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욕지도(경남) 산림식생 유형구분과 공간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in Yokjido Island,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1 no.3, 2022년, pp.345 - 356  

이보라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이호상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김준수 (자연과숲연구소) ,  조준희 (자연과숲연구소) ,  오승환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  조현제 (자연과숲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욕지도는 한반도 남동부 남해안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섬 크기 15 km2의 유인도서로 현존산림은 대부분 대상식생(substitutive veget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욕지도 산림식생의 생태적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 제공을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현존식생 유형을 구분하고 상관 우점종 중심의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2개 군락(community), 4개 아군락(subcommunity), 6개 변군락(variant), 그리고 2개 아변군락(subvariant)의 식생단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개 인간간섭, 입지환경, 천이단계, 그리고 성립기간 등에 따라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현존식생 유형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종풍부도, 종다양도, 그리고 종균재도는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통계적으로 다소 유의한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초본성 식물종이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낮은 해발고도를 가진 산지에서는 중간영역효과(mid-domain effect, MDE)로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성이 증가한다는 McCain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욕지도 산림식생은 외부간섭이 없는 한 혼효림 도중 단계를 거쳐 잠재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산림으로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okjido is a 15-km2 inhabited island located at the tip of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ts forest is mostly composed of substitutional vegetation. Our aim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forest vegetation in Yokjido. We class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욕지도 산림식생의 생태적 관리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한 상관식생유형(physiognomic vegetation types)을 기준으로 현존식생도(1/5,000)를 작성하고(Figure 4), 상관식생유형별 분포 면적과 패치 수를 산출하여 그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Table 4). 상관식생도의 최소 작도 면적은 0.
  • 욕지도 산림식생의 중심을 이루는 교목성 구성종의 상대적 우세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식생층위별 중요치(IV)와 전층 기준의 평균상대중요치(MIV)를 전체 산림식생과 현존 및 잠재적 우점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곰솔림, 사방오리림, 구실잣밤나무림, 굴참나무림, 그리고 참식나무림 등 5개 주요 상관식생을 대상으로 산출한 후, 상위 10종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Figure 3). 먼저 전체 산림식생 구성종의 MIV에서는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가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K.S. 2013. The geological study for geotourism of Yogjido, Tongyong City,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5(4): 195-211. 

  2. Arponen, A., Moilanen, A. and Ferrier, S. 2008. A successful community-level strategy for conservation prioritiz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5): 1436-1445. 

  3. Balzan, M.V., Potschin-Young, M. and Haines-Young, R. 2018. Island ecosystem services: insights from a literature review on case-study island ecosystem services and future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diversity Science, Ecosystem Services & Management 14(1): 71-90. 

  4. Berg, C., Abdank, A., Isermann, M., Jansen, F., Timmermann, T. and Dengler, J. 2014. Red Lists and conservation prioritization of plant communities - a methodological framework. Applied Vegetation Science 17(3): 504-515. 

  5.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Fuller, G.D. and H.S. Conrad, trans.). New York, USA. pp. 439. 

  6.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288. 

  7. Cerny, T., Kopecky, M., Petrik, P., Song, J.S., Srutek, M., Valachovic, M., Altman, J. and Dolezal, J. 2015. Classification of Korean forests: patterns along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gradients. Applied Vegetation Science 18(1): 5-22. 

  8.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9. de Bello, F., Leps, J. and Sebastia, M.-T. 2006. Variations in species and functional plant diversity along climatic and grazing gradients. Ecography 29(6): 801-810. 

  10. Enoki, T., Kusumoto, B., Igarashi, S. and Tsuji, K. 2014. Stand structure and plant species occurrence in forest edge habitat along different aged roads on Okinawa Island, southwestern Jap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9(1): 97-104. 

  11. Federman, S., Hyseni, C., Clement, W., Oatham, M.P. and Caccone, A. 2014. Habitat fragmentation and the genetic structure of the Amazonian palm Mauritia flexuosa L.f. (Arecaceae) on the island of Trinidad. Conservation Genetics 15(2): 355-362. 

  12. Hanson, K.M. and McElroy, E.J. 2015. Anthropogenic impacts and long-term changes in herpetofaunal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n a barrier island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Herpetological Conservation and Biology 10(2): 765-780. 

  13. Hiroya, Y. et al. 2015. An integrated approach to tropical and subtropical island conserva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8(2): 271-279. 

  14. Jung, H.R., Chun, K.S., Kim, J.K. and Moon, H.S. 2008.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ommunities.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 421-427.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index.do.(2022, 2. 5). 

  16. Kim, I.T. 1997. An ec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in Yokchiisle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Bulletin of Cepri 6: 26-41. 

  17. Kim, J.H., Jung, E.H., Lee, K.U., Nam, C .H., Park, S.A., Park, C.H., Nam, G.H., Lee, B.Y. and Suh, M.H. 2016. Vascular plant diversity and vegetation of Yokjido Island in Tongyeong-si,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6(1): 83-116. 

  18. Kim, M.S., Cho, H.J., Kim, Kim, J.S., Bae, K.H., and Chun, J.H. 2018.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ctor between Danmoknyeong and Guryongnyeong of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2): 176-184. 

  19.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Climatological normal data. http://data.kma.go.kr/climate. (2021. 7. 1). 

  20. Kueffer, T. and Kinney, K. 2017. What is the importance of islands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44(4): 311-322.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pp. 999. 

  22.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23. McCain, C.M. 2004. The mid-domain effect applied to elevational gradients: species richness of small mammals in Costa Rica. Journal of Biogeography 31(1): 19-31. 

  24. Moon, S.J. and Sohn, P.D. 2013. A strategy for sustainable tourism industry in Yokjido.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5(4): 45-62. 

  25.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547. 

  26. Oh, K.K., Choo, G.C. and Jee, Y.K. 1999.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ongyoung District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2(4): 317-330. 

  27. Olson, D. et al. 2009. Priority Forests for Conservation in Fiji: landscapes, hotspots and ecological processes. Fauna & Flora International, Oryx 44(1): 57-70. 

  28. Qgis Development Team. 2017. QGIS ver. 2.18.15. http://www.qgis.org/ko/site/forusers/download.html. (2018.1.11.). 

  29. Ren, H., Zhang, Q., Lu, H., Liu, H., Guo, Q., Wang, J., Jian, S. and Bao, H. 2012. Wild plant species with extremely small populations requir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in China. AMBIO 41(8): 913-917. 

  30.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177. 

  31. Silva, L.B., Elias, R.B. and Pavao, D.C. 2019. Forest ecosystem in islands: biodiversity patterns and services.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5369124. (2021. 6. 21). 

  32. Tsuyoshi, Y. 2010. The effect of forest fragmentation history on species and genetic diversity in a subtropical island ecosystem. https://kaken.nii.ac.jp/file/KAKENHI-PROJECT-19310149/19310149seika.pdf. (2021. 7.2). 

  33. van Andel, T., van der Hoorn, B., Stech, M., Bantjes Arostegui, S. and Miller, J. 2016.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vegetation types on the island of St. Eustatius, Dutch Caribbean. Global Ecology and Conservation 7: 59-69. 

  34. Wang, Z., Tang, Z. and Fang, J. 2007. Altitudinal patterns of seed plant richness in the Gaoligong Mountains, south-east Tibet, China.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6): 845-854. 

  35.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i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Ecology 25(2): 77-88. 

  36. Zar, J.H. 1984. Biostatistical analysis. 2nd edition. Prentice-Hall, New Jersey, pp. 150-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