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관련 인식·현황 조사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tatus survey and Development about Bibliotherapy in Korea's LIS Field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3 no.3, 2022년, pp.371 - 395  

백재은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전통적으로 책과 독서에 강한 분야인 문헌정보학은 도서와 독서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정·상황·병리 증상 등을 치유하는 독서치료에 있어 주도적이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와 매우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진 문헌정보학 분야에 학문적·실전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인식조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수업을 듣는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여 5개의 주제(도서, 독서치료, 교과과정, 도서관, 기타)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현황은 교육적·실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서치료 관련 교과과정과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독서치료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국내 4년제 대학 가운데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32개의 대학을 바탕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통해 탐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 현황은 국내 1,10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독서목록을 각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독서치료 참여자와 운영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raditionally a strong field of book and reading, can be said to play a leading and central role in bibliotherapy that heals human emotions, situations, and pathological symptoms through books and reading process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status...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6)

  1. Baek, Jae-Eun (2016). The study about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formats for bibliotherapy of the disabled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4), 165-184. https://doi.org/10.4275/KSLIS.2016.50.4.165 

  2. Hoang, Gum-Sook (200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1), 117-130. 

  3. Hong, Hyun-Jin, Noh, Young-Hee, & Kim, Dong-Seok (2021). A study on status and necessity of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1), 5-36. https://doi.org/10.4275/KSLIS.2021.55.1.005 

  4. Kim, Hyun-Sook & Kang, Bo-Ra (2020). A study on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trends in Korea's LIS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59-81.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59 

  5. Kim, Jeong-Geun (2005). Current states of bibliotherapy. KLA Journal, 46(2), 46-49, 

  6. Kim, Sae-Young (2020).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Programs. Master's thesis, Dankok University. 

  7. Kim, Soo-Kyoung (2010).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241-268. https://doi.org/10.16981/KLISS.41.4.201012.241 

  8. Kim, Soon-Hwa (2004). A Study of the Operation on the Bibliotherapy Program in Public Libraries: A case study of Ulsan NamBu Library. Doctoral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9. Lee, Jae-Whoan (2009). Readers' advisory and bibliotherapy in Korean library commun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5-29.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5 

  10. Lee, Kee-Myung & Lee, Jae-Whoan (2012).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 conceptual model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53-72.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53 

  11. LISTOPIA (2011).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vailable: https://www.listopia.net/glossary/category/45911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1, October 27). National Library Statistics National Public Library Information. Public Data Portal. Available: https://www.data.go.kr/data/15072611/fileData.do 

  13. Ministry of Education (2017, December 31). The Employment Ra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n Korea. Public Data Portal. Available: https://www.data.go.kr/data/15071027/fileData.do 

  14. Song, Sung-Seob (2004). A case study for relevant study and lecture on "bibliotherap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121-141. https://doi.org/10.4275/KSLIS.2004.38.1.121 

  15. Reitz, J. M. (2014). Online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ODLIS. Abailable: http://products.abc-clio.com/ODLIS/odlis_b 

  16. Young, H. (1983).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