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해삼 유전체 분석에 의한 microsatellite의 분포도 연구
Analysis of Microsatellite Patterns in the Genome of Red Sea Cucumbe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9, 2022년, pp.690 - 697  

이태욱 (경상국립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삼웅 (경상국립대학교 농식품바이오융복합연구원) ,  김정선 ((주)비오스) ,  지원재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  방우영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활용과) ,  김장현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 ,  양철웅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 ,  방규호 (경상국립대학교 제약공학과) ,  갈상완 (경상국립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해삼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홍해삼의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울릉도_일반과 울릉도_토착으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inucleotide repeat 서열이 81.3~81.4%로 가장 많이 차지 되었으며, 반복서열 개수가 증가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microsatellite는 5~10 반복수 사이에 집중적으로 존재하였으며, 반복 서열의 크기가 클수록 반복수가 적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Di, tri, tetra-nucleotides 반복에서 각각 (AT)5, (AAT)5, (AAAT)5 등이 가장 높은 것들로 나타났다. (CG), (CCG) 등은 동일 반복 단위의 다른 반복 단위에 비교하여 매우 낮게 관찰되었다. Di-와 tri-nucleotide는 반복수가 각각 35와 32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 다음에 비연속적으로 44와 43 반복까지 계수 되었다. Tetra-, penta- 및 hexa-nucleotide는 각각 25, 21 및 14까지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에 따르면 microsatellite는 특이서열반복에 대해 편중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해삼의 microsatellite 분석에서 고유의 반복 서열과 반복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enome of red sea cucumber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enetic markers for red sea cucumber.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of Ulleungdo_normal and Ulleungdo_native red sea cucumbers revealed that dinucleotide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해삼의 microsatellite 부위를 분석하고 simple single repeats (SSRs)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rdbar, S., Anwar, F. and Saari, N. 2011. High-value components and bioactives from sea cucumbers for functional foods-A review. Mar. Drugs 9, 1761-1805. 

  2. Carracedo, A. "DNA Profil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1-09-27. Retrieved 2010-09-20. 

  3. Choe, S. and Ohshima, Y. 1961. On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wo commercial forms, "Green" and "Red", of the Japanese common sea cucum- ber, Stichopus japonicus Selenka. Nippon Suisan Gak- kaishi, 27, pp. 105-106. 

  4. Cui, F. X., Xue, C. H., Li, Z. J. and Zhang, Y. Q. 2007. Characterization and subunit composition of collagen from the body wal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Food Chem. 100, 1120-1125. 

  5. Desai, H., Hamid, R., Ghorbanzadeh, Z., Bhut, N., Pad- hiyar, S. M., Kheni, J. and Tomar, R. S. 2021. Genic microsatellite marker characterization and development in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using transcriptome se- quencing. Sci. Rep. 11, 20620. 

  6. Duan, X., Zhang, M., Mujumdar, A. S., Huang, L. L. and Wang, H. A. 2010. Novel dielectric drying method of sea cucumber. Int. J. Food Sci. 45, 2538-2545. 

  7. Gutierrez, E. G., Hernandez Canchola, G., Leon Paniagua, L. S., Martinez Mendez, N. and Ortega, J. 201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Sturnira parvidens and cross-species amplification in Sturnira spe- cies. PeerJ. 5, e3367. 

  8. https://en.wikipedia.org/wiki/Microsatellite. 

  9. Kang, J. H., Yu, K. H., Park, J. Y., An, C. M., Jun, J. C. and Lee, S. J. 2011. Allele-specific PCR genotyping of the HSP70 gene polymorphism discriminating the green and red color variants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 cus). J. Genet. Genomics 38, 351-355. 

  10. Kanno, M. and Kijima, A. 2003.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hree color variants of Japanese sea cucumber Sti- chopus japonicas. Fish. Sci. 69, 806-812. 

  11. Lei, Y., Zhou, Y., Price, M. and Song, Z. 2021. Genomewide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DNA in fishes: sur- vey and analysis of their abundance and frequency in ge- nome-specific regions. BMC Genomics 22, 421. 

  12. Liao, Y. L. 2001. Chinese sea cucumbers. Bulitin of Biology, 35, 1-4. 

  13. Mudgett, R. E. 1994. Electrical Properties of Foods. In: Eng. Properties of Foods (edited by M.A. Rao & S. S. H. Rizvi). pp. 389-455. New York: Marcel Dekker. 

  14. Liu, Y., Chen, Y., Gong, Q., Lai, J., Du, J. and Deng, X. 2017. Paternity assignment in the polyploid Acipenser dabryanus based on a novel microsatellite marker system. PLoS One 12, e0185280. 

  15. Mondol, M. A. M., Shin, H. J., Rahman, M. A. and Islam, M. T. 2017. Sea cucumber glycosides: chemical structures, producing species and important biological properties. Mar. Drugs 15, 317. 

  16. Nishimura, S. 1995. Guide to Seashore Animals of Japan with Color Pictures and Keys. Vol. 2.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Japan. 

  17. Purcell, S. W., Samyn, Y. and Conand, C. 2012. Commer- cially important sea cucumbers of the world. In FAO Species. Catalogue for Fishery Purposes; FAO: Rome, Italy, Volume 6, p. 150. 

  18. Shakouri, A., Nabavi, M. B., Kochanian, P., Savari, A., Safahieh, A. and Aminrad, T. 2009. New observation of two species of sea cucumbers from Chabahar Bay (Sout- heast Coasts of Iran). Asian J. Anim. Sci. 3, 130-134. 

  19. Song, X., Yang, T., Zhang, X., Yuan, Y., Yan, X., Wei, Y., Zhang, J. and Zhou, C. 2021. Comparison of the micro- satellite distribution patterns in the genomes of Euarchontoglires at the taxonomic level. Front Genet. 12, 622724. 

  20. Weici, T. 1987. Chinese medicinal materials from the sea. Abstr. Chin. Med. 4, 571-600. 

  21. Wen, J., Hu, C. and Fan, S. 2010.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sea cucumbers. J. Sci. Food Agric. 90, 2469-2474. 

  22. Xu, J., Duan, J., Xue, C., Feng, T., Dong, P., Sugawara, T. and Hirata, T. 2011. Analysis and comparison of gluco- cerebroside species from three edible sea cucumbers using liquid chromatography-ion trap-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59, 12246-53. 

  23. Yaacob, H. B., Kim, K. H., Shahimi, M., Aziz, N. S. and Sahil, S. M. 1997. Malaysian sea cucumber (Gamat): A prospect in health food and therapeutic. In Proceedings of the Asian Food Technology Seminar, Kuala Lumpur, Malaysia, 6-7, p. 6. 

  24. Zhao, Y. C., Xue, C. H., Zhang, T. T. and Wang, Y. M. 2018. Saponins from sea cucumber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J. Agric. Food Chem. 66, 7222-7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