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안 대형저서동물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5 no.3, 2022년, pp.100 - 117  

김영준 (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임정호 (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조춘옥 (오션싸이텍 기술연구소) ,  류종성 (안양대학교 해양바이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난 6년간(2015-2020) 우리나라 연안의 대형저서동물 관측 개체수를 활용하여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해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서, 남, 동해에 위치한 총 154개(서해 70개, 남해 61개, 동해 23개 정점)의 연안생태조사 정점에 대하여 계절별로 각 정점에서의 주요 저서동물의 관측 개체 수 (개체 수/m2)와 퇴적환경을 조사·분석하였다. 정점별로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수심, 퇴적특성, 입도특성, 강열감량 및 총 유기탄소에 대한 저서환경 특성차이를 분석하였다. 총 1,614 종의 대성저서동물이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점별로 평균 0.62 개체/m2의 밀도를 보였다. 시간적으로는 춘·하계(5, 8월)에 저서생물 개체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450종 이상의 다양한 종이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개체 수에서 상위 1%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의 대부분은 환형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위 5종이 전체 개체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은 각각 고리버들갯지렁이, 긴자락송곳갯지렁이, 투구갯지렁이, 오뚜기갯지렁이, 가는버들갯지렁이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공간적으로 구분이 되는 세 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각 군집은 총 154개의 정점을 서, 남, 동해 연안에 위치한 정점들을 중심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군집별 저서환경 특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군집 1과 3의 경우, 고리버들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각각 44%로 높게 나타났고, 군집 2의 경우는 동해에서 관측 개체수가 많이 발견 된 긴자락송곳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66%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군집 1과 3의 경우, 같은 종을 나타내는 군집임에도 불구하고, 모래(31.0%, 51.9%)와 진흙(15.9%, 9.7%) 함유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for the past six years(2015-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macrobenthic species and the benthic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9)

  1. Bae, H., J.-H. Lee, S.J. Song, J. Park, B.-O. Kwon, S. Hong, J. Ryu, K. Choi and J.S. Khim. 2017. Impacts of environmental and anthropogenic stresses on macrozo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 Chemosphere. 171:681-691. 

  2. Bae, H., J.-H. Lee, S.J. Song, J. Ryu, J. Noh, B.-O. Kwon, K. Choi and J.S. Khim. 2018.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macrofaunal assemblages linked to sitespecific environmental factors in two contrasting nearshore habitats. Environmental Pollution. 214:596-606. 

  3. Baik, S.G. and S.G. Yun.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3:572-580 (백상규, 윤상규. 2000.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 동물 군집구조. 한국수산과학회지. 33:572-580). 

  4.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325-349. 

  5. Buchanan, J.B., 1984. Sediment analysis. In: Methods for the study of marine benthos, edited by Holme, N.A. and A.D. McIntyre,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and Edinburgh, pp.41-65. 

  6. Chang, M.C., Park, B.M., Choi, Y.S., Choi, H.J., Kim, T.H., and Lee, B.H. 2018. Data issue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4): 175-190 (장민철, 박병문, 최윤수, 최희정, 김태훈, 이방희. 2018.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정보 현안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1(4): 175-190). 

  7. Choi, Y.S., Im, Y.T., Hwang, Y.J., and Lee, Y.J. 2008. A study on GIS DB building plan for maritime boundary determ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41-50 (최윤수, 임영태, 황유정, 이유정. 2008. 우리나라 해양경계 획정을 위한 GIS DB 구축 항목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41-50). 

  8. Gray, J.S. 197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12:223-262. 

  9. Grizzle, R.E. 1984. Pollution indicator species of macrobenthos in coastal lagoon.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Oldendorf. 18:191-200. 

  10. Kim, C.H., B.M. Choi, R.-H. Jung, W.-C. Lee, J.-S. Yun and I.-S. Seo. 2016.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Taehwa river estuary, Ul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2(6):694-707 (김형철, 최병미, 정래홍, 이원찬, 윤재성, 서인수. 2016. 울산 태화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6):694-707). 

  11. Kim, Y.N., Yoo, J.K., Yeo, J.W., Kho, B.S., and Hwang, I.S. 2019. History and Status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 in Korea. ?The Sea? J.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4(1):49-53 (김영남, 유정규, 여정원, 고병설, 황인서. 2019. 해양생태계 법정조사의 역사와 현황.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4(1):49-53). 

