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 거주 욕구에 미치는 영향 : 주거특성의 조절효과 분석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ging in Place : Analysis of Moderated Effe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8, 2022년, pp.25 - 31  

백성욱 (부산대학교 경영컨설팅학) ,  이찬호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거환경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 거주 욕구(AIP: Aging In Place)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가 주거특성 변수(소유형태, 주택유형, 거주지역)에 따라 어떻게 상이한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 부산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로 373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을수록 AIP가 증가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하였다. 둘째, 주거환경 만족도와 AIP 사이의 긍정적인 관련성은 자기소유가 차가인 경우 보다 높고, 공동주택에 비해 단독주택인 경우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타지역에 비해 광역시나 중소도시인 경우 주거환경 만족도와 AIP에 대한 양(+)의 관련성이 높다는 실증적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 및 도시계획 관련 정책 입안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AIP(Aging in Place), and analyzes how their relationship differs depending on housing characteristic variables (ownership type, housing type, and residential area). For this purpose, as of November to December 2020, a questi...

주제어

참고문헌 (19)

  1. S. Weidemann, J. R. Anderson, D. I. Butterfield & P. M. O'Donnell. (1982). Residents'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Safety: A Basis for Change in Multifamily Housing. Environment and Behavior, 14(6), 695-724. 

  2. C. B. Meeks. (1980). Housing, Prentice-Hall, Inc. 

  3. K. H. Paik. (1990). Motives for Moving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Moving.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H. S. Kim. (2019). The Effect of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Needs of Aging in Place in the Community. Master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5. S. W. Kim & Y. G. Ku.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Dwelling of the Elderly on Satisfaction of Life.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56, 50-64. 

  6. M. P. Cutchin. (2003). The Process of Mediated Aging-in-Place: A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Based Model. Journal of Social Sciences and Medicine, 57, 1077-1090. 

  7. S. B. Park. (2011). Residential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23(3), 731-760. 

  8. Y. W. Kim, J. W. Jeong & K. M. Song. (2021). A Study on the Important Factors of Physical Aging Friendly City Environment for AIP(Aging in Place) in Rural Areas 50+ Generations. The Journal of Korean Long Term Care, 9(2), 103-121. DOI : 10.32928/TJLTC.9.2.5 

  9. J. E. Kim & Y. J. Jung. (2020). The Effects of Self Care and Social Care on Aging in Place Among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1(6), 1441-1452. DOI : 10.22143/HSS21.11.6.102 

  10. Y. J. Kim. (2006). A Study on Residential Remodeling and Needs of Elderly Households to Activate Aging in Place. Journal of Human Ecology, 23, 13-35. 

  11. Y. J. Seo. (2018). A Study of the Senior Serviced Housing for Aging in Place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E. W. Morris & M. Winter. (1978). Housing, Family, and Society, John Wiley and Sons, Inc. 

  13. O. J. Kwon, Y. M. Lee, H. H. Ha & J. Y. Kim. (2014).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3), 285-299. 

  14. J. Wolpert. (1965). Behavioral Aspects of the Decision to Migrate. Papers and Proceedings, 15, 159-172. 

  15. S. Kasl & E. Harhurg. (1972). Perceptions of Neighborhood and Desire to Move out.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8, 318-324. 

  16. J. Speare. (1970). Home ownership, Life cycle stage, and Residential Mobility, Demography 7. 

  17. W. Michelson. (1966). An Empirical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al Pre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8, 355-360. 

  18. P. H. Rossi. (1955). Why Families Move : A Stud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The Free Press, New York. 

  19. E. W. Morris & M. Winter. (1976). Housing Norms, Housing Satisfaction and Propensity to mo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309-3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