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진단에 관한 소고
Safety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Expressway Operating Organization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3 = no.57, 2022년, pp.636 - 645  

서정수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정종수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문화를 측정/분석하여 안전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안전의식 수준 진단 도구를 활용하여 4개 안전문화 영역과 4개의 안전문화 활동을 반영한 16개의 하위요인측정 도구 총 144개 문항을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 56개 단위 사업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문화 영역별 결과는 "안전운영"이 가장 높았으며 "안전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안전문화 활동별 결과는 계획대로 실행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안전 실행(D)" 이 높게 나타났다. 가장 낮은 수준의 안전문화으로는 "안전개선(A)"이다. 결론: 기업의 안전보건경영 대책 수립시 관리적인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 안전문화 수준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안전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을 영역별 활동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안전문화가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by measuring/analyzing safety culture targeting employees of national core-based highway operating organizations. Method: Using the 'Safety Awareness Level Diagnosis Tool'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 종사자의 도로유지관리, 정보통신시설관리, 터널관리운영 등 다양한 직무 수행을 고려하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안전의식수준 진단 도구로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안전의식진단을 통해 안전 영역별(안전가치, 안전운영, 안전교육, 안전소통), 활동별(안전계획, 안전실행, 안전점검, 안전개선), 세부 요인별로 수준을 진단하고 계층별(경영진, 관리자, 근로자) 인식 차이를 포함한 결과 도출하여 자율적인 안전문화 활동 유도 촉진과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B.-T. (2017).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of Railway Workers: Focused on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Master Degree, Kyung Hee University. 

  2. Hong, I.-G, Baek, J.-B. (2016). "Towards an effective assessment of safety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1, pp. 121-122. 

  3. Jeong, Y.-S, Kim, Y.-B. (2003). Research on Safety Culture and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p. 1-136. 

  4. Kim, J.-H. (2019). "The effect of culture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afety consciousness." Vol. 19, No. 12, pp. 151-163. 

  5. Kim, S.Y. (2014). The Influence of Safety Culture Factors in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Emphasis on Communication in Organizations Includ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octoral Degre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6. Kim, Y.B. Seo, N.G. (2006). Comparative Study of Safety Culture between Foreign and Domestic Compani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Ulsan. 

  7.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2021). Guidebook for Strengthening Workplac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8. Kwon, H.-S.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by workplace size and work type in the group compan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6, pp. 125-130. 

  9. Lee, S.H., Lee, P.S., Lee, B.I., Nam, G.E., Ji, O.Y., Kim, N.J. (2017). An In-depth Analysis Study on the Level of a Company's Safety Culture. KOSHA, 2017-researcher-906, Korea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Ulsan. 

  10.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1). Explanation for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11. Park, G.-H. (2011).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fety Culture: Focusing on Industrial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12. Park, J.S., Kim, G.S., Lee, K.Y., Jo, H. h., Kim, Y.S., Kim, K.W. (2016). Assessing Safety Culture in Korean Workplac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SHA Safety Climate Scale, KOSHA, 2016-Research-79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13. Park, Y.S. (2021). Diagnosis of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Firefighters Development and Diagnosis. Fire Department Health and Safety Officer. 

  14. Patankar, M.S., Sabin, E.J. (2010). The Safety Culture Perspective. In Salas, E., Maurino, D. (Eds.), Human Factors in Aviation. Academic Press, Burlington, MA, pp. 65-94. 

  15. Youn, S.J., Yang, H.S., Moon, K.W., Cheon Y.w., Seo, S.Y., Go, D.W., Lee, J.H., Choi, B.G., Kim, J.H., Lee, H.Y., Kim, J.Y. (2016). Corporate Safety Culture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 Study. KOSHA, 2016-Researcher-797,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