  12. Lee, D.S., Lee, D.Y., Ji, C.W., Kwak, I.S., Hwang, S.J., Lee, H.J., and Park, Y.S. 2020. Impacts of Introduced Fish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on Stream Fish Communiti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3(3):241-254 (이대성, 이다영, 지창우, 곽인실, 황순진, 이혜진, 박영석. 2020. 외래어류가 우리나라 하천생태계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을 대상으로. 생태와 환경. 53(3):241-254). 

  13. Lee, J.H. and J. Ryu, 2018. Short-term Vari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crozoobenthic Community near the Geum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21(4):368-380 (이정호, 류종성. 2018. 금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 대형저서동물 군깁 공간분포의 단기간 변화.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21(4):368-380). 

  14. Lee, J.H. 2013.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offshore area outside Saemangeum Dike aince Saemangeum Dike construction. Ph.D.Thesi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esu. 247pp. 

  15. Lee, J.H., Lim, H.S., Shin, H.C., and Ryu, J. 2022.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ic Organisms along the Korean Coasts in Summer Seaso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7(2):87-102 (이정호, 임현식, 신현출, 류종성. 2022. 한국 연안의 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7(2), 87-102). 

  16. Lim, H.S., 2015. Spatial Distribution of soft bottom macrobenthos of Yeoja Bay in summer season,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2): 78-91 (임현식. 2015. 여자만 연성저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0(2):78-91). 

  17. Lim, H.S., Choi, J, and Choi, S.D. 2016.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in the Subtidal Region off the Namhaedo Island,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1):11-23 (임현식, 최진우, 최상덕. 2016. 남해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1(1):11-23.). 

  18. Lim, H.S., Lee, J.Y., Lee, J.H., Shin, H.C., and Ryu, J. 2019.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in the three estuaries of South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4(1):106-127 (임현식, 이진영, 이정호, 신현출, 류종성. 2019. 우리나라 3개 하구역대형저서동물 군집 시공간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4(1):106-127). 

  1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The Korean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 

  2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Year Book: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 Korean. 

  21. Ong, G.H., Jeon, S.R., Koo, J.H., Park, J.W., Jeung, H.D., Kang, J.H., and Cho, Y.S. 2021.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os in 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7(4):500-509 (옹기호, 전승렬, 구준호, 박종우, 정희도, 강정하, 조윤식. 2021. 서해안 갯벌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7(4):500-509). 

  22. Park, H.S., Kang, R.S., and Lee, J.H. 2006.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ominant Macrobenthos and the Benthic Environments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9(1s):214-222 (박흥식, 강래선, 이재학. 2006.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양상과 저서 환경. 한국수산과학회지. 39(1s):214-222). 

  23. Park, Y.G., Kim, K.H., Lee, J.H., Lee, S. J., and Lee, G.H. 2019. Development of a Web GIS-based Marine Healing Portal for Building and Utilizing Marine Healing Resource D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4): 146-157 (박용길, 김계현, 이재혁, 이성재, 이기훈. 2019. 해양치유자원 DB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웹 GIS 기반 해양치유포털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2(4):146-157). 

  24. Park, H.S., Lim, H.S., and Hong, J.S. 2000. Spatio- and temporal patter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community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3(3):262-271 (박흥식, 임현식, 홍재상. 2000.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양상한국수산과학회지. 33(3):262-271). 

  25. Peng, S., R. Zjou, X. Qin, H. Shi and D. Ding. 2013. Application of macrobenthos functional groups to estimate the ecosystem health in a semi-enclosed bay. Marine pollution bulletin. 74:302-310 

  26. Rakocinski, C.F., S.S. Brown, G.R. Gaston, R.W. Heard, W.W. Walker and J.K. Summers. 2000. Species-abundance-biomass responses by estuarine macrobenthos to sediment chemical contamination. Journal of Aquatic Ecosystem Stress and Recovery. 7:201-214 

  27. Shin, H.C. 1995.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K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0:250-261 (신현철. 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250-261). 

  28. Shin, H.C., S.M. Yoon and C.H. Koh, 2001.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Ulsan Bay and Onsan Bay, eastern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180-189 (윤성명, 고철환, 신현출. 2001. 울산만과 온산만 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180-189). 

  29. Yoon, S.J., S. Hong, B.O. Kwon, J. Ryu, C.H. Lee, J. Nam and J.S. Khim, 2017. Distributions of persistent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of the Geum River estuary and Saemangeum coast, Korea. Chemosphere. 173:216-2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