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노약자 근감소증 진단과 딥러닝 알고리즘
Diagnosis of Sarcopenia in the Elderly and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Algorithm Exploiting Smart Devic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3 = no.57, 2022년, pp.433 - 443  

윤영욱 (Department of Software, Yonsei University) ,  손정우 (Department of Software, Yonse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높은 보급률을 활용하여 근감소증을 추정 및 예측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안과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방법: 딥러닝 학습을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관성센서를 활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테스트용 어플리케이션 구현하여 '정상'과 '비정상'걸음과 '달리기', '낙상', '스쿼트' 자세의 5 가지 상태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LSTM, CNN, RNN model 사용 시 예측 정확도를 분석했고 CNN-LSTM 융합형 모델을 활용하여 이진분류 정확도 99.87%, 다중 분류 92.30%의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근감소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걸음걸이의 이상이 생긴다는 점에 착안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근감소증으로 인해 생기는 재난안전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udy of deep learning algorithms that estimate and predict sarcopenia by exploiting the high penetration rate of smart devices. Method: To utilize deep learning techniques, experimental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inertial sensor embedded in the smart devi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근감소증 여부를 추가 기기 없이 일반적으로 많이 보급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전의 비접촉식 근감소증 판단 알고리즘 연구들은 근감소증이 발병한 경우 걸음이 느려진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만 고려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이동 속도를 정확하게 구하지 못하면 실제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 요컨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다양한 연령층과 많은 사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과 성능 분석을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기술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근감소증과 노약자를 관리할 수 있는 일차적 연구로서의 기법 개발과 알고리즘 제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dallah, Z.S., Gaber, M.M., Srinivasan, B., Krishnaswamy, S. (2015). "Adaptive mobile activity recognition system with evolving data streams." Neurocomputing, Vol. 150, pp. 304-317. 

  2. Bishop, C.M. (2006).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Springer, New York, US. 

  3. Cao, L., Morley, J.E. (2016). "Sarcopenia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condition by a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tenth revision, clinical modification (ICD-10-CM) cod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 17, No. 8, pp. 675-677. 

  4. Chen, L.K., Liu, L.K., Woo, J., Assantachai, P., Auyeung, T.W., ShahrulBahyah, K., Chou, M.Y., Chen, L.Y., Hsu, P.S., Krairit, O., Lee, .S. W., Lee, W.J., Lee, Y., Liang, C.K., Limpawattana, P., Lin, C.S., Peng, L.N., Satake, S., Suzuki, T., Won, C.W., Wu, C.H., Wu, S.N., Zhang, T., Zeng, P., Akishita, M., Arai, H. (2014) "Sarcopenia in Asia: Consensus report of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 15, pp. 95-101. 

  5. Davis, J., Goadrich, M.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sion-Recall and ROC curves."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ittsburgh, Pennsylvania, US, pp. 233-240. 

  6. Domingos, P. (2012). "A few useful things to know about machine learn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5, No. 10, pp.78-87. 

  7. Evans, W.J. (1995). "What is sarcopeni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 50, pp. 5-8. 

  8. Hong, S., Choi, W.H. (2012). "Clinical and Physiopathological Mechanism of Sarcopeni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3, No. 4, pp. 444-454. 

  9. Junker, M., Hoch, R., Dengel, A. (1999). "On the evaluation of document analysis components by recall, precision, and accuracy."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ICDAR'99, Bangalore, India, Cat. pp. 713-716. 

  10. Kanjo, E., Younis, E.M.G., Ang, C.S. (2019). "Deep learning analysis of mobile physiological, environmental and location sensor data for emotion detection." Information Fusion, Vol. 49, pp. 46-56. 

  11. Kim, K.W., Byun, S.J., Lee, H.J., Han, J.W. (2020). Method for Prediction Frailty Using Triple Axis Motion Meter, Prediction Frailty System using Triple Axis Motion Meter and Wearable Prediction Frailty Device, KR. Patent No. 10-2107379, Korea. 

  12. Kim, M., Kim, H., Park, S., Cho, I., Yu, W. (2020). "A study on the analysis of physical function in adults with sarcopen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Vol. 8, No. 2, pp. 199-209. 

  13. Ko, J.B., Kim, K.B., Shin, Y.S., Han, H., Han, S.K., Jung, D.Y., Hong, J.S. (2021). "Predicting sarcopenia of female elderly from physical activity performance measurement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 16, p. 1723. 

  14. Lee, J., Park, K.E., Kim, Y. (2021). "IA study on indoor positioning based on pedestrian dead reckoning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3, pp. 521-534. 

  15. Liu, Y., Nie, L., Liu, L., Rosenblum, D.S. (2016). "From action to activity: Sensor-based activity recognition." Journal of Neurocomputing, Vol. 181, pp. 108-115. 

  16. Marty, E., Liu, Y., Samuel, A., Or, O., Lane, J. (2017). "A review of sarcopenia: Enhancing awareness of an increasingly prevalent disease." Journal of Brain Bone, Vol. 105, pp. 276-286. 

  17. Neverova, N., Wolf, C., Lacey, G., Fridman, L., Chandra, D., Barbello, B., Taylor, G. (2016). "Learning human identity from motion patterns." IEEE Access, Vol. 4, pp. 1810-1820. 

  18. Sanchez-Rodriguez, D., Marco, E., Miralles, R., Guillen-Sola, A., Vazquez-Ibar, O., Escalada, F., Muniesa, J.M. (2015). "Does gait speed contribute to sarcopenia case-finding in a postacute rehabilitation setting?"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61, No. 2, pp. 176-181. 

  19. Shickel, B., Tighe, P.J., Bihorac, A., Rashidi, P. (2018). "Deep EHR: A survey of recent advances in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nalysis." IEEE Journal of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cs, Vol. 22, No. 5, pp.1589-1604. 

  20. Stisen, A., Blunck, H., Bhattacharya, S., Prentow, T.S., Kjaergaard, M.B., Dey, A., Sonne, T., Jensen, M.M. (2015). "Smart devices are different: Assessing and mitigatingmobile sensing heterogeneities for activity recognition." In Proceedings of the 13th ACM Conference on Embedded Networked Sensors Systems, Seoul, South Korea, pp. 127-140. 

  21. Wang, J., Yu, L.C., Lai, K.R., Zhang, X. (2016). "Dimensional sentiment analysis using a regional CNN-LSTM model." Proceedings of the 54th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Berlin, Germany, Vol. 2, pp. 225-230. 

  22. Won, C.W. (2020). "Diagnosis of sarcopenia in primary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63, No. 10, pp. 633-641. 

  23. Yuki, A., Ando, F., Otsuka, R., Shimokata, H. (2017). "Sarcopenia based on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criteria and all-cause mortality risk in older Japanese adult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Vol. 17, No. 10, pp. 1642-1647. 

  24. Zeng, M., Nguyen, L.T., Yu, B., Mengshoel, O.J., Zhu, J., Wu, P., Zhang, J. (2014).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mobile sensors." In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computing, application and services, Austin, Texas, US, pp. 197-2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