers depending on the perceived leadership types in a big company in Korea.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1) to identify the managers' leadership types which their workers perceive in a big corporate organization, and 2) to an...

주제어

참고문헌 (77)

  1. 감지연, 조현정, 백지연 (2022). 원격근무 환경에서 상사의 리더십 역량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3(1), 165-185. 

  2. 강철희, 최명민, 김수연 (2012).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행복감과 사회적 신뢰 및 두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4(2), 57-82. 

  3. 고영미, 김종훈, 김성주 (2015). 어린이집 교사의 내적통제소재가 삶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5(5), 499-514. 

  4. 고은지, 도미향 (2016).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9(3), 77-99. 

  5. 권상집, 정지용 (2016). 진성 리더십, 상사 신뢰,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7(4), 1-25. 

  6. 김경수, 김공수, 김인숙, 양동민, 김태준 (2010).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파주: 집문당. 

  7. 김경은, 장은진, 김종우 (2017). 미용실 종사자의 사회적 교환관계, 행복 및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21(1), 139-151. 

  8. 김미경, 문재승 (2019). 상사의 코칭행위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32(4), 617-644. 

  9. 김미진, 김병만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경로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99-120. 

  10. 김미진, 김병만 (2017).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 및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191-215. 

  11. 김병섭, 안선민, 이수영 (2015). 거시적 사회경제요인이 국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분석: 우리나라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행정논총, 53(2), 97-121. 

  12. 김상곤, 김성중 (2008). 지역주민의 행복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안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5, 325-351. 

  13. 김상민, 차민석 (2016). 오센틱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9(1), 347-382. 

  14. 김상민, 차민석 (2018). 진성 리더십과 구성원 개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 85-94. 

  15. 김윤희, 정혜영 (2018).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 및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873-892. 

  16. 김혜연, 남승규 (2018).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553-561. 

  17. 박영미 (2017).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과 보육교사헌신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 

  18. 박종욱, 오상진 (2020). 진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리더십연구, 11(3), 95-121. 

  19. 박지연, 손영화 (2014). 일과 생활의 조화와 상사-부하 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2), 317-338. 

  20. 박지영, 손영우 (2018). 소명이 있는 상사와 일하는 것은 행복한가?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무만족 관계의 매개변인 및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2), 353-385. 

  21.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2010). 한국인의 행복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2010년 연차학술대회, 213-222. 

  22. 양세영 (2014). 조직의 윤리 프로그램과 구성원의 비윤리 행동.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3. 오진주, 이현민 (2021).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의 질 유형과 주관적 행복의 차이. 조사연구, 22(1), 127-154. 

  24. 이정민, 도미향 (2017).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칭연구, 10(2), 5-28. 

  25. 이정아, 김미진 (201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0), 13-21. 

  26. 이종법, 장호철 (2008). 근로자의 셀프리더십 향상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마치는 영향. 경영논총, 29, 69-99. 

  27. 이지은, 강민성, 이승종 (2014).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2), 559-588. 

  28. 이현민, 정진철 (2012).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조직몰입과 상사의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3), 153-177. 

  29. 임유신, 이규헌, 김경섭 (2010). 팔로워십을 고려한 리더십개발의 필요성에 관한 실증 연구: 리더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HRD연구, 12(2), 113-144. 

  30. 조승현 (2017).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 박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대학원, 광주. 

  31. 조찬희, 이형용 (2021). 경영자 감성리더십이 팀원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MZ 세대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4), 261-282. 

  32. 조한용 (2020). 윤리적 풍토 형성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변혁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3(3), 101-122. 

  33. 최우재, 조윤형 (2013). 진성리더십이 부하의 심리적 웰빙과 적응적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1(1), 185-228. 

  34. 최혜진, 이호필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515-537. 

  35. Andrew, F. M., & Wh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36. Bass, B. M. (1997). Does the transactional-transformational leadership paradigm transcend organizat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American Psychologist, 52, 130-139. 

  37. Bass, B. M. (199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ustrial, military, and educational impac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8. Blake, R., & Mouton, J. (1964). The managerial grid: The key to leadership excellence. Houston, TX: Gulf Publishing Company. 

  39. Burns, J. M. (1978). Leadership. New York: Harper and Row. 

  40.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2), 117-124. 

