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mpowerment of Social Service Workers on Service Orien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Attitud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9, 2022년, pp.544 - 560  

나윤정 (충청북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  황혜원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충청북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인력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32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업무수행 관계와 개인적 업무지향이 직업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업무환경 통제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하위요인 모두(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업무지향 임파워먼트는 서비스지향성 하위요인 중 성실지향과 유형지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는 직업존중감을 매개로 서비스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변수인 직업존중감은 서비스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성실지향과 유형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 제고를 위해 명확한 업무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종사자 스스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며, 서비스 전달자로서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지향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job-esteem attitude on the empowerment of social service workers on service orientation,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manpower providing local autonomous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s in Chungcheongbuk-do through analyzing 329 copies of data. 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직업존중감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직업존중감이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종사하는 제공인력의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 직업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의 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이 매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즉,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임파워먼트 정도와 양상, 직업존중감의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향상과 더 나은 서비스 품질 제고를 이끌어내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기초자료 제공과 서비스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 마련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종사하는 제공인력의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 직업존중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의 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이 매개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즉,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임파워먼트 정도와 양상, 직업존중감의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향상과 더 나은 서비스 품질 제고를 이끌어내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기초자료 제공과 서비스지향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 마련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는 직업존중감을 매개로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 치는가?이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업존중감과 서비스지향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4. 서비스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은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와 서비스지향성(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연구가설 1.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업존중감과 서비스지향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2.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는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는 서비스지향성(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서비스종사자의 직업존중감은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와 서비스지향성(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연구가설 3.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는 서비스지향성(신뢰지향, 성실지향, 유형지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임파워먼트(업무환경 통제, 업무수행 관계, 개인적 업무지향)는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권지성, 안수란, 하태정, "상담 분야 사회서비스 종사자 고용에 대한 맥락-패턴분석-지역사회서비스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상담서비스 기관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72권, 제2호, pp.151-179, 2020. 

  2.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2022. 

  3. 김윤수, 사회서비스개론, 피앤씨미디어, 2021. 

  4. 함철호, "바우처서비스 제공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대처-적응 모델의 적용-,"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4권, pp.81-114, 2018. 

  5. 김은정, 김유리, "서비스 유형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사회서비스 제공인력 근로환경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26권, 제2호, pp.51-78, 2017. 

  6. 박세경,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2015.7), pp.49-59, 2015. 

  7. 김유휘, "사회서비스 제공 인력의 근로 조건 및 교육실태," 보건복지포럼(2020.10), pp.51-64, 2020. 

  8. 정명재,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제1호, pp.1-37, 2019. 

  9. 김태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업무환경 감정반응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업무공간 서비스스케이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3호, pp.132-144, 2018. 

  10. 이종남,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 송영우, 장애인생활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연구-인천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오강수, "베트남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직업만족과 서비스지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4권, 제2호, pp.389-402, 2018. 

  13. 강재정, 오정훈, 오상훈, "호텔조직의 서비스지향성과 집단효능감이 직원의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관광.레저연구, 제19권, 제4호, pp.105-125, 2007. 

  14. 최상미, 최재성, "사회복지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제37권, 제1호, p.99-124, 2006. 

  15. 심지연,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6. 김의영, 이종환,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제28호, pp.7-31, 2011. 

  17. 김창동, 서비스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8. 정총화, 관광행정조직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관계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9. 펑펑 Peng Peng, "호텔 레스토랑 종사자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업존중감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18권, 제4호, pp.499-516, 2014. 

  20. R. S. Lytle, P. W. Hom, and M. P. Mokwa, "A Managerial Measure of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Journal of Retailing, Vol.74, No.4, pp.447-454, 1998. 

  21. 장종원, 서비스스케이프가 종업원의 감정반응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동차 전시장의 서비스스케이프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2.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L. Berry, "A conception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49, pp.41-50, 1985. 

