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의 비대면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상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Development and counseling Experience of Non-face-to-face Mental Health Mobile Service Platform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expert 원문보기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v.8 no.5, 2022년, pp.63 - 70  

이솔지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신개념의 전문적인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상용화시켜 새로운 도전을 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실제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는 정신건강 이슈에 직접 노출되어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치료적 개입 수준을 요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가진 대중들 또한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둘째,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하고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팬더믹 상황에서 모바일을 활용한 다양한 정신건강 서비스 플랫폼을 선호하는 대중들이 많아 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전 세대에서 가족문제, 스트레스, 대인관계, 직업 등에서의 정신건강 관련 이슈들을 많이 호소하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들이 우울이나 불안, 중독 및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의 정신병리와 연관되어 자해나 자살사고와 같은 또 다른 정신건강 문제들과 잣은 빈도로 언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청소년들이 다양한 정신건강관련 이슈들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과 무엇보다 자해 및 자살사고와 같은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들을 호소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문적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전달하는데 있어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온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과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역량을 갖춘 정신건강전문가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tudy that collects and analyzes data through An autoethnographyon as one of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which researcher have experienced firsthan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ing and counseling there a new concept professional mental health mobile service platform as a...

주제어

참고문헌 (17)

  1. Y.J.Lee, S.Y.Kim, S.H.Park and S.J.Jun, "User experience of non-contact mental health services- Focused on stress and anxiety of Korea's 2030s". The HCI Society of Korea. Vol.1, pp243-248, 2021. 

  2. M.J.Kim, K.O.Chang, S.A.Lee.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Literacy, Ment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Health Business and of among Local Public Offici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1, No.12, pp.639-650, 2020. 

  3. Luxton, D .D., McCann, R. A., Bush, N.E., Mishkind,M. C., & Reger,G.M.. "Health for mental health: Integrating smartphone technology in behavioral." healthcare. Professional Psychology:Research and Practice, Vol.42. No.6, pp.505-512, 2011. 

  4. Berrouiguet, S., Baca-Garcia, E., Brandt, S., Walter,M., & Courtet,P. "Fundamentals for future mobile-health (mHealth): a systematicreview of mobile phone and web-based text messaging in mental health"[On-Lin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8, No.6, pp.135. 2016. 

  5. Donker, T., Petrie, K., Proudfoot, J., Clarke, J., Birch,M. R., & Christensen,H. "Smartphones for smarter delivery of mental health programs: a systematic review"[On-Lin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5, No.11, 2013. 

  6. S.t.An, H.n.Lee. "Use of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for Mental Health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62, No.6, pp.167-194, 2018. 

  7. S.M.Lee, S.J.Ki, W.Y.Im, J.W.Paik. "Current State and Limit of Mobile-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Us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24, No.1, pp.61-65, 2016. 

  8. Brian, R. M., & Ben-Zeev, D. "Mobile health (mHealth) for mental health in Asia: objectives, strategies, and limitations." Asian Journal of Psychiatry, Vol.10, pp.96-100, 2014. 

  9. J.h.Kim, U.Sh.Choi. "Autoethnography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of a Lifelong Educator",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11, No.6, pp.2829-2844, 2020. 

  10. Ellis, C. "Final negotiation : A story of love, loss, and chronic illness.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995. 

  11. D.S.Lee. "The autoethnography and qualitative research". Gyeonggi-do : Academi Press. 

  12. S.Y.Cho. "An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a Qualitative Researcher as a Social Worker in the Field of Social Work",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13, No.2. pp.5-35, 2019. 

  13. E.G.Lee. "Autoethnography:Healing the wounds of the crisis experienced from childhood couple parents."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2015. 

  14. J.A.Kim, M.H.Kong. "Autoethnography on the Growth of a Divorced Woman," Gender and Culture, Vol.13, No.1, pp.45-81, 2020. 

  15. Duncan, M. "Autoethnography : Critical appreciation of an emerging art.",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Vol.3. No.4, pp.28-39, 2004. 

  16. Chang, H. Autoethnography as method. CA: West Coast Pres, 2008. 

  17. S.B.Oh, S.J.Kim, J.W.Kim, H.S.Oh, W.Y.Im, N.H.Lee.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Self-Har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bserved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29, No.2, pp.128-135, 202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