  41. Clawson, J. G. (2009). General model of leadership in organizations: A diamond in the rough. Darden Case No. UVA-OB-0380. 

  42. Cogner, J. A., & Kanungo, R. N. (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471-482. 

  43. Conger, J. A., & Kanungo, R. N. (1987).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4), 637-647. 

  44.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45. Drath, W. H., & Palus, C. J. (1994). Making common cense: Leadership as meaning-mak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46. Fiedler, F. (1964).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effectivenes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47.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48. Greenberg, J. (1993). The social side of fairness: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classe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R. Cropanzano (Ed.), Justice in the workplace: Approaching fairnes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pp. 79-103).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9. Heimann, A. L., Ingold, P. V., & Kleinmann, M. (2020). Tell us about your leadership style: A structured interview approach for assessing leadership behavior constructs. The Leadership Quarterly, 31(4), 101364. 

  50. Hellen, K., & Saaksjarvi, M. C. (2011). Happiness as a predictor of service quality and commitment for utilitarian and hedonic services. Psychology & Marketing, 28(9), 934-957. 

  51. Helliwell, J. (2001). Social capital, the economy and well-being. The Review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1. 

  52. Helliwell, J. F., & Putnam, R. D.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9, 1435-1446. 

  53. Hemphill, J. K., & Coons, A. E. (1957). Development of the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In R. M. Stodgill & A. E. Coons (Eds.), Leader behavior: Its description and measurement (pp. 6-38). Columbus, Ohio: Bureau of Business Research, Ohio State University. 

  54. Hersey, P., & Blanchard, K. (1969). Life-cycle theory of leadership.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23(5), 26-34. 

  55. Hersey, P., & Blanchard, K. H. (1977).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ur. Upper Saddle River N. J.: Prentice Hall. 

  56. Hoggard, L. (2005). How to be happy. London: B.B.C. Books. 

  57. House, R. J. (1977). A 1976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J. G. Hunt & L. L. Larson (Eds.), Leadership: The cutting edge (pp. 189-207).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58. Inglehart, R. (1990).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Jacobs, T. O., & Jaques, E. (1990). Military executive leadership. In K. E. Clark & M. B. Clark (Eds.), Measures of leadership (pp. 281-295). Leadership Library of America. 

  60. Jago, A. G. (1982). Leadership: Perspective in theory and research. Management Science, 28(3), 315-336. 

  61. Janda K. F. (1960). Towards the explication of the concept of leadership in terms of the concept of power. Human Relations, 13, 345-363. 

  62. Laub, J. A. (1999). Assessing the servant organization: Development of the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 (SOLA) instrument.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Atlantic University, United Stat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AAT 9921 922). 

  63. Layard, R. (2005). Happiness: Lessons form a new science. London: Allen Lane. 

  64.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585-600. 

  65. Neck, C. P., Stewart, G. W., & Manz, C. C. (1995).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278-302. 

  66. Northouse, P. G. (2004).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3rd ed.). Sage Publications, Inc., Thousand Oaks. 

  67. Rauch, C. F., & Behling, O. (1984). Functionalism: Basis for an alternate approach to the study of leadership. New York: Pergamon Press. 

  68. Ryan, R. M., & Deci, E. L. (2002).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Rochester, NY: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69. Spears, L. C. (1995). Introduction. In L. C. Spears (Ed.), Reflections on leadership: How Robert K. Greenleaf's servant-leadership influenced today's top management thinkers (pp. 1-14). New York, NY: Wiley Press. 

  70. Stogdill, R. M. (1948). Personal factors associated with leadership; A survey of the literature.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25, 35-71. 

  71. Stogdill, R. M. (1974). Handbook of leadership: A survey of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72.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73. Yukl, G. A. (1994). Leadership in organizations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ice Hall. 

  74. Yukl, G. A. (2005). Leadership in organizations (6th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75. Yukl, G., Gordon, A., & Taber, T. (2002). A hierarchical taxonomy of leadership behavior: Integrating a half century of behavior research.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9(1), 15-32. 

  76. 팩트경제신문 (2021). http://www.facte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282 

  77. KDI. (2021). https://eiec.kdi.re.kr/publish/naraPreList.do?sel_year2021&sel_month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