  23. 맹두열, 심영미, "복지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이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180-205, 2011. 

  24. 전준구,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 고객만족, 후속행 동과의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8권, 제2호, pp.105-139, 2006. 

  25. 황의남, 서비스스케이프가 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과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6. 서현숙, 직원의 서비스지향성과 고객인지 서비스 품질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7. 박성연,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제2권, 제1호, pp.99-117, 2000. 

  28. 정순돌, 김고은, 김미영, 김은정, 김지혜, 박근혜, 박창경, 박현정, 박현주, 우재희, 이혜숙, 홍나미, 임상사회복지이론, 학지사, 2011. 

  29. 오혜경, "사회사업실천에 있어서 세력화(empowerment)에 관한 연구: 급진주의 사회사업실천 중심," 사회복지리뷰, 제2권, 제1호, pp.42-68, 1997. 

  30. 이정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401-410, 2020. 

  31. D. R. Leslie, C. M. Holzhalb, and T. P. Holland, "Measuring Staff Empowerment Development of a Worker Empowerment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8, No.2, pp.212-222, 1998. 

  32. 최혜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3. 정유진,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가 사회복지기관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4. D. Miler and J. Crossley, Effect of Values-based Training on Job-esteem and Hospitality Values of Front-line Hotel Employees,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1999. 

  35. 조민경,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6. 임지은,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6호, pp.41-57, 2015. 

  37. 고동우, 전병길, "직업 존중감의 개념과 척도: 관광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6권, 제3호, pp.279-297, 2002. 

  38. 정우철, 이연숙,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 이직서향에 미치는 영향: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비교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2권, 제5호, pp.165-184, 2010. 

  39. G. M. Spreitzer, "Ph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5, pp.1442-1465, 1995. 

  40. 손보영, 방요순, 이재현, "작업치료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8권, 제3호, pp.15-26, 2020. 

  41. L. H. Staples, "Powerful ideas about empower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 No.2, pp.29-42, 1990. 

  42. 곽영걸, 곽미정, "비행청소년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3권, 제3호, pp.1-18, 2016. 

  43. 국영희, 김극명, "비행 청소년의 사회복귀를 위한 단기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3권, 제1호, pp.397-410, 2009. 

  44. 도기봉, 오주, 신정인, "학교폭력 피해 여고생의 자아 존중감과 역량강화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49-174, 2011. 

  45. 박남희, "역량강화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니코틴 의존도, 흡연유혹 및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 제18권, 제1호, pp.1-8, 2012. 

  46. 허정철, "임파워먼트 향상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준비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1호, pp.1-24, 2020. 

  47. 정수정, 이강훈, "방과후 아동돌봄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원장의 코칭리더십,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그릿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41권, 제3호, pp.387-418, 2021. 

  48. 전용호, 이민홍, "사회서비스의 시장화에 대한 지방정부의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등록제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521-554, 2018. 

  49. 강철희, 윤민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41호, pp.7-42, 2000. 

  50. 조윤희,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e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2.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2015. 

  53. 고동우, 서무일, 문상정, "직업존중감이 조직몰입과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중국의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제30권, 제4호, pp.93-115, 2015. 

  54. 김창동, 박중환, "서비스종사자의 임파워먼트, 직업 존중감, 서비스지향성간의 영향관계연구: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10호, pp.409-423, 2018. 

  55. 민재기, 한상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시큐리티업 종사자의 차이 분석: 서비스지향성과 서비스품질 및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0호, pp.141-177, 2009. 

  56. 박슬기, 권봉헌, "호텔 직원의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99-215, 2016. 

  57. 이은용, 박수진, 이수범, "항공사 기내승무원의 인지된 서번트리더십, 교육훈련 관련 요인과 고객지향성 및 자긍심과의 관련성 분석," 관광연구저널, 제21권, 제1호, pp.83-99, 2007. 

  58. 김명성, "수퍼비전 기능이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37호, pp.1-3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