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AIP)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거형태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lder Persons' Inclination to Choose Aging in Place(AIP):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9, 2022년, pp.131 - 139  

이미애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이 건강상태가 악화되어도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지역사회 내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 노인들의 주거욕구 영향요인을 현재 노인들의 동거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의 동거형태는 독신 및 부부가구의 구성 외에 기혼성인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와 미혼성인자녀와 동거하는 경우로 세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노인복지실태조사 자료를 통해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동거형태에 따라 지역사회 내에서 계속거주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SPSS 25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성별, 연령, 주택소유 여부가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동거형태가 독신가구일 경우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에 부정적 영향을, 부부가구일 경우와 장남과 동거할 경우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를 증진시키기 위해 재가 돌봄 강화, 고령친화 환경 개선 등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함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at the elderly do not enter a facility even if their health deteriorates, but continue to live in the community and receive necessary care.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elderly, the cohabitation type of the elderly in Korea was that they lived with married...

주제어

참고문헌 (17)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2020 Elderly Survey(Online). http://repository.kihasa.re.kr 

  2. O. J. Kwon, Y. M. Lee, H. H. Ha, J. Y. Kim & H. S. Yeom. (2014).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52(3), 2875-299. DOI : 10.6115/2014.025 

  3. Y. K. Lee, J. H. Yeom & S. H. Lee. (2013). A Study of Demand Estimation and Reorganization of Provision System for Elderly Welfare Service in response to an aging socie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2013-31-1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2).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ttp://www.mohw.go.kr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2020 Elderly Survey(Online). http://repository.kihasa.re.kr 

  6. S. C. Lee, Y. R. Park & E. H. Jung. (2015).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ived Concept of Age-Friendly Environm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tive Aging of Older Persons. Seoul Urban Research, 17(2), 119-137. DOI : 10.23129/seouls.17.2.201606.119 

  7. A. Bookman. (2008). Innovative models of aging in place: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for an aging population. Community, Work&Family, 11(4), 419-438. DOI : 10.1080/13668800802362334 

  8. K. D. Marek & M. J. Rantz. (2000). Aging in place: A new model for long term care.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4(3), 1-11. 

  9. G. Rowles. (1983). Geographical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in Rural Appalachian Community, In:Graham Rowles & Russell Ohta(eds.), Aging and Milieu: Environmental Perspectives on Growing Old. New York: Academic Press, 231-239. 

  10. J. L. Wiles et al. (2011).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52(3), 357-366. 

  11. S. J. Kim. (2010, May). Seoul's age-friendly city promotion strategy. SDI policy report, 64, 2010:1-20. 

  12. Y. K. Lee. (2018, May). Current Status of and Barriers to Home and Community Care in the Long-term Care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77-89. 

  13. M. H. Lee, J. J. Lee & B. K. Seo. (2015). Improving delivery system of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Support for aging in place. The Journal of Korea Long Term Care, 3(1), 30-56. 

  14. M. A. Lee. (2010). A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Korean Elderly People's ADL.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1(2), 201-210. UCI : G704-001337.2010.004 

  15. M. A. Lee. (1998).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Their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Nursing Home Admission. Korean Gerontology, 18(2), 80-96. 

  16. M. A. Lee. (2015). The Effects of Social Quality on Suicide Ideation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271-281. DOI : 10.14400/JDC.2015.13.3.271 

  17. H. J. Lee, Y. S. Lee & S. J. Lee. (2010). A Cas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ffordance and Holistic Health of the Activ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2), 77-86. DOI : 10.6107/2010